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인식과 권력의 관계: 정서지능과 목표관련성의 조절효과 검증

        이수란 ( Su Ran Lee ),이원표 ( Won Pyo Lee ),김가은 ( Ka Eun Kim ),염준규 ( Joon Kyoo Youm ),손영우 ( Young Woo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4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서지능 수준의 차이와 타인이 표현하는 정서가 가지는 목표관련성의 차이에 따라서 권력이 타인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권력을 조작하여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가 가지고 있는 목표관련성을 조작 한 후, 실험 1과 동일하게 권력을 조작하고 정서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권력을 가진 집단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권력을 갖지 못한 집단보다 타인의 정서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정서지능이 높은 경우에는 권력이 타인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았으나 중간 정도의 정서지능을 가진 참가자들은 권력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사진 속 정서의 목표관련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권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서판단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권력과 타인정서 인식능력의 관계를 밝힌 기존의 연구들이 살펴보지 않았던 개인의 정서지능과 정보의 목표관련성의 역할을 밝혔다는 것에 있다. 또한, 능력으로써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권력을 가졌다 할지라도 타인의 정보에 대한 동기수준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and goal-relev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al awareness.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sk to correctly indicate presented facial expressions of others after completing EI survey.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power" condition and the other half to the "powerless" condition. In Study 2, goal-relevance of expressed emotion was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EI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 decoding ability. While participant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EI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ower condition, participants with middle level of EI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ffect of power. In addition, the role of goal-relevanc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al awareness. When correctly indicating other`s emotion became important and thus emotional awarenes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goal, those who had power performed better than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