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방암 세포에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MAPK 경로를 통한 apoptosis 유도

        정기환(Gi Hwan Jung),김성현(Sung Hyun Kim),우중석(Joong Seok Woo),유은선(Eun Seon Yoo),이재한(Jae Han Lee),한소희(So Hee Han),정수현(Soo Hyun Jung),김세만(Sae Man Kim),김은지(Eun Gee Kim),신만재(Man Jae Shin),조호민(Ho Min Cho),정지윤(J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9

        황칠나무 잎 추출물(DPL)은 염증, 당뇨병, 암 등 다양한 질병에 예로부터 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 세포사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유방암 세포 SK-BR-3에 대한 세포사멸 효과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실험을 통해 DPL이 유방암 세포 SK-BR-3에서의 증식 억제와 apoptosis를 통한 세포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DPL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MTT 분석을 수행했고 세포 생존율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DAPI 염색은 DPL에 의해 발생한 세포 형태학적 변화와 apoptotic body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annexin V/PI 염색후 유세포 분석을 통해 세포 apoptosis 비율의 증가를 확인했다.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수행하였으며, cleaved-PARP과 pro-apoptosis 단백질인 Bax의 증가와 anti-apoptosis 단백질인 Bcl-2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MAPK 경로 단백질 p-ERK1/2, p-JNK 및 p-p38의 발현 수준의 변화도 확인하였으며 p-p38의 유의미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DPL은 유방암 세포 SK-BR-3에서 p-p38 MAPK 경로 조절을 통해 세포사멸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Dendropanax morbiferus leaves (DPL) has been used as a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in various diseases such as inflammation, diabetes, and cancer.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o have anticancer effects on several types of cancer cells, but the anticancer effect on breast cancer cells SK-BR-3 has not yet been revealed. Therefore, in this study, DPL caused proliferation inhibition in breast cancer cells SK-BR-3 and the anticancer effect by inducing apoptosis was confirmed, through an in vitro experimen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DPL on cell viability, MTT assay was performed to confirm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ell viability. DAPI staining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PL on cellular morphological changes and increase of apoptotic bodies. To supplement this, an increase in the apoptosis rate was also confirmed through flow cytometry after staining with annexin V/PI. Western blot was performed to confirm apoptosis-related proteins. DPL increased the expression of Cleaved-PARP, Bax wherea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MAPK pathway proteins p-ERK1/2, p-JNK, and p-p38 were also confirmed,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p-p38 was observ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PL induced apoptosis, through p-p38 MAPK signal pathway in SK-BR-3 breast cancer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