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홍삼음료의 함량 및 안전성 실태조사

        김종필(Jong-Pil Kim),김진희(Jin-Hee Kim),강경리(Gyung-Lee Gang),양용식(Yong-Shik Yang),홍삼재(Sam-Jai Hong),김은선(Eun-Sun Kim),문용운(Yong-Woon Moon),이정치(Jeong-Chi Lee),송현제(Hyeon-Je Song),정재근(Jae-Keun Chung)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4

        대장균군은 유통형, 맞춤형 및 건강기능형 홍삼음료 모두에서 음성이었다. 일반세균은 유통형 홍삼음료 및 건강기능형 홍삼음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맞춤형 홍삼음료에서는 58건 중 13건(22.4%)이 검출되었다. 총 100건의 제품 중 5건의 제품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다. 함량은 19.2-543.0 mg/kg이며 이 중 유통형 홍삼음료에서 검출된 1건의 제품(19.2 mg/kg)과 건강기능형 홍삼음료 1건(31.4 mg/kg)의 함량은 원료에서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통형 홍삼음료의 납 평균 함량은 62.3 μg/kg, 맞춤형 홍삼음료는 74.6 μg/kg, 건강기능형 홍삼음료는 28.8 μg/kg으로 나타났다. 카드뮴의 평균 함량은 유통형 1.15 μg/kg, 맞춤형 1.62 μg/kg, 건강기능형 홍삼음료는 4.18 μg/kg으로 조사되었다. 수은의 평균 함량은 0.10-0.18 μg/kg으로 조사되었다. 홍삼 건강기능식품의 지표성분인 Rg1과 Rb1함량은 유통형 및 맞춤형 홍삼음료가 0.1-23.4 mg/90 mL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하루에 3회 섭취한다고 가정하고 건강기능식품의 일일 섭취량 3-80 mg/day와 비교해보면, 이번에 조사된 37건의 유통형 홍삼음료 중에서 22건(59%), 맞춤형 홍삼음료 58건에서는 26건(45%)이 건강기능식품에 해당하는 지표성분(Rg1과 Rb1)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삼음료들 간에 서로 홍삼성분의 함량차이가 크고 건강기능 식품 섭취기준(3-80 mg/day) 양에 미치지 못한 47건 중 1회 분량 90 mL 기준 홍삼성분이 0.2 mg 이하로 함유되어 있는 제품도 20 건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safety of red ginseng products in Gwangju, in 2010. Among 100samples, 37 were beverages, 5 were functional health foods on the market, and 58 were beverages from a tailor-made shop. All samples were negative for coliform bacteria. Aerobic plate counts were detected from 13 samples in the 58 tailor-made products but not detected in the other types of products. Benzoic acid was detected in 5 samples (range, 19.2-543.0 mg/kg). Among heavy metals, lead was detected, ranging from 28.8-62.3 μg/kg, cadmium, from 1.15-4.18 μg/kg, and mercury from 0.10-0.18 μg/kg. Benzopyrene was not detected in any samples. Ginsenoside Rg1 and Rb1 were detected in 0.1-23.4 mg/90 mL of beverages and 12.1-66.8 mg/90 mL of functional health fo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d ginseng products are safe in terms of microbial contaminants and hazardous chemical compounds such as heavy metals and benzopyren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유통 중인 즉석·편의식품류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산생 Toxin 및 분자유전학적 특성 조사

        김태순(Tae Sun Kim),김민지(Min Ji Km),강유미(Yu Mi Kang),오그네(Geune Oh),최수연(Su Yeon Choi),오무술(Mu Sul Oh),양용식(Yong Shik Yang),서정미(Jung-Mi Seo),류미금(Mi-Geum Ryu),김은선(Eun-Sun Kim),하동룡(Dong-Ryong Ha),조배식(Bae Sik Cho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3

        즉석섭취·편의식품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직접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B. cereus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여 대부분의 식품에 쉽게 오염되어 식중독을 유발 시킬 수 있는 독소형 식중독균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통 판매중인 즉석섭취·편의식품류 및 식중독이 발생하여 의뢰된 보존식에서 B. cereus의 분리율 및 독소 종류의 분포형태를 파악하였다. 식품 총 619건 중 263건(42.5%)의 B. cereus를 분리하였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서 즉석섭취·편의식품류에 대한 B. cereus에 대한 규격기준이 1,000 CFU/g 이하로, 본 실험에서는 규정 범위를 초과한 식품은 없었다. B. cereus 총 263개 분리균주에 대한 9종류의 장내독소 및 1종류의 구토독소를 분석한 결과, NHE complex (nheA, nheB, nheC)중 3개의 nhe 유전자를 모두 보유한 B. cereus는 236개 균주(89.7%), 1개만의 독소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2개(0.8%)뿐이었다. 또한, HBL complex (hblA, hblB, hblD) 중 3개의 hbl 유전자를 보유한 균주는 175개 균주(66.5%), 그리고 한개 혹은 두 개의 hbl 유전자를 가진 균주는 59개 균주(21.7%), 3개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지 않은 균주는 29개 분리균주(11.0%)로 나타났다. NHE complex 유전자의 빈도가 HBL complex 유전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내독소 entFM, cytK2, bceT 유전자의 보유율은 각각 100, 100, 43.0% 순으로 확인되었다. B. cereus의 구토 독소인 CER 유전자는 평균 50.2%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식품유형에 따라 식중독 보존식, 즉석섭취 식품, 편의식품에서 각각 100, 59.4, 35.6%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 중 분리한 B. cereus가 산생하는 구토독소를 가지고 있는 B. cereus 균주 중 29.4%에서 8개의 장내독소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균주들도 대부분 5-8개의 장내독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품에서 분리한 B. cereus는 대부분의 균주가 설사형 및 구토형 독소를 보유하고 있어, 즉석섭취·편의식품의 미생물 오염 요인들은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품의 미생물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업체의 생산단계부터 저장 및 운반을 포함한 유통단계 등에서 식중독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염원들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철저한 개인 및 환경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xin-producing Bacillus cereus is the causative agent of two different types of food poisoning: the emetic and the diarrheal ty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enterotoxin and emetic toxin genes in 263 B. cereus isolated from 619 different ready-to-eat food items. Hemolytic enterotoxins hblA, hblC, and hblD were detected in 85.6, 41.1, and 76.8%, respectively, of the B. cereus isolates. About 67.0% (175/263) of the isolates presented all of three genes. Non-hemolytic enterotoxins nheA, nheB, and nheC were detected in 100, 97.0, and 68.4% of the isolates, respectively. Approximately 90.0% (236/263) of the isolates presented all of these three non-hemolytic enterotoxin genes. Emetic toxin gene, CER, was detected in 132 of 263 (50.2%) isolates. Computer-assisted cluster analysis of Rep-PCR profiles showed a high genetic diversity among the isolates. All B. cereus isolates from food samples tested in this study carried at least 6 of 10 toxin ge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