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영양지원팀 운영 및 관리의 실제

        양혜란,Yang, Hye R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suppl1

        Nutritional support team (NST) is a multidisciplinary group of nutrition professionals with interest and expertise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malnutrition and nutrition-related problems in hospital. The goal of NST is providing optimal nutrition to patients who need enteral and parenteral nutrition. Recently, NST is set up in some hospitals in Korea. However, until now, pediatric NST is not established in most hospitals. Because children admitted to hospital are at risk of malnutrition, NST is required to provide effective nutritional management for pediatric patients.

      • KCI등재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및 유전자형 분석 연구

        양혜란,지영미,고재성,서정기,Yang, Hye-Ran,Jee, Young-Mee,Ko, Jae-Sung,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2

        목 적: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는 소아에서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이다. 일부 소아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경과 중에 무열성 경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및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BIS-MG)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한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유전자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에서 2005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311명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의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장염 원인 바이러스를 검출하였고, 217명의 소아에서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하여 각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 위장관염 소아 환아 217명(남아 121명, 여아 96명, 평균 연령 20.6${\pm}$15.4개월) 중에서 로타바이러스가 109명(50.2%), 노로바이러스가 28명(12.9%), 아데노바이러스가 13명(6.0%), 아스트로바이러스가 2명 (0.9%)에서 검출되었다.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결과 P[8]G3가 36명, P[4]G2 21명, P[6]G4 10명, P[4]G4 9명, P[8]G9과 P[8]G1 6명, P[4]G3 4명, P[4]G93명, P[6]G2 2명이었다.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은 GII-4가 27명, GII-6 1명이었다. 16명의 소아가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으로 진단되었으며, 로타바이러스가 13명, 노로바이러스가 2명에서 검출되었고, 나머지 1명은 아무런 바이러스도 발견되지 않았다. BIS-MG군에서 검출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은 P[8]G3 6명, P[4]G2 2명, P[4]G9 1명이었으며, 노로바이러스 유전자형은 2명 모두 GII-4였다. 결 론: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을 보인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시행한 바이러스 분석결과 로타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가 중요한 원인 바이러스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Rotaviruses, noroviruses, astroviruses, and enteric adenoviruses cause acute gastroenteritis (AGE) in children. Some children with AGE have afebrile convulsions associated with viral gastroenter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and genotype viruses from children with AGE or benign infantile seizures associated with mild gastroenteritis (BIS-MG). Methods: Between August 2004 and June 2005, 311 children with AGE were included. Four viral agents, including rotavirus, norovirus, astrovirus, and adenovirus, were analyzed from stool specimens of each patient using the latex agglutination method, enzyme immunoassay, and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Genotyping of each virus was performed in 217 of the 311 children. Results: Among 217 children (male, 121; female, 96; mean age, 20.6${\pm}$15.4 months), rotavirus was detected in 109 (50.2%), norovirus in 28 (12.9%), adenovirus in 13 (6.0%), and astrovirus in 2 children (0.9%). Genotyping of rotavirus revealed positive results in 97 children; P[8]G3 in 36, P[4]G2 in 21, P[6]G4 in 10, P[4]G4 in 9, P[8]G9 in 6, P[8]G1 in 6, P[4]G3 in 4, P[4]G9 in 3, and P[6]G2 in 2. Genotyping of norovirus showed GII-4 in 27 of 28 children and GII-6 in 1 child. Sixteen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BIS-MG. Rotavirus was detected in 13 of 16 children with BIS-MG, and norovirus in 2 children. Genotyping of rotavirus detected in children with BIS-MG revealed P[8]G3 in 6 children, P[4]G2 in 2 children, and P[4]G9 in 1 child. Conclusion: Analysis of viruses from stool specimens indicates that both rotavirus and norovirus are the main viruses related to BIS-MG in children.

      • SCOPUSKCI등재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위장관 증세의 Henoch-Schönlein 자반증 환아에서 정맥 면역글로불린 치료

        양혜란,최원정,고재성,서정기,Yang, Hye Ran,Choi, Won Jung,Ko, Jae Sung,Seo, Jeong Ke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7

        목 적 : HSP는 피부, 관절, 위장관, 신장을 포함한 전신의 소혈관을 침범하는 혈관염이다. HSP의 위장관 증상은 때로 다량의 위장관 출혈, 장천공, 장중첩 등의 위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중 일부 환자는 corticosteroid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심한 위장관 증세를 보이면서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는 HSP 환아에서 IVIG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4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심각한 위장관 증상으로 입원한 22명의 HSP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이들 모두에서 처음엔 methylprednisolone(2 mg/kg)을 정맥 투여하였으며,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IVIG(2 g/kg)을 투여하였다. 결 과 : 대량의 위장관 출혈과 복통 등이 동반된 심한 위장관 증상을 나타낸 22명의 환아(연령 : 2.3-15세, 성별 M : F=12 : 10)중에 12명이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고용량 IVIG 치료를 받았다. IVIG 투여 전, methylprednisolone 정맥주사의 평균 투여기간은 $5.6{\pm}4.9$일이었으며 12명 중 11명에서 IVIG 투여 후 1시간에서 5일 사이에 위장관 증상이 호전되었다. 나머지 1명은 IVIG 투여 후에도 복통이 있었으나, 혈변은 소실되었다. IVIG을 투여받은 환아들과 corticosteroid만을 투여받은 환아들간에 입원기간의 차이는 없었다($12.8{\pm}7.6$일 vs. $13.2{\pm}7.8$일, P=0.777). 복통이 지속되었던 총기간은 IVIG 투여군이 짧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8.8{\pm}8.1$일 vs. $14.8{\pm}16.9$일, P=0.306). Methylprednisolone 정맥주사만을 단독으로 치료받은 10명 중 2명(20%)은 장천공으로 수술을 받았으나, IVIG 투여군 12명에서는 장천공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 심한 위장관 침범이 있는 HSP 환아의 복부증상이 기존의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을 때에는 고용량 정맥 면역글로불린 투여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Henoch-Sch{\ddot{o}}nlein$ purpura(HSP) is a systemic vasculitis involving small vessels of skin, gastrointestinal(GI) tract and kidney. Digestive involvement of HSP can be serious with massive GI bleeding, perforation, and intussusception. However, some patients do not respond to conventional corticosteroid therap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for serious digestive manifestations not responding to steroid. Methods : From April 1999 to January 2005, 22 children diagnosed as HSP with severe GI symptoms were included. Initially,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methylprednisolone. IVIG 2 g/kg of body weight was infused in children refractory to steroid therapy. Clinical dat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Among 22 children, 12 children underwent IVIG therapy. The mean duration of corticosteroid therapy was $5.61{\pm}4.9$ days before IVIG therapy, and 11 of 12 patients experienced disappearance of GI manifestations after the initiation of IVIG infusion. In one patient, IVIG was ineffective in relieving abdominal pain, but melena subsided. Comparison of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between IVIG group and corticosteroid group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12.8{\pm}7.6$ days vs. $13.2{\pm}7.8$ days, P=0.777). But, the total duration of abdominal pain decreased in IVIG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8.8{\pm}8.1$ days vs. $14.8{\pm}16.9$ days, P=0.306). Among 10 children treated with steroid only, 2 children were operated for bowel perforation and intussusception. In contrast, there was no perforation in 12 children who underwent IVIG therapy. Conclusion : IVIG could be the alternative therapy to corticosteroids in children with severe digestive manifestations of HSP.

      • SCOPUSKCI등재

        소아의 면역영양

        양혜란,Yang, Hye R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suppl1

        Immunonutrition is the provision of specific nutrients that modulate the activity of the immune system. Several nutrients including arginine, glutamine, nucleotides, omega-3 fatty acids, vitamins, minerals, and prebiotics can be provided to enhance immunity in critically ill patients. Supplying immunonutrition to critically-ill children, better prognosis and shortening of the hospital stay are expected from its immuno-modulating effects. Therefore, immune-enhancing enteral and parenteral formulas can be recommended in children with severe illness.

      • KCI등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에서 영양지원팀 활동의 임상적 의의

        양혜란,최창원,김병일,서정기,최수안,김소연,Yang, Hye-Ran,Choi, Chang-Won,Kim, Beyong-Il,Seo, Jeong-Kee,Choi, Su-Ahn,Kim, So-Yeo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목 적: 영양지원팀(nutritional support team, NST)은 영양부족이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 영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운영된다. 미숙아는 소화, 흡수의 미숙, 비축된 영양의 부족, 요구량의 증가, 다양한 질환에의 이환으로 인하여 영양 불균형의 위험성이 높으며 경구영양이 완전히 진행되기까지는 총정맥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에 의존하므로 적극적인 영양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ST 활동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TPN을 투여 받는 미숙아들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NST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7월에서 2006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 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TPN을 시행 받은 미숙아 48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NST 활동 여부에 따라 각각 NST 설립 이전 시기인 2003년 7월에서 2005년 2월까지 입원한 미숙아군과 NST 활동 시기인 2005년 3월에서 2006년 7월 사이에 입원한 미숙아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의 임상 지표들을 비교분석하여 NST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Mann-Whitney 검정과 Fisher's exact test를 적용하였고, pvalue 0.05 미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48명(남아 27명, 여아 21명)의 재태기간은 평균 $28^{+1}$주(범위: 25주~$32^{+6}$주), 출생체중은 평균 1,008.5${\pm}$242.5 g (범위: 520~1,490 g), 재원기간은 평균 74${\pm}$40일(범위: 26~274일)이었다. 영양사, 약사 또는 NST가 환아의 TPN에 개입하기까지의 기간이 NST 활동 전에는 14.8${\pm}$21.0일 소요되었으나 NST 활동 이후 0.5${\pm}$2.0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0). TPN 투여기간은 NST 활동 전의 41.5${\pm}$26.2일에서 NST 활동 후에는 20.5${\pm}$16.6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TPN을 통해 투여된 칼로리는 NST 활동 전후로 각각 88.1${\pm}$19.0 kcal/kg/day와 98.8${\pm}$8.2 kcal/kg/day로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16), 단백 투여량은 각각 2.74${\pm}$0.50 g/kg/day와 3.36 g/kg${\pm}$0.34 g/kg/day (p=0.000), 지방 투여량은 각각 2.53${\pm}$0.86 g/kg/day와 3.40 g/kg${\pm}$0.52 g/kg/day로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환아들의 금식기간이 NST 활동 전후 각각 10.5${\pm}$11.3일과 5.9${\pm}$7.3일로서 NST 활동 시작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7), 환자들이 완전 경장영양으로 진행하기까지 소요된 기간도 각각 44.7${\pm}$26.1일과 24.0${\pm}$17.6일로 NST 활동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p=0.001). 항생제 투여기간도 NST 활동 전의 34.8${\pm}$30.8일에서 NST 활동과 더불어 15.6${\pm}$15.2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7). 결 론: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에게 있어 NST 활동에 의한 적극적인 영양지원은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여 영양상태를 개선하는 측면과 더불어 임상적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으므로 미숙아의 영양지원에 있어 NST 활동이 갖는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Purpose: Preterm infants are very susceptible to malnutrition because of a lack of storage of nutrients, immature digestion and metabolism, and accompanying diseases associated with premat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tional support by the pediatric nutritional support team (pNST) on the clinical course of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Between July 2003 and July 2006, 48 preterm infants who were admitted to the NICU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ere includ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NST activity; pre-NST group (n=23) and NST group (n=25). Hospit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Forty-eight preterm babies were included (M:F=27:21; gestational age, 25~33 weeks). A dietician, pharmacists, or the pNST participated in the prescription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more rapidly in the NST group (p=0.000). The fasting periods and TPN administration period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NST group compared to the pre-NST group (p=0.017 & p=0.001, respectively). The doses of calories, protein, and lipids administered via TP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ST group compared to the pre-NST group (p=0.016, p=0.000, and p=0.000, respectively). The total period on antibiotic therap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NST group compared to the pre-NST group (p=0.007). Conclusion: Because nutritional support by the pNST is of benefit to the clinical course of preterm infants in the NICU, the pNST should recommen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and clinical outcome of preterm infants.

      • KCI등재

        비만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에 있어 Adipokine과 체지방분포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양혜란,고재성,서정기,Yang, Hye-Ran,Ko, Jae-Sung,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7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0 No.2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소아 비만 환자에서 발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발병에 TNF-${\alpha}$, adiponectin, leptin 등의 adipokine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이들 adipokine과 체지방분포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3월에서 2005년 6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비만한 소아 61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상태에 따라 대상 환자들을 지방간 질환이 없는 소아 비만 환자(n=23), 단순 지방간(n=20),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18)의 세군으로 나누고, 각 환자에서 혈중 TNF-${\alpha}$, leptin, adiponectin 농도를 측정하고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로서 HOMA-IR을 계산하였으며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VSR (visceral-subcutaneous fat ratio)을 산출하였다. 결 과: 총 61명(남 : 여=42 : 19, 평균 연령 11.2${\pm}$1.3세)의 환아를 대상으로 지방간 질환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세 군 간의 성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p=0.422, p=0.119). 각 군의 혈중 TNF-${\alpha}$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22.13${\pm}$6.37 vs. 21.35${\pm}$6.95 vs. 25.17${\pm}$9.30; p=0.342), leptin 농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0.29${\pm}$8.57 vs. 16.42${\pm}$6.85 vs. 20.10${\pm}$7.86; p=0.330), adiponectin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서 혈중농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6.08${\pm}$1.38 vs. 5.69${\pm}$0.79 vs. 4.93${\pm}$1.75; p=0.026). 복부 전산화단층 촬영에서 산출한 VSR도 지방간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0.31${\pm}$0.08 vs. 0.32${\pm}$0.11 vs. 0.47${\pm}$0.14; p=0.001). HOMA-IR도 세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77${\pm}$3.67 vs. 6.89${\pm}$7.05 vs. 10.42${\pm}$6.73; p=0.000). 그러나 adiponectin과 HOMA-IR 또는 VSR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r=-0.117; p=0.450 & r=-0.106; p=0.499). 결 론: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한 소아에서 간 내 지방 축적과 지방간염으로의 진행과정에 모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며, 비만한 소아의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adipokine 중에서 adiponectin이 단순지방간에서 지방간염으로의 이행하는 기전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ole of adiponectin, leptin,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 the pathogene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obese children, and to elucidate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dipokines and insulin resistance. Methods: A total of 61 obese children (M : F=42 : 19, mean age 11.2${\pm}$1.3 years) admitted to our facility between March 2004 and June 200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NAFLD status obese children without fatty liver (N=23); obese children with simple steatosis (N=20); and obese children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N=18). The serum levels of adiponectin, leptin, and TNF-${\alpha}$ were measured, and insulin resistance determined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was calculated to estimate insulin resistance. In addition, the VSR (visceralsubcutaneous fat ratio) was estimated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rum TNF-${\alpha}$ and leptin levels observed between the 3 groups (22.13${\pm}$6.37 vs. 21.35${\pm}$6.95 vs. 25.17${\pm}$9.30; p=0.342 & 20.29${\pm}$8.57 vs. 16.42${\pm}$6.85 vs. 20.10${\pm}$7.86; p=0.330). However, the serum adiponect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ildren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6.08${\pm}$1.38 in children without steatosis vs. 5.69${\pm}$0.79 in simple steatosis vs. 4.93${\pm}$1.75 in NASH; p=0.026). In addition, the VS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ASH group (0.31${\pm}$0.08 vs. 0.32${\pm}$0.11 vs. 0.47${\pm}$0.14; p=0.001), and HOMA-IR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4.77${\pm}$3.67 vs. 6.89${\pm}$7.05 vs. 10.42${\pm}$6.73; p=0.00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adiponectin levels and the HOMA-IR or the VSR (r=-0.117; p=0.450 & r=-0.106; p=0.499). Conclusion: Insulin resistance may affect the development of hepatic steatosis and steatohepatitis in childre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f several adipokines evaluated, adiponectin is important in the progression of steatosis to steatohepatitis in obese children.

      • KCI등재후보

        당원병 제1형의 장기 추적 관찰; 간선종 발생의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

        양혜란,서정기,Yang, Hye-Ran,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2

        목 적: 당원병 제1형은 어린 소아연령에서 발현하는 가장 심한 형태의 당원병이다. 장기간 관찰시 일부 환자에서 간선종이 발생하고 드물게 간암이 합병되어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의 추적관찰을 통해 간선종과 간암 발생의 측면에서 당원병 제1형의 장기적인 예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82년 3월에서 2003년 2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과에서 간 조직 검사 및 효소검사를 통해 당원병 제1형으로 진단된 43명의 환자(제1a형 40명, 제1b형 3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또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간선종의 발생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간의 종괴가 확인된 경우 가능하면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간선종 및 간암을 확진하였다. 간선종 발생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선종이 발생한 환자를 연령에 대해 짝짓기를 시행하여 선종군과 비선종군에서 여러 임상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1) 전체 43명 중 16명(37.2%)에서 간선종이 발생하였는데, 간선종이 처음 발견된 나이는 평균 $14.2{\pm}4.1$세(범위: 7.9~25.7세)였다. 처음 발견시 다발성 선종인 경우는 14례(87.5%)였다. 2) 간선종이 발생하였던 선종군(n=16)과 비선종군(n=16)을 비교하였을 때, 신장질환이 선종군에서는 7명(43.8%)에서 동반되고, 비선종군에서는 1명(6.3%)에서 병발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7; 교차비 11.667, 95% 신뢰구간=1.227~110.953). 저신장은 선종군 6명(37.5%)과 비선종군의 10명(62.5%)에서 관찰되어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7). 당원병 제1형 환자의 대부분에서 생옥수수 전분 치료를 시행하였는데, 생옥수수 전분 치료를 시작한 연령은 선종군이 $9.1{\pm}5.2$세인 반면, 비선종군은 $3.0{\pm}1.8$세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선종군의 치료 시작 연령이 늦었다(p=0.003). 문맥하공정맥 문합술 시행 당시의 연령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p=0.170), 선종군의 11명(68.8%)과 비선종군의 3명(18.8%)에서 단락수술을 시행 받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교차비 9.533, 95% 신뢰구간=1.847~49.204). 고콜레스테롤혈증, 저혈당, 고요산혈증 등의 여부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33, p=0.273, p=0.550). 3) 25.7세에 간선종이 발견되었던 1명은 26.5세에 간암으로 진단되어 간동맥 항암 화학 색전술을 시행 받았다. 결 론: 간선종은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관찰 하였을 때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서, 일부에서 악성화 될 가능성이 있어 중요성이 매우 크다.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의 장기적 예후를 위해서는 생옥수수 전분 치료의 조기 도입과 규칙적인 추적관찰을 통한 간선종의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outcome of glycogen storage disease (GSD) type 1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hepatic adenoma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to analyze risk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hepatic adenoma in GSD type 1. Methods: Forty-three GSD type 1 patients (31 males and 12 females, mean age $13.9{\pm}6.4$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Hepatic adenoma was detected on abdominal USG and diagnosed on histologic examination. Clinical profile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hepatic adenoma (n=16) and age-matched controls without hepatic adenoma (n=16). Results: 1) Of 43 GSD type 1 patients, 16 (37.2%) had hepatic adeoma. Hepatic adenoma was detected at the age of mean $14.2{\pm}4.1$ years (range: 7.9~25.7 years). Fourteen (87.5%) adenomas were multiple at detection. 2) Comparison of the clinical profiles between adenoma group and non-adenoma group revealed that age at first introduction of uncooked cornstarch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ate in adenoma group compared with non-adenoma group ($9.1{\pm}5.2$ years vs. $3.0{\pm}1.8$ years, p=0.003). Portocaval shunt surgery was performed in 11 (68.8%) patients in adenoma group and 3 (18.8%) in non-adenoma group (p=0.004). Hepatic adenoma developed mean $5.8{\pm}4.2$ years after shunt operation. 3) One patient was diagnosed as hepatocellular carcinoma at the age of 25.7 years. Conclusion: Hepatic adenoma is an important late complication of GSD type 1 with the risk of malignant transformation. Early introduction of cornstarch therapy with strict metabolic control is needed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hepatic adenoma in GSD type 1.

      • SCOPUSKCI등재

        Henoch-Sch$\"{o}$nlein 자반증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 유전자 다형성 분석

        양혜란,고재성,서정기,Yang, Hye-Ran,Ko, Jae-Sung,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7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0 No.1

        목 적: 본 연구에서는 Henoch-Sch$\"{o}$nlein 자반증으로 진단된 환아들에서 급성기와 관해기에 TNF-${\alpha}$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과 임상양상의 발현에 있어 TNF-${\alpha}$의 의의를 평가하고, 각 환자에서 TNF-${\alpha}$ -308, -238 유전자 다형성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 빈도를 분석함으로써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에 있어 TNF-${\alpha}$ 유전자 다형성이 갖는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3월에서 2005년 11월까지 서울대병원 및 분당서울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Henoch-Sch$\"{o}$nlein 자반증으로 진단받은 40명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건강한 소아 환아 3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후향적인 의무기록지 검토를 통해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임상 점수를 평가하였다. 환자군에서 급성기와 관해기에 혈청 TNF-${\alpha}$ 농도를 측정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TNF-${\alpha}$ -308과 -238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Henoch-Sch$\"{o}$nlein 자반증으로 진단된 40명 (남아 20명, 여아 20명)의 환아에서 급성기에 측정한 혈청 TNF-${\alpha}$ 농도는 $23.17{\pm}11.31$ pg/mL였으며, 증세가 소실된 후에 측정한 혈청 TNF-${\alpha}$ 농도는 $10.56{\pm}5.59$ pg/mL로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0). 혈청 TNF-${\alpha}$와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임상 점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0.310, p=0.070). TNF-${\alpha}$ -308 유전자형 빈도는 환자군에서 GG 80%, GA 20% 였으며, 대조군에서는 GG 93.8%, GA 6.2%로서 환자군에서 높은 GA 유전자형의 빈도를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94). TNF-${\alpha}$ -238 유전자형 분포는 환자군에서 GG 97.5%, GA 2.5%였으며, 대조군에서는 GG 93.8%, GA 6.3%로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429). 결 론: TNF-${\alpha}$는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여겨지지만, TNF-${\alpha}$ -308, -238 유전자 다형성이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과 다양한 임상양상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뚜렷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못하였기에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Henoch-Sch$\"{o}$nlein 자반증의 발병기전과 유전적 감수성을 밝히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Henoch-Sch$\"{o}$nlein purpura (HSP) is a systemic vasculitis involving the skin, joints, gastrointestinal tract, and kidney. Although the pathogenesis of HSP is still unclear,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cytokine contributing to the disea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TNF-${\alpha}$ in the pathogenesis of HSP, and to evaluate the TNF-${\alpha}$ polymorphism for genetic susceptibility to HSP. Methods: From March 2004 to November 2005, 40 children with HSP and 32 healthy controls were included. Serum TNF-${\alpha}$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ELISA method during the acute and convalescent phase of HSP. The genotypic and allelic frequencies of the TNF-${\alpha}$ gene polymorphisms at positions -308 and -238 were evaluated in patients and controls. Results: Serum TNF-${\alpha}$ levels were $23.17{\pm}11.31$ pg/mL in the acute phase of children with HSP and $10.56{\pm}5.59$ pg/mL in the convalescent phase (p=0.000).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TNF-${\alpha}$ levels and the clinical scores of HSP (r=0.310, p=0.070). The genotypic frequency of the TNF-${\alpha}$ -308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HS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GG 80%, GA 20% vs. GG 93.8%, GA 6.2%; p=0.094). The genotypic frequency of the TNF-${\alpha}$ -238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HS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GG 97.5%, GA 2.5% vs. GG 93.8%, GA 6.3%; p=0.429). Conclusion: TNF-${\alpha}$ is assumed to be the main cytokine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HSP during the acute phase. However, the presence of TNF-${\alpha}$ gene polymorphisms at positions -308 and -238 did not distinguish children with HSP from normal controls.

      • KCI등재

        고등학교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의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화학전지를 중심으로

        양혜란,이상권,Yang, Hye-Ran,Lee, Sang Kwon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1

        이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에서 전기화학 관련 개념을 이해하는데 미치는 영향과 개념 변화 유형을 알아보았다. 고등학교에서 화학II 이수 여부에 따라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화학전지의 구별, 전극의 구별, 그리고 전류의 생성과 흐름에 관한 개념의 이해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염다리의 역할, 표준 반쪽 전지의 필요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화학전지의 생성물과 전지 전위의 예측에서는 화학II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 그룹에서 일반화학 수강 후에 개념 이해의 향상이 크게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의 학습이 대학 일반화학에서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일반화학을 수강하더라도 몇 가지 관련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전기화학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고등학교에서 미리 학습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한 적절한 보충 학습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ion type chang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derstanding on concepts in electrochemistry after general chemistry lesson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pt understanding of electrochemistry were shown in both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gains in both groups were as shown in distinguishing the chemical cell, in identifying the anode and cathode, and in understanding current formation and flow, while, significant achievements in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salt bridge, and the need for a standard half-cell were not found. Taking elective chemistry II in high school had an effect on understanding related concepts of electrochemistry in general chemistry lessons. It was shown that many freshmen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exact related concepts in several kinds after general chemistry lesso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teach contents of the basic concepts in electrochemistry exactly and to hold supplementary lessons.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4제요법 후 enzyme immunoassay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 대변 항원 검출법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양혜란,서정기,Yang, Hye Ran,Seo, Jeong 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4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7 No.2

        목적: H. pylori 대변항원(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HpSA) 검사는 H. pylori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 이용되는 비침습적 검사이지만, 소아에서 제균요법 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H. pylori의 제균 여부를 확인하는 데 있어 enzyme immunoassay에 의한 HpSA 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146명의 소아(평균 연령 $9.3{\pm}4.3$세)를 대상으로 총 164회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Primier platinum HpSA)를 시행하였다. H. pylori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환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와 상부위장관내시경에 의한 위점막 생검을 병행하였다. H. pylori 감염이 확인되어 사제요법(omeprazole, amoxicillin, metronidazole, bismuth subcitrate)을 1주 동안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는 치료 종결 후 최소 4주가 경과하였을 때 위내시경과 H. pylori 대변항원검사를 반복 실시하였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OD값이 0.16 이상일 때 양성, 0.14~0.16 사이는 감염 미확정, 0.14 미만은 음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1) 제균 전 시행한 131회의 위내시경 조직검사 결과 28명이 H. pylori 양성이었고 나머지 103명은 H. pylori 음성이었다. 동시에 시행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결과에서 30명이 H. pylori 양성이었고, 101명이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제균요법 시행 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는 각각 96.4%, 97.1%, 90% 그리고 99%이었다. 2) 제균요법 4주 후 33명의 환아에서 시행한 위내시경에 의한 조직검사에서 H. pylori는 24명에서 음성이었으나 9명은 여전히 양성이었다. 동시에 시행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10명에서 양성, 23명에서 음성이었다. 따라서 제균요법 후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는 각각 88.9%, 91.7%, 80% 그리고 95.7%이었다. 결론: 소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제균 후에도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소아에서 제균요법 후 균 박멸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비침습적인 검사방법이라고 하겠다. Purpose: The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HpSA) enzyme immunoassay is a non-invasive test for th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H. pylori infection. But, there are few validation studies on the HpSA test after eradication in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agnostic accuracy of HpSA enzyme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H. pylori to confirm eradication in children.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October 2003, 164 tests were performed in 146 children aged 1 to 17.5 years (mean $9.3{\pm}4.3$ years). H. pylori infection was confirmed by endoscopy-based tests (rapid urease test, histology, and culture). All H. pylori infected children were treated with quadruple regimens (Omeprazole, amoxicillin, metronidazole and bismuth subcitrate for 7 days). Stoo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all patients for the HpSA enzyme immunoassay (Primier platinum HpSA). The results of HpSA tests were interpreted as positive for $OD{\geq}0.160$, unresolved for $$0.140{\leq_-}OD$$<0.160, and negative for OD<0.140 at 450 nm on spectrophotometer. Results: 1) One hundred thirty-one HpSA tests were performed before treatment. The result of HpSA enzyme immunoassay showed three false positive cases and one false negative cas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HpSA enzyme immunoassay before treatment were 96.4%, 97.1%, 90%, and 99%, respectively. 2) Thirty-three HpSA enzyme immunoassay were performed at least 4 weeks after eradication therapy. The results of HpSA enzyme immunoassay showed two false positive cases and one false negative cas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after treatment were 88.9%, 91.7%, 80%, and 95.7%, respectively. Conclusion: Diagnostic accuracy of the HpSA enzyme immunoassay after eradication therapy was as high as that of the HpSA test before eradication therapy. The HpSA enzyme immunoassay was found to be a useful non-invasive method to confirm H. pylori eradication i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