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소하천의 저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이상구(Lee Sang-Gu),유상호(Yu Sang-Ho),오상용(Oh Sang-Yong),민일규(Min Il-Kyu),민병형(Min Beung-Hyeung) 동아대학교 해양자원연구소 2002 동아대학교 해양자원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4 No.-

          To stand river capital planning, flow situation like low-flow in small rivers used to be calculated as the ratio of area by flow situation in other large rivers. Which is because the small rivers don"t have a survey about the small watershed area water-level and discharge.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low-flow estimation computerizing the dearth water discharge amount in small rivers.<BR>  The low-flow statistics which is calculated by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watershed area(A), the average basin slope(S), the void ratio(V), the volume of pores(V<SUB>f</SUB>), the mountain ratio(M) and the year average amount of rainfall(R) is as follows.<BR>  Q = 0.00245 A<SUP>0.516</SUP> S<SUP>-0.024</SUP> V<SUB>f</SUB><SUP>0.014</SUP> M<SUP>-0.061</SUP> R<SUP>0.079</SUP>

      • KCI등재후보

        알코올 기인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발생의 위험요인

        장준동(Jun-Dong Chang),이상훈(Sang-Hun Lee),오상용(Sang-Yong Oh),위영훈(Young-Hoon Wi),이재성(Jae-S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알코올 기인성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환자를 대상으로 음주 습관을 포함한 생활 습관과 지방대사에 관련된 혈청 생화학적 지표들을 역학적으로 분석하여 이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밝혀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후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환자 250명(333 고관절)을 분석하였다. 이들 중 음주 이외에 이 질환과 관련된 원인적 요인이 없었던 169명의 환자를 질환군으로 하여 성별, 나이, 직업, 교육 정도 등이 통계적으로 일치하며 무혈성 괴사가 없었던 338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환자 대조 연구를 시행하였다. 음주 습관, 흡연 습관, 체중, 키, 혈청 간기능 검사 수치(AST, ALT), 총 콜레스테롤치, 체표 면적지수를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환자에서 음주력은 42.8%에서 있었으며 음주 기간은 질환군이 평균 8.1년이었다. 1회 평균 음주량은 84.8g, 주당 음주량은 328.2g, drink-years는 4,330이었다. 비교 위험도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는 1) 음주빈도가 주당 4회 이상, 2) 1회 음주량이 90g 이상, 3) 주당 음주량 300g 이상, 4) drink-years가 6,000 이상인 경우, 5) 안주 섭취가 없었던 경우이었다. 이 외에 하루 흡연이 20개피 이상인 경우, 간수치가 정상보다 높았던 경우, 그리고 체표면적 지수가 25 이하인 경우였다. 결론: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발생에서 알코올의 섭취는 직접적인 용량-반응 관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음주 습관 또한 주요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회 음주량이 많은 경우가 무혈성 괴사 발생의 중요한 요인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ONFH) and the patterns of alcohol intake and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lcohol-induced ONFH using an epidemiologic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xamined 250 patients (333 hips) with ONFH, who were diagnosed based on the findings after a total hip arthroplasty. Among them, 169 patients who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etiologic factors except for a history of alcohol were selected in the case group. Thes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e 338 controls, which were matched for gender, age, occupation and education. The patterns of alcohol intake, cigarette smoking, the level of the liver function test and body mass index were statistically assess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ONFH. Results: The incidence of alcohol-induced ONFH was 42.8% in all ONFH patients. The average duration of alcohol ingestion was 8.1 years. The average quantity of alcohol per day, per week and drink-years were 84.8g, 328.6g and 4,330 respectively. The elevated relative odds were observed for 1) frequent drinkers (>4/week), 2) the amount of intake per day >90 g, 3) the amount of alcohol intake per week >300 g, 4) drink-year >6,000, 5) the patients had not consumed food with their drinks. A increased risk was found for smokers (>20 cigarettes/day), patients with an increased serum transaminase level and body mass index ≤25. Conclusion: Chronic alcohol intake showed significant dose-response relation in the development of ONFH. The Increased amount of alcohol per day was a more significant risk factor than the total duration of alcohol intake. The pattern of alcohol consumption is one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lcohol induced ONFH.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메밀 보충급여가 백서의 혈당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최면(Myeon Choe),김종대(Jong-Dai Kim),박경숙(Kyung-Suk Park),오상용(Sang-Yong Oh),이상영(Sang-Yo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0 No.4

        메밀보충급여가 백서의 혈압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 하고자 AIN-76 diet와 AIN-76 diet의 탄수화물원을 박피 메밀분으로 교체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하여 성장율, 혈당, 인슐린 분비능, 혈압 등의 변화를 측정하고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일실험 기간동안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대조군과 메밀투여군 사이에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메밀보충급여군은 혈당강하작용이 있음이 관찰 되었으며, 혈압은 유의성이 없으나 수치적으로 어느정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메밀보충급여에 의해 공복 시 혈청 인슐린 수준은 낮았으며 혈당을 투여한 후 혈중의 당이 증가하면 분비되는 인슐린 양도 빠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To investigate possible effects of buckwheat on blood glucose level and blood pressur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fed either AIN-76 diet or modified AIN-76 diet with buckwheat flour for 4 weeks. At the end of experiment, determinations of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level(glucose tolerance 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insulin levels in both fasted and glucose loaded serum, the animals in both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Blood pressure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group fed buckwheat(-6mmHg) but not significantly. Glucose tolerance curve of the animal fed buckwheat flour showed clearly different pattern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decreasing tendency. Mobilization of serum insulin was 1.5 times faster in buckwheat group than in control group 1 hour after glucose loading.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what substance(s) in buckwheat do this ro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를 이용한 경도 소음성난청의 청력손실 예측

        오상용,이원철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3

        목적: 본 연구는 순음청력검사 결과 이음향방사 검사의 반응이 소실되지 않은 4000 Hz에서 40 dB HL 이하인 소음노출 근로자들과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경도 소음성난청의 정도를 감별할 수 있는 변조 이음향방사 빈폭의 감별 기준점을 적용하였을 경우 변조이음향방사 진폭의 경도 소음성난청에 대한 정확도 및 예측도를 추정함으로서 경도 소음성난청자들에 대한 선별검사시 변조이음향방사 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변조이음향방사 검사의 반응이 소실되지 않은 4000 Hz에서 40 dB HL 이하인 경도 소음성난청 50귀 및 정상 81귀를 대상으로 변조이음향방사 검사와 순음청력검사를 실시하여 경도 소음성난청을 ㄱㅁ별할 수 있는 변조이음향방사 예측치를 구하고, 예측치의 민감도, 츠깅도, 예측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1표준편차 범위를 사용한 경우 4000 Hz에서 순음청력검사의 25 dB HL 이상과 20 dB HL이하 청력 역치를 감별하는 변조이음향방사 진폭의 기준점은 -1 dB SPL 이었으며 민감도 89.7% 특이도 90.2%, 예측율 90.0%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소음 노출 근로자들에 대한 특수검강진단시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를 함께 적용할 경우 소음성난청의 보다 효율적인 조기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p predetermine the discrimination standard point of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DPOAE) amplitudes, which discriminates the degree of the mild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to estimate the accuracy and predictability of the discrimination standard point of DPOAE amplitudes. Therefore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usability of the DPOAE test in screening exam for mild noise-induced hearing loss.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50 high frequency-impaired ears (from 25 dB HL to 40 dB HL at 4000 Hz for which the response of DPOAE was not disappeared) and 81 normal ears through the correlation test between the amplitudes of DPOAE test and the threshold of the pure-tone audiometry test. Results: The discrimination between ≥25 dB and ≤20 dB on hearing threshold with -1 dB SPL value of DP amplitude at 4000Hz produced a sensitivity result of 89.7% specificity of 90.2% and predictability of 90.0%. Conclusions: DPOAE test is considered as a more efficient early prevention method against noise-induced hearing loss if this test is conducted as part of the special medical sheckup of industrial workers exposed to noise.

      • 소하천의 저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이상구,유상호,오상용,민일규,민병형 東亞大學校 海洋資源硏究所 2002 硏究論文集 Vol.14 No.1

        To strand river capital planning, flow situation like low-flow in small rivers used to be calculated as the ratio of area by flow situation in other large rivers. Which is because the small rivers don't have a survey about the small watershed area water-level and discharge.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low-flow estimation computerizing the dearth water discharge amount in small rivers. The low-flow statistics which is calculated by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watershed area(A), the average basin slope(S), the void ratio(V), the volume of pores(V_f), the mountain ratio(M) and the year average amount of rainfall(R) is as follows. Q=0.00245 A^0.516 S^-0.024 V^0.014_f M^-0.061 R^0.079

      • KCI등재후보

        톨루엔 노출 근로자에서 요중마뇨산 배설농도로 평가한 호흡보호구 착용효과에 관한 연구

        김범석,박정일,임현우,김형아,오상용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보호구 착용 효과에 대한 실제적, 구체적자료를 제시함으로서 예방목적의 보호구 사용에 대한 근로자들의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함이다. 방법 : 서울시내에 소재한 일부 그라비아 인쇄소에서 톨루엔이 함유된 잉크 및 희석제를 취급하는근로자 2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미착용 상태와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착용후 작업환경 중 톨루엔 개인노출농도와 요중 마뇨산 시간별 농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 그라비아 인쇄소의 공기중 톨루엔 개인노출농도는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미착용일과 착용일에서 각각 147.52+57.34 ppm 및 134.55+52.44ppm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방독마스크 미착용일파 착몽일의 작업종료 후 요중 마뇨산 농도의 기하평균값은 각각 1.5) 10.33:1 g/L 및0.49(0.14) 하였으며 두 일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단. 방독마스크 미착용일에서 요중 마뇨산 농도는 근무시작 4시간 후(오후 작업시작전, 13:00)부터 유의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착용일에서는 근무종료시까지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착용 효과를 톨루엔 대사산물인 요중마뇨산 농도로 평가하면 착용시 농도가 미착용시에비하여 89.3% 감소하였다. 보호구 미착용일에 있어서 공기중 톨루엔 개인노출농도와 요중 마뇨산 농도는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났으며 회귀방정식은 Y(요중 마뇨산, g/L) =0. OO7x (공기중 톨루엔, ppm)+0.665로 계산되었다. 결론 : Fit Test등 올바른 보호구 착용 교육을 통한 전 작업시간에 걸친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보호구 착용은 직업적인 톨루엔 노출의 호흡기 흡수를거의 대부분 차단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raise workers' recognition of the effects of respirator use by providing concrete and practical data. Methods : Twenty-six workers who dealt with toluene based ink and diluents at a gravure printing office in Seoul were investigated. The toluene exposure level and urinary hippuric acid level were monitored under respirator non-wearing (RNW) and under respiratory wearing (RW) conditions. Results :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luene exposed to each worker through the air of gravure printing office were 147.52±57.34 and 134.55±52.44 ppm on respirator non-wearing day and respirator wearing day,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luene exposure concentration for the two days. The mean concentration of urinary hippuric acid in RNW and RW groups were 1.51 (0.53) g/L and 0.49 (0.14) g/L, respectively, as measured at the end of the workd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een in urinar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days. The urinar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began to increase at 4 hours after the start of the workday (13:00) in RNW.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until the end of the workday in the case of RW. The urinar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in RW reduced 89.3% as compared with the concentration seen in RNW.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luene concentration and the urinar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in RNW.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 (urinar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g/L) = 0.007 ×χ(toluene concentration in the air, ppm) + 0.665.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pirator intercepted most toluene that may have been absorbed Into the respiratory organs, and suggested that properly wearing a respiratory such as wearing the respirator during the entire workday and performing a proper fit tes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from toluene exp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