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해화학물질 수송용 차량의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설지우(Ji Woo Seol),용종원(Jong Won Yong),채충근(Chung-Keun Chae),태찬호(Chan Ho Tae),고재욱(Jae Wook Ko) 한국가스학회 2015 한국가스학회지 Vol.19 No.5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은 사고 발생 시, 화학물질 사고에 익숙하지 않은 소방대원들이 대응하게 된다. 그 결과 소방대원들이 2차 피해자가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소방대원들이 올바르게 대응하여 2차 피해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험물 수송용 탱크차량 사고를 위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위험성 평가 기법과, 가이드라인 작성방법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의 잠재 위험을 식별하고, 각각에 대하여 guideword를 부여하여 가이드라인 항목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방법, 국내 규정등을 이용하여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ccidents of HAZMAT transport vehicle are generally dealt by unskilled firefighters. As a result, firefighters became 2nd victims of accidents in some case because of this reason, and it is required to prepare an accident response guidelines against HAZMAT transport vehicle accidents. In this study, risk assessment methods and making methods of guidelines were investigated to make accident response guidelines of HAZMAT transport vehicle accidents. and It identifies hazards and combines with guideword for making guideline items. At last, we determine criteria or detailed methods by referring survey regulations and existed methods.

      • KCI등재

        가연성 금속분진 폭발시 저장 및 포집용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장창봉(Chang Bong Jang),용종원(Yong Jong Won),백종배(Jong Bae Baek),권혁면(Hyuck Myun Kwon),고재욱(Jae Wook Ko) 한국가스학회 2011 한국가스학회지 Vol.15 No.5

        최근 산업구조가 미래 첨단산업 위주로 전환되면서 자동차를 비롯한 항공기, 휴대폰, 전자기기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제품에 Al, Mg, Li, Zn과 같은 가연성 금속의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연성 금속의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분진에 의한 폭발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금속분진에 의한 폭발사고는 가연성 금속분진을 포집 및 저장하는 국소배기설비의 공기정화장치에서 대부분 발생함에 따라 공기정화장치내 폭발 발생시 폭발압력에 의한 공기정화장치 구조물의 변형과 파열형태를 단순 예측이 아닌 유한요소해석(FEA)법에 의해 기술적으로 분석 및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Due to the latest industrial flow comes mainly switch to high-tech industries, combustible metals as Al, Mg, Li, Zn more require to use for the aircraft, car, cell phones, electronics and others. As a result, Increasing the processing of combustible metals due to increase in amount of combustible metals giving rise dust explosions also. Most Explosions caused by combustible metal dust, occurred in air cleaning device of local exhaust ventilation to capture and store the combustible dus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and analyze technically that deformation and rupture shape of air cleaning device structure by Finite Element Analysis(FEA) rather than a simple prediction, in case of explosion occurs in an air cleaning device.

      • KCI등재

        BCP 기법을 활용한 화학공장에서의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양재모 ( Jae Mo Yang ),설지우 ( Ji Woo Seol ),용종원 ( Jong Won Yong ),고상욱 ( Sang Wook Ko ),박철환 ( Chul Hwan Park ),유병태 ( Byung Tae Yoo ),고재욱 ( Jae Wook Ko )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2 No.6

        화학공장에서 사고를 예방하려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들은 규모가 크고, 초동 대응의 결과에 따라 인명, 재산 피해 규모가 달라진다. 따라서 사고 발생 이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던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법과 국내법령 등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조사하고, 기존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방법에 BCP 기법을 적용하여,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위한 구성 요소, 대응단계, 개선 절차 등을 제시하였다. Even if many studies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n chemical plant have been carried out, recently more severe accidents in chemical plants have occurred continuously. These have a large potential impact and the loss of casualties and economic can vary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early emergency responses. Thus, in order to mitigate the impact of accidents, the studies preparing the guidelines for emergency response have to be urgently needed. In this study, the current emergency responses guidelines and regulatio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drawbacks. And, to tackle these, BCP(Business continuity plan) method was used to improve the activities of early emergency responses as suggesting the basic components, response steps, feedback and procedures of the emergency responses.

      • KCI등재

        이동식 탱크차량을 위한 사고대응 프로그램 개발

        이현진(Hyun-Jin Lee),한승훈(Seung-Hoon Han),채충근(Chung-Keun Chae),용종원(Jong-Won Yong),태찬호(Chan-Ho Tae),고재욱(Jae-Wook Ko) 한국가스학회 2015 한국가스학회지 Vol.19 No.5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탱크차량의 사고대응을 위해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사고대응 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이드라인은 잠재원인 식별 후,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절차에 따라 작성하였고, 최초 물질 데이터베이스는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를 적용하여 구축했으며, 데이터베이스 간의 유사점 확인을 통해 사고대응에 최적화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Case Study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This study develop accident response program for the hazardous materials(HAZMAT) transport vehicle with materials database and guidelines for accident response. Guidelines was developed by guideline develop processes of FEMA after identify hazards. Developed material database was applied the GHS. also database was optimized by removing data that can confuse to accident response. Finally, This study verify developed programs through case study.

      • KCI등재

        CNG충전소 안전·운영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양재모(Jae Mo Yang),김범수(Bum Su Kim),용종원(Jong Won Yong),고병석(Byung Seok Ko),이동혁(Dong Hyuk Lee),고재욱(Jae Wook Ko) 한국가스학회 2011 한국가스학회지 Vol.15 No.6

        유해 위험 요인이 있는 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현장 종사자뿐만 아니라 관리자와 경영자도 해당 시설물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는 대부분의 CNG충전소는 로컬형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웹상에서 운용할 수 있는 충전소 관리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U-G는(Ubiquitous Gas Safety Management System)라고 명명 하였다. U-GSMS는 크게 프로그램 부분과 하드웨어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프로그램 부분은 안전과 운영을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하였으며 하드웨어 부분은 가스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는 센서, 센서간의 통신 그리고 센서와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하여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을 적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U-GSMS 중 프로그램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All over the nation, a lot of industrial complex utilize gas as their energy source. Possibilities are fire, explosion, and leakage could happen any time in these large complexes. To prevent these tragic accidents and to minimize the damage when the accident occurs,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echnology for these facilities is imperative. The safety check is conducted on an individual and partial basis, currently. Accordingly, the accumulation and improv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is necessary in order to make all the different checking techniques and management systems compatible, since checking processes, result interpretation techniques, and subsequent prognoses are not the same. The program provides damage scenarios from gas leakage. The output enables policy makers to predict the degree of infliction. Through this program, engineers are able to design an effective gas safety program to operate and maintain ubiquitous gas facilities.

      • KCI등재

        사고대비물질 취급 사업장 Layout기반 위험작업 Mapping 방법론 개발

        김진형 ( Jin Hyung Kim ),양재모 ( Jae Mo Yang ),용종원 ( Jong Won Yong ),고병석 ( Byung Seok Ko ),유병태 ( Byung Tae Yoo ),고재욱 ( Jae Wook Ko )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2 No.6

        사고대비물질 취급 사업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일반 화학물질사고보다 더 많은 인명, 재산피해를 야기한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여러 시스템들과 제도들을 개발하고 있지만, 사고발생의 주원인인 작업자의 오류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9월 구미 불산 누출사고 case study를 통해 국내기술지침들을 기반으로 위험작업 수치화 및 잠재위험확인, 작업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시스템들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risk mapping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If an accident occurs at work places that handle ``the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it causes more property damage and casualties than accidents of normal chemical substances. Even though various systems and regulations have been operated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echniques for reducing and removing human error, which is one of the main reasons of accidents, are still inadequate. In this paper, hazardous work digitization, potential hazard verification, and work evaluation based on domestic technical guidelines have been perform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accident of hydrofluoric acid leakage in Gumi in September 2012, and development of a new risk mapping method has been studied to supplement existing systems.

      • KCI등재

        구미 불산사고 사례연구를 통한 예측모델 피해영향범위 비교

        김진형 ( Jin Hyung Kim ),정창모 ( Changmo Jeong ),강석민 ( Seok Min Kang ),용종원 ( Jong-won Yong ),유병태 ( Byungtae Yoo ),서재민 ( Jae Min Seo ) 한국화학공학회 201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5 No.1

        유독물 취급업체수가 증가하고 취급업체들이 다루는 물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그 양도 증가함에 따라 국내 화학사업장 사고의 심각성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2012년 구미 불산 사고를 들 수 있다. 화학사고 발생 시 화학물질 특성과 주변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예측모델의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예측모델들은 실험을 통해 그 정확도를 검증된 적은 있지만, 예측모델들간의 계산 결과 비교를 통해 어떠한 경우에 어떤 모델이 가장 적합한지에 대한 활용성 부분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미 불산 사고를 사례연구로 선정하고 불화수소의 누출과 확산에 가장 정확하다고 알려진 HGSYSTEM을 이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ERPG-2기준농도 기준으로 사고 지점으로 부터 1 km 이상 확산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LOHA와 CARIS의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대표적인 예측 모델들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Since the number and the amount of toxic substances handled by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serious chemical accidents has become severe. According to Chemistry Safety Clearing-house (CSC), the number of chemical accidents for the last five years has been rapidly raised. A representative example which shows the serious impact of a chemical accident is HF (Hydrogen Fluoride) accident generated in Gumi in 2012. In order to make effective responses for mitigating losses of accidents, the most suitable consequence model has to be selected and implemented throughout the considerations of chemical properties and environments. Even if each consequence model has been verified by the results of experimen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ompare the usability of them according to various scenarios. In this study, the Gumi HF accident is simulated by HGSYSTEM, which is the most specialized model for the release and dispersion of HF. It is found that the ending point of ERPG-2 is about 1 km from the accident poi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nsequence models (ALOHA and CARIS), the results of them are compared with one of HG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