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탄화에 의한 커피박 연료특성

        오도건(Oh, Dohgun),김용현(Kim, Yonghyun),손홍석(Son, Hong-Seok)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3 신재생에너지 Vol.9 No.3

        This research analyzed the fuel characteristic change of spent coffee bean by torrefaction. The calorific value was increased from 4,974 kcal/kg to 6,075 kcal/kg (260?C, 30min), 6,452 kcal/kg (270?C, 30min), 6,823 kcal/kg (280?C, 30min), 6,970 kcal/kg (260?C, 30min). The highest energy yield was obtained when the spent coffee bean were torrefied on the condition of 280?C, 30min.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was decreased from 5.12% to 2.76% when the spent coffee bean were torrefied on the condition of 290?C, 30min. Lignin was increased from 11.33% to 14.39% on the condition of 260?C 30min. But it did not preferability to torrefy spent coffee bean at temperature of more than 270?C because lignin decreases to the level that is hard to make pellet.

      • 커피유 첨가에 따른 왕겨의 발열량 변화

        박정식 ( Jeongsik Park ),강병수 ( Byung-soo Kang ),오도건 ( Dohgun Oh ),유재상 ( Jae-sang Ryu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기술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한정적인 화석연료의 매장량과 기후변화문제 등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기술은 신재생에너지의 중요한 분야중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연료 즉 Bio-SRF 또는 목재펠릿등은 수급이 불안정하며 목재의 경우 가격적인 문제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간 100만톤 이상 발생하는 왕겨의 연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왕겨의 경우 일반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Bio-SRF 또는 목재펠릿보다 낮은 발열량과 높은 회분함량, 성형의 어려움 등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왕겨의 단점 중 하나인 낮은 발열량을 보완하기 위하여 폐 커피유를 연료 보조제로 사용하였다. 폐 커피유는 식품회사 등에서 수거된 커피찌꺼기를 펠릿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로 발열량은 9,240 kcal/kg으로 측정 되었다. 왕겨의 경우 조직이 치밀하여 수분 등의 액상 첨가제의 흡수율이 낮아 액상 첨가제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팽연화 기술을 사용하였다. 수분으로 포화시킨 왕겨와 팽연왕겨는 자연배수 상태에서 144시간 경과 후 수분 보유율이 왕겨의 경우 37.0 %, 팽연왕겨의 경우 50.7 %로 나타났다. 왕겨에 커피유를 흡수 시킨 후 거름망을 물리적인 탈착을 시킨 후 완전 건조 하였다. 발열량 측정 결과 폐 커피유를 첨가한 일반왕겨의 경우 6,890 kcal/kg, 폐 커피유를 첨가한 팽연왕겨의 경우 7,420 kcal/kg으로 발열량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뽕잎 발효 특성

        서승호(Seung-Ho Seo),박성은(Seong-Eun Park),김은주(Eun-Ju Kim),오도건(Dohgun Oh),손홍석(Hong-Seok S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

        Bacillus subtilis 균주를 이용하여 뽕잎을 발효하고, 발효과정 중 성분 변화와 단백질의 변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의 조단백 함량은 21.40%, 구성아미노산은 105.06 mg/g으로 측정되었으며, 그중 주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였다. 뽕잎 발효 36시간 후 B. subtilis의 생균수는 9.49 log CFU/mL였으며, protease의 활성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발효 120시간에는 97.45 units/mL로, 뽕잎의 환경에서 B. subtilis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2DE 실험 결과 발효 전 관찰되던 단백질 spot이 발효 후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발효 전(486.91 μg/g)보다 발효 후(644.35 μg/g) 증가하였으며, 특히 alanine, isoleucine, leucine, valine의 함량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발효 전 25.93%에서 발효 후 73.22%로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mulberry leaf using Bacillus subtilis by focusing on protein degrad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crude protein and total amino acid compositions of mulberry leaf were 21.40% (w/w) and 105.06 mg/g, respectively. The pH level decreased sharply in mulberry leaf extracts fermented using B. subtilis,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e in bacteria cell populations (9.49 log CFU/mL) during 36 h of fermentation. The protease activity of mulberry leaf increased to 97.45 units/mL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After fermentation, free amino acid contents in fermented mulberry leaf increased from 486.91 μg/g to 644.35 μg/g due to considerable elevation of isoleucine (6-fold), alanine (4.67-fold), leucine (4.52-fold), and valine (4.21-fol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ermented mulberry leaf also increased from 25.93% to 73.22%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berry leaf fermentation using B. subtilis can improve nutritional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