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양은륜 ( Eunryun Yang ),정문경 ( Moonkyeong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년도(2017) 조사 데이터 중 사회적 낙인감, 우울, 스마트폰 중독에 응답한 31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낙인감, 우울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에,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에, 그리고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을 완전매개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업중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적 낙인감의 감소와 우울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e to prevent and intervene in smartphone addiction problems among school dropout youths. Thus, this study w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dropout youths’ social stigma and smartphone addiction. For this purpose, in the data of the fifth year (2017) school dropout youths panel surve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data on 318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social stigma,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tigma,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first, it turned out that school dropout youths’ social stigma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epression;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t turned out that school dropout youths’ social stigma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fully mediated by depression. This means that school dropout youths’ social stigma indirectly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mediated by depression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it. Thus, to prevent school dropout youths’ smartphone addi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decrease their social stigma and reduce depression.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양은륜(Yang, Eun-Ryun),정문경(Jeong, Moon-Kyeong) 한국교육치료학회 2024 교육치료연구 Vol.16 No.1

        The study delves into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adolescents engaging in non-suicidal self-injury (NSSI) behaviors.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others. The analysis identified seven components and 20 sub-components forming an intrinsic structure, including: “Feeling crisis due to unexpected rebellious behavior of the adaptable child”, “Experiencing mental shock and confusion upon witnessing the child’s self-injury”, “Encountering frustration and despair leading to a decline in quality of life”, “Reflecting on oneself deeply because of the child”, “Discerning the child’s presence amidst pain”, “Enduring anxiety to connect emotionally with the child”, and “Reassuming the role of a supportive mother for the child’s accommodative life”, These components formed overarching themes, emphasizing the profound impact of maternal involvement on adolescents with NSSI tendencies. The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mothers’ experiences in addressing adolescent NSSI, offering insights into their crucial role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하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본질적 구조를 구성하는 7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7개의 구성요소는 ‘순응적인 자녀의 예측 못한 반항 행동에 위기감을 느낌’, ‘자해하는 자녀를 보고 정신적 충격과 혼란에 빠짐’, ‘좌절감과 절망감에 삶의 질이 저하됨’, ‘자녀로 인해서 과거로 돌아가 찬찬히 자신을 살펴봄’, ‘아픔 속에 비로소 자녀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함’, ‘불안을 견디고 감정을 추슬러 자녀와 소통하기 위해 먼저 다가감’, ‘자녀의 적응적인 삶을 위해 다시 고된 엄마의 자리에 서 있음’이다. 이를 바탕으로 상위 주제를 도출하여 범주화하고 통합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어머니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의 주요 요인인 어머니의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