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lastic필름 포장에 따른 옥수수 전분과 분리 대두단백질의 이성분 혼합물의 흡습특성

        김덕웅(Duck-Woong Kim),우상규(Sang-Gyu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7 No.3

        전분가공식품의 주요 원료인 옥수수전분과 단백질 강화 또는 육란백질의 대치 단백질인 분리대두단백질을 사료로 하여 전분-단백질의 이성분혼합비율을 오늘날 흔히 사용되고 있는 plastic flim으로 포장하여 상대습도 90%와 40%에서 포장재료의 성질이 흡습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br/> 포장재료별 투습도는 0.02㎜ LDPE필름이 32.60 g / ㎡ /24hrs, 0.04㎜ LDPE필름이 14.01 g / ㎡ / 24hrs, 0.02㎜ OPP 필름이 7.30 g / ㎡ /24hrs, 0.04㎜ OPP 필름이 3.37 g / ㎡ /24hrs 그리고 0.02㎜ LDPE / 0.02㎜ OPP coating 필름이 4.86 g / ㎡ /24hrs 로서 동일한 두께성에서 비교해 볼 때 LDPE필름보다 OPP필름이 습기의 차단성이 대략 4배이상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br/> 또 식품시료를 포장하여 저장하는 경우도 동일한 두께의 LDPE필름보다 OPP필름이 습기의 차단성이 우수하였다.<br/> 그리고 포장한 혼합물의 저장시간에 따른 흡습속도는 일반적으로 전분함량보다는 단백질함량이 많을 수록 흡습속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orption properties of corn starch(CS) and Soy protein isolates(SPI) in plastic films packaging were investigated for binary system. The mixture were sealed in plastic films of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oriented polypropylene(OPP) and LDPE/OPP coated film and packaging effect on the changes of moisture sorption during storage at 40℃ were studi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water vapor permeability of material films was 32.6 g/㎡/24hrs(below g) for 0.02 ㎜ LDPE fIlm, 14.01 g for 0.04 ㎜ LDPE film, 7.30 g for 0.02 ㎜ OPP film, 3.37 g for 0.04 ㎜ OPP film and 4.86 g for 0.02 ㎜ LDPE/0.02 ㎜ OPP coating film at 40℃ 90%RH, therefore the OPP film was more effective than LDPE film on the resistance of relative humidity. And the OPP film packaging sealed mixture of food samples was also more efective then LDPE film, having same thickenss for increase of water vapor permeability during storage at 40℃. A general increase in sorption rate was found more in SPI than CS in the packaged mixtures.

      • SCOPUSKCI등재

        건오징어 추출물의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김동수(Dong-Soo Kim),김영명(Young-Myoung Kim),우상규(Sang-Gyu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4

        건조오징어의 주요 유기산성분을 조사하고 이들 성분의 추출용매와 추출시간에 따른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건조오징어의 주요 유기산성분은 lactic acid, pyroglutamic acid, succinic acid 및 citric acid였고 이들중 lactic acid와 pyroglutam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5% 이상을 차지하였다. 물로써 추출했을 때 추출 2시간에 310.1㎎%로 가장 높았고 70% 에탄올로 추출했을 때 동일 추출시간에서 3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br/> 한편 추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체적인 유기산의 총량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개별 유기산의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The extracts of dried squid (Sepiella maindroni) were prepared with water and 70% ethanol at boiling point, and the major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extracts were investigated. Eight kinds of nonvolatile organic acid were identified as lactic, oxalic, succinic, malic, citric, pyroglutamic, malonic, and β-ketoglutaric acid. Total amount of nonvolatile organic acid in the extracts prepared with water changed from 205.2㎎% to 310.1㎎% with extraction time, while the extracts prepared with 70% ethanol were 272.4㎎%~347 .6㎎%. The major components were in the range of 61.7%~70.9% lactic acid, 16.4~22.6% pyroglutamic acid, 5.0~9.9% succinic acid, 4.0~8.2% citric acid, and total amount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extracts increased until 2 hour of extraction regardless of extraction solvent, and then decreased slow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