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지능을 활용한 학습 성취도 분석 및 시각화

        장원진(Wonjin Jang),유용석(Yongseok Yoo) 대한전자공학회 202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8

        This paper is aimed at develop technology that quickly and easily analyzes learning achievement by item and component. For a total of 95 students, computer-based test was conducted on 10 items reflecting six component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dividing into two stages of achievement for items and for components with minimal user input. The k-means clustering and gaussian mixture model were applied to students’ responses to each item, classified them into 4 and 5 groups, and the achievement of each group was analyzed. This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the learning achievement in detail according to item response patterns, not simply to analyze the total test score. The results of grasping the learn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udents could be used for customized learning by level.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 동향 :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한순영 ( Han Soon Yeong ),김우리 ( Kim Woori ),유용석 ( Yoo Yongse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및 훈련 현황을 분석하였다.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총 20편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내용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연구가 2010년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으로는 학업능력과 학습태도를 고루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웹 및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업,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러닝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에서 시각자료리터러시 역량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에 따라 특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을 이용한 정보 검색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정보리터러시 역량이, 네트워킹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사회정서리터러시 역량이, 게임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수업에서는 실시간사고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지털리터러시 훈련은 논문에서 제시하지 않거나, 단순히 스마트기기 사용 절차를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스마트러닝과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on the use of smart learning and corresponding digital literacy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0 studies met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fter 2010.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performance and engagement. Second, in terms of smart learning usage types,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using the Web and network technologies, and augmented reality. Third, regarding digital literacy skills required for smart learning, the photo-visual digital skill was required in all studies. In addition, specific digital literacy skills were required depending on each smart learning usage type. The smart learning using the Web corresponded to the information literacy, those using network technologies to the social-emotional literacy, and those with game-based applications to the real-time literacy. However, training of digital literacy skills, except simple guidelines on using smart devices, was lacking in th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effective smart 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