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관련 국내 간호연구 분석

        김형순(Kim, Hyoungsoon),반자영(Ban, Ja Young),윤지연(Yoon, Jee Yeon),나영희(Na, Young Hee),전진영(Jeon, Jin-Young),여순미(Yeo, Soon-mi),유지연(Yoo, Ji Yeon)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mes, concepts,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previous domestic research on the nursing of hematologic patients conducted through the last 10 yr, to find trends in the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the nursing of hematologic patient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72 nursing theses related to hematology sampled from domestic theses for a master’s or doctoral degree and papers published in six nursing journals register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January 2000 to July 2009. Results: Of the 72 theses, 51 were for a master’s degree, 7 for a doctoral degree, and 14 not for an academic degree. The concept covered most frequently in correlation research was ‘quality of life’ and concepts found in comparative research we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experimental research, the most common nursing intervention was oral care. The scale used most frequently was Spielberger’s Anxiety Scal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experimental research applying nursing interventions, and to use objective physiological indexes for more effective assessment in experimental research. Further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required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발표된 국내 석,박사 간호학위 논문과 한국 학술 진흥재단에 등재(등재 후보지포함)된 간호학 학술지 6개에 발표된 간호학 논문 중 혈액종양관련 연구 7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1) 혈액종양 관련 국내 연구의 출처는 석사학위 논문 51편,박사학위 논문 7편, 비학위 논문 14편으로, 비학위 논문은 종양간호학회지 6편, 아동간호학회지 4편, 임상간호연구 3편, 정신간호학회지 1편이었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4편으로10편을 제외하고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치료유형으로는 조혈모세포 이식환자 대상이 34편, 항암화학요법 환자 대상이 30편이었다. 환자 이외의 대상자로는 암환자가족이 4편, 간호사 3편, 골수 공여자가 1편이었다. 2) 연구 설계는 양적연구가 65편으로 실험연구가 18편, 비실험 연구가 47편이었다. 실험연구는 17편이 유사 실험연구였으며, 비실험 연구는 조사연구가 20편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상관관계 연구 13편, 방법론적 연구 8편, 비교연구 6편 순이었다. 질적 연구는 총 7편으로 현상학적 연구 5편, 근거 이론 연구 1편, 문화기술지 1편이었다. 3) 상관관계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개념은 삶의 질이었으며, 그 외 자가간호행위, 우울, 희망, 건강신념, 피로 등이 사용되었다. 4) 비교연구에서 나타난 개념은 스트레스, 삶의 질, 불안, 오심, 구토였다. 5) 방법론적 연구는 모두 8편으로 치료단계별 간호중재 프로토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삶의 질, 조혈모세포이식환자 가족의 요구사정, 조혈모세포이식병동 성과측정지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공여자 간호 표준 임상지침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표준 및 간호활동이 있었다. 또한 교육자료 개발에관한 연구로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가족 교육자료, 조혈모세포이식환자 교육지침서 개발이 있었다. 6) 실험연구에서 간호중재는 구강간호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손, 발, 등 마사지가 각 1편, 지시적 심상요법이 2편이었다. 7) 질적 연구는 7편으로 현상학적 연구 5편, 근거 이론 연구1편, 문화기술지 1편이었다. 연구주제는 재발경험, 청소년기 암환자의 경험이나 심리사회적 적응,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직계 간호 제공자의 경험 등이었다. 8) 측정도구는 대부분 외국의 도구를 번안하여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측정도구는 Spielberger의불안이 1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Eilers, burger & Peterrsen 의 구내염과 이순교의 삶의 질이 각각 5편에서 사용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