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글 인식 시스템을 위한 표준화된 입력 데이타 양식에 대한 연구

        양자영(J. Y. Yang),이도훈(D. H. Lee),조환규(H. G.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지금까지 개발된 온라인 필기체 인식 시스템을 살펴보면 특정 시스템에서 사용한 데이타를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의 양식에 다시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식기 간의 데이타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식 시스템 간의 공정한 성능평가와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인식기들의 입력 자료의 양식을 통일하여 데이타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인식기 입력 양식 표준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잉크 데이타를 저장하는 방법과 응용 프로그램 간의 공유되는 잉크 데이타의 표준으로 제안된 jot 양식에 대해서 살펴보고, 온라인 한글 필기체 인식기를 위한 입력 데이타 양식으로서 한글 코드, 스트록의 수, 필기자 정보 등이 레코드로 첨가된 한글 인식기 입력 양식 jok(Jot for Korean)를 제안하고자 한다.

      • 온라인 한글 인식기를 위한 필기 데이타 합성

        박혜숙(H. S Park),양자영(J. Y. Yang),조환규(H G.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대화에 있어서 중요한 매개체는 문자와 음성이다. 인간에게 편리한 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 인간의 문자와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기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문자 인식에 있어서 활자보다는 사람의 다양한 필기 형태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인데 인식기의 인식률을 평가하는 데이타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데이타양도 부족하고 필기의 복잡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글씨를 흉내낼 수 있는 30여개의 다양한 필기 인자들을 추출하여 인자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필체를 자동 생성하고자 한다. 즉 필기 특성인자들의 복잡도에 따른 필기체를 생성하고 인식기의 필기 복잡도에 따른 실인식률을 측정하는 데이타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붓모양과 연결형에 따라서 다양한 필기 장식체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포스트스크립과 PCL(Printer Control Language)을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출력을 가능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