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代 北方지역에 나타난 縣城의 置廢

        유영아(劉英雅)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57 No.-

        縣城은 秦漢의 郡縣化•集權化되는 과정에서 國家의 政治勸力이 침투하는 가장末端의 行政組織이다. 이는 商周시대 이후 點在되어 있던 都市國家가 秦漢시기領域支配의 단계로 점차 擴大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勸力이 집중되는 장소는 城郭集落인 縣城이 중심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縣城이 어떻게 존재하느냐를 고찰하는 것은 國家勸力이 어떻게 관철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가된다. 縣城이 어떠한 발생과정을 거쳐서 성립하였는가에 관한 연구 중에서 木村正雄이 제시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前漢과 後漢의 현성의 위치를 비교하였다.단 기존 木村正雄은 縣이 位置하는 지역의 立地條件과 生産體制의 관계에 注目하여 廢縣의 상황을 설명하고 있었다면 여기서는 縣의 置廢가 지역에 나타난 공통되거나 혹은 다른 경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방법은 後漢 初에도 縣城으로서유지되고 있는 상황에 주의하면서 後漢初期 혼란으로 인하여 縣城이 省廢되는 상황이 있었지만 여전히 폐지되지 않고 유지되는 縣城 혹은 그것을 유지시키도록하는 상황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그 결과 北方邊郡은 비록 많은 廢縣이 이루어졌지만 漢王朝는 그 지역을 경영하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前•後漢의 郡治의 移動 상황을 보면 많은 郡들이 남쪽으로 후퇴하였지만 北地郡과 朔方郡은西北방향으로 옮겨서 여전히 오아시스 灌漑 경영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匈奴와의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전략적인 교통로가 단절되고 都尉에 의한 방어선이 무너지는 곳도 있었지만 內徙된 郡을 經營하기 위해서 都尉의 治所를 둔 縣城을 배치하는 노력도 계속되었다고 할 수 있다. 縣城是秦漢時期郡縣化•集權化形成過程中體現國家政治權利的最末端行政組織。這意味著自商周時代以後以點分佈的城市或國家在向秦漢時期的領域支配階段擴大的過程中作為城郭集落的縣城成為其擴大的中心。因此考察縣城的存在形態是可以體現國家權利貫徹方式的標誌。關於縣城經歷怎樣的發展過程而成立的各項研究中,木村正雄提出過一系列的研究方法,本文將利用該研究方法,對前後漢的縣城位置進行比較。木村正雄的研究中,重點在於說明設立縣城該區域的立地條件與生產體制的關係,而本文將試圖尋找縣城置廢區域所體現的共同點或不同的傾向。本文研究方法旨在於觀察後漢初期縣城維持的情況,以證明後漢初期由於政局動蕩,省廢的縣城以及維持如前的縣城或試圖維持的縣城的存在。研究結果表明,雖然北方邊郡地域的廢縣比較多,但是依然可以發現漢王朝對該地域並未放棄對經營該地域做出了努力的事實。對於前•後漢郡治移動情況的研究結果表明,許多郡雖然向南退移,但是北地郡與朔方郡向西北方向的遷移表明,漢王朝統治者試圖維持對綠洲灌溉的經營。並且在對匈奴的戰略中,雖然起到過重要作用的戰略性交通要道被阻斷以及依靠都尉府建立的防線部分淪陷,但是為了經營內徙郡城,漢王朝統治者依然做出過設立都尉治所(都尉府)縣城的努力。

      • SCOPUSKCI등재

        산림 소유역 생태계에서 질소와 황의 유입량, 유출량과 물질수지

        유영한,김준호,문형태,이창석,You, Young-Han,Kim, Joon-Ho,Mun, Hyeong-Tae,Lee, Chang-Seok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3

        생태계의 필수원소이고 대기오염의 주물질인 질소와 황의 유입량, 유출량과 연물질 수지를 밝히기 위하여 집수역의 특성이 알려지고, 수문학 연구시설이 구비된 산림청 임업연구원 중부시험장내 광릉시험림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소유역 생태계에서 강수량과 유출수량을 측정하고, 이 속에 있는 두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수문학적 자료와 통합하였다. 광릉의 연평균 강수량은 $12,916\;ton{\cdot}ha^{-1}{\cdot}yr^{-1}$이었고, 연평균 유출량은 각각 5,094(39%)와 $7,467\;ton{\cdot}ha^{-1}{\cdot}yr^{-1}$(59%)로서 침염수림이 활엽수림보다 더 낮았다. 강수에 의한 $N({NO_3}^-+{NH_4}^+)$와 ${SO_4}^{2-}$의 연 평균 유입량은 각각 12.50과 $81.72\;kg{\cdot}ha^{-1}{\cdot}yr^{-1}$ 이었다. 유출수를 통하여 생태계로부터 유출되는 $N({NO_3}^-+{NH_4}^+)$와 ${SO_4}^{2-}$의 유출량은 침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0.06과 $39.23\;kg{\cdot}ha^{-1}{\cdot}yr^{-1}$이었고, 활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0.15, $55.46\;kg{\cdot}ha^{-1}{\cdot}yr^{-1}$로서 질소와 황은 생산성이 높은 천이초기 단계에 있는 침엽수림이 극상단계에 있는 활엽수림 소유역보다 적었는데 이는 물질생산에 의하여 이들 물질이 생물체의 조직에 축적되었음을 시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계산한 $N({NO_3}^-+{NH_4}^+)$와 ${SO_4}^{2-}$의 연수지는 침엽수림소유역 에서 각각 +12.46, $+42.49\;kg{\cdot}ha^{-1}{\cdot}yr^{-1}$ 활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11.35, $+26.26\;kg{\cdot}ha^{-1}{\cdot}yr^{-1}$로서 두 생태계에 축적되었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budget and cycling of Nitrogen and Sulfur, essential elements and principal constituents of acid rain, their input through precipitation, and their output by streamflow were quantified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ed watersheds, using combination of nutrient concentration and hydrological analysis,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from July 1991 to December 1993. Amount of annual mean precipitation was $12,916\;ton{\cdot}ha^{-1}{\cdot}yr^{-1}$, annual mean runoff $5,094\;ton{\cdot}ha^{-1}{\cdot}yr^{-1}$(39%), $7,467\;ton{\cdot}ha^{-1}{\cdot}yr^{-1}$(59%)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watersheds, respectively. Amounts of annual input of $N({NO_3}^-+{NH_4}^+)$ and ${SO_4}^{2-}$ through preciptation were 12.5, $81.72\;kg{\cdot}ha^{-1}{\cdot}yr^{-1}$, repectively. Annual output via runoff of $N({NO_3}^-+{NH_4}^+)$ and ${SO_4}^{2-}$ were 0.06, $39.23\;ton{\cdot}ha^{-1}{\cdot}yr^{-1}$ in the coniferous forest watershed ecosystem, and 0.15, $55.46\;ton{\cdot}ha^{-1}{\cdot}yr^{-1}$ in the deciduous on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annual nutrient input and output, the annual budget of $N({NO_3}^-+{NH_4}^+)$ and ${SO_4}^{2-}$ were +12.46, $+42.49\;ton{\cdot}ha^{-1}{\cdot}yr^{-1}$ in the coniferous forest watershed, and +11.35, $+26.26\;ton{\cdot}ha^{-1}{\cdot}yr^{-1}$ in the deciduous one. Thus $N({NO_3}^-+{NH_4}^+)$ and ${SO_4}^{2-}$ were accumulated in both forested watershed ecosystems.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산림 소유역 생태계에서 질소와 황의 유입량, 유출량과 물질수지

        유영한,김준호,문형태,이창석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2

        생태계의 필수원소이고 대기오염의 주물질인 질소와 황의 유입량, 유출량과 연물질 수지를 밝히기 위하여 집수역의 특성이 알려지고, 수문학 연구시설이 구비된 산림청 임업연구원중부시험장내 관릉 시험림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소유역 생태계에서 강수량과 유출수량을 측정하고, 이 속에 있는 두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수문학적 자료와 통합하였다. 광릉의 연평균 강수량은 12,916 ton·ha/sup -1/·yr/sup -1/이었고, 연평균 유출량은 각각 5,094(39%)와 7,467 ton·ha/sup -1/·yr/sup -1/(59%)로서 침엽수림이 활엽수림보다 더 낮았다. 강수에 의한 N(NO₃/sup -/+NH₄/sup +/)와 SO/sup 2-/₄의 연평균 유입량은 각각 12.50과 81.72kg·ha/sup -1/·yr/sup -1/이었다. 유출수를 통하여 생태계로부터 유출되는 N(NO₃/sup -/+NH₄/sup +/)와 SO/sup 2+/₄의 유출량은 침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0.06과 39.23 kg·ha/sup -1/·yr/sup -1/이었고, 활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0.15, 55.46kg·ha/sup -1/·yr/sup -1/로서 질소와 황은 생산성이 높은 천이초기 단계에 있는 침엽수림이 극상단계에 있는 활엽수림 소유역보다 적었는데 이는 물질생산에 의하여 이들 물질이 생물체의 조직에 축적되었음을 시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계산한 N(NO₃/sup -/+NH₄/sup +/)와 SO/sup 2-/₄의 연수지는 침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12.46, +42.49kg·ha/sup -1/·yr/sup -1/, 활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11.35, +26.26 kg·ha/sup -1/·yr/sup -1/로서 두 생태계에 축적되었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budget and cycling of Nitrogen and Sulfur, esential elements and principal constituents of acid rain, their input through precipitation, and their output by streamflow were quantified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ed watersheds, using combination of nutrient concentration and hydrological analysis,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from July 1991 to Decmeber 1993. Amount of annual mean precipitation was 12.916 ton·ha/sup -1/·yr/sup -1/, annual mean runoff 5,094 ton·ha/sup -1/·yr/sup -1/(39%), 7,647 ton·ha/sup -1/·yr/sup -1/(59%)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watersheds, respectively. Amounts of annual input of N(NO₃/sup -/+NH₄/sup +/) and SO/sup 2-/₄ through preciptation were 12.5, 81.7 kg·ha/sup -1/·yr/sup -1/, respectively. Annual output via runoff of N(NO₃/sup -/+NH₄/sup +/) and SO/sup 2-/₄were 0.06, 39.23 ton·ha/sup -1/·yr/sup -1/ in the coniferous forest watershed ecosystem, and 0.15, 55.46 ton·ha/sup -1/·yr/sup -1/ in the deciduous on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annual nutrient input and output, the annual budget of N(NO₃/sup -/+NH₄/sup +/) and SO/sup 2-/₄were +12.46, +42.49 ton·ha/sup -1/·yr/sup -1/ in the coniferous forest watershed, and +11.35, +26.26 ton·ha/sup -1/·yr/sup -1/ in the deciduous one. Thus N(NO₃/sup -/+NH₄/sup +/) and SO/sup 2-/₄were accumulated in both forested watershed ecosystems.

      • 7차 초등학교 교과서의 생명영역에 나타난 생태분류학적,논리적 오류, 오개념과 이의 정정 및 그 개선안

        유영한,손영목,이희선,유미애,김미희,이창석 韓國生物敎育學會 2002 생물교육 Vol.30 No.4

        We analysed and corrected the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the life science part of the 7t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ith special reference to ecology, taxonomy and logic, and then corrected it, finally suggested the strategy to reduce the ones in the textbooks. The number of error and misconception items of each field was 25 in ecology, 59 in taxonomy, and 36 in logic, respectively. These errors and misconceptions were found through out all the 7t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especially high in the legends, contents of figures, photographs and the sections of something reading. We corrected them on the base of cited literatures.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and misconception in the life science p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t was addressed that experts major in taxonomy and ecology should participate in the writing and editing the textbooks, and there are should be enough time more than years to prepare the textbooks.

      • KCI등재후보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에서 새섬매자기 개체군의 쇠퇴 원인과 복원 방안

        유영한 한국습지학회 2008 한국습지학회지 Vol.10 No.2

        한강하구에서 천연기념물 개리와 재두루미 등의 주요 먹이원인 수생식물 새섬매자: 기(Scirpus planiculmis)의 개체군 감소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1) 주변 경쟁 초본과의 개체군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2) 토양이 퇴적이 되어 토심이 깊은 곳에서 자라는 집단과 그렇지 않는 곳에서 자란 것 간의 활력도를 비교하고, 3) 실내조건에서 새섬매자기를 양묘하여 괴경의 분포를 관찰하고, 4) 이를 근거로 새섬매자기 서식지복원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새섬매자기는 한강하구습지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수생식물인 갈대나 줄 등에 비하여 지상부 물질생산량과 지하부 물질생산량이 낮고, 키도 작고, 번식력도 낮았다. 또한 습지에 퇴적되는 곳의 새섬매자기 개체군은 퇴적되지 않는 곳에서 자라는 집단보다 땅속덩이줄기생산량, 지하부생산량, 지상부생산량, 종자생산량이 훨씬 감소되었고, 키도 작았다. 이상적인 조건에서 새섬매자기의 괴경은 얕은 토심(15c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강하구에서 새섬매자기가 다른 수생식물보다 경쟁력이 약하고, 한강하구에서 괴경이 깊은 흙에서 출현하는 것이나 개체군 쇠퇴의 원인이 토양의 퇴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새섬매자기 개체군 유지와 보전을 위해서는 퇴적이 되지 않도록 한강하구 습지 내 물이 흐르도록 물길을 조성하고, 경쟁종을 제거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factors that diminish the population size of Scirpus planicumis in Han River Esturay Wetland Conservation Area of South Korea, I analysed the autoecological traits of competitive hydrophytes over the species, compared the performance ability of Scirpus planicum group inhabited between in soil-accumulated site and in soil-unaccumulated site, and suggested the management strategy of restoration of this plant based on the field survey. Scirpus planicumis had lower competitive ability than other hydrophyte such as Phragmites australis, Zonia latifolia, Typha augustifola. in terms of dry matter production, height, and reproductive regime. S. planicumis group in soil-accumulated site had lower tuber production, lower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roduction than that of in soil-unaccumulated site, and plant height was shorter in soil-accumulated than in soil-unaccumulated condition. Tuber was appeared in lower soil depth within 15cm in laboratory cond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il-accumulated condition is the dominant factor caused the decreasing of population size of S. planicumis. It was urgently suggested that constructing a water ways to removed accumulated soil layer is need to restore the population size of S. planiculmus in this wetland.

      • SCOPUSKCI등재

        여천공업단지의 복원을 위한 우리나라 주요 목본식물 중 내성종의 선발

        유영한,이창석,김준호 한국생태학회 1998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1 No.4

        To select tolerant species among the Korean major woody plants for restoring disturbed ecosystems by air and soil pollution, we transplanted the seedlings of 56 species in control and polluted sites within Yeocheon industrial complex area, and compared their aboveground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total branch length, total leaf weight, and maximum photozynthetic rate. Tolerant species growting better in polluted site than in control site was Quercus variabilis, Pinus thunbergii, Q. aliena, P. densiflora, Styrax japonica, Alnus firma, Celtis sinensis, Elaeagnus umbellata, Q. serrata, japonica, Sorbus alnifolia, and Q. acutissimia in local tree occuring within polluted area group (80%), Ailanthus altissima in street tree group (20%), 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A. hirsuta var. sibirica in fast growing tree group (50%), Acer ginala and Abies holophylla in late successional tree group (20%), Betulla platyphylla var. japonica, Acer truncatum, A. palmatum, Syringa dilatata, and Rosa multifora in garden tree group (38%), and Q. rubura, and Robinia pseudoacacia in foreign restoring tree group (20%), respectively. The remaining plant species, 37 species (57% of total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sensitive species to pollution. Those tolerant species can be utilized for restoration of the degraded ecosystem in this polluted area.

      • KCI등재

        張家山漢簡 〈二年律令〉 傅律(354簡-366簡)

        유영아(劉英雅) 한국목간학회 2011 목간과 문자 Vol.8 No.-

        張家山漢簡 『二年律令』 「傅律」은 국가가 稅役부과 대상을 파악하고 장부에 등재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정의하는 ‘傅’의 기준과 절차를 규정한 것이다. 특히 그 규제의 기준이 爵級에 의하여 차등으로 적용되는 것이 많았다. 354簡에서 357簡까지는 爵級에 따라 ?米의 지급, 授杖, 免老, 晥老에 도달하는 연령을 달리 규정하고 있다. 358簡은 簡이 둘로 나누어져 있고 글자가 결여된 곳이 있기는 하지만 5인이상의 子가 낳아서 그들이 일정한 연령에 도달할 경우 父가 免老가 되는데, 그 연령이 父爵 혹은 爵에 의해 규정된다. 359簡-365簡에서는 有爵子의 後者(爵계승자)를 제외한 子들에게 父爵에 비해 일정등급 체감된 爵을 사여하고 인원에 제한을 두었다. 또한 父의 爵級과 본인의 爵級에 따라 각각 상이한 傅의 연령을 규정하여 爵 4級 不更 이하 및 無爵者인 경우 子가 傅되는 연령은 20세였고, 20세이상 24세까지는 父爵과 본인 爵에 따라 우대 받았다. 한편 ‘傅’의 대상을 연령 이외에 장애와 신장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父의 家業이 세습되는 職責인 경우에도 ‘傅’의 연령이 정해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