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 지식수준, 태도 및 저작권 준수 행동과 디지털 재화의 지불용의의 영향 요인 연구

        김소라(Kim, Sora),양복만(Yang, Bok Ma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인터넷 상에서의 저작권 준수 정도와 이들 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디지털 저작물의 지불용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642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수집은 전문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여 인터넷 조사로 진행되었다. 대체적으로 소비자들은 저작권법에 대해서 실제보다 훨씬 완화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컸으며, 전반적으로 저작권 강화에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관련 지식수준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준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저작권을 지키는 행동점수가 높았으며, 40대 이상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저작권을 준수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저작권 강화에 대해 동의할수록 저작권을 지키는 수준 또한 높았다. 디지털 저작권이 포함된 저작물에 대한 소비자 지불용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면 20대의 응답자가 다른 연령대의 응답자보다 지불용의가 높았으며,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지불용의가 높아졌다.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지불용의에 맞추어 유료서비스를 개선하는 등의 소비자들이 보다 필요로 하는 디지털 저작물에 대해 적절한 비용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디지털 재화의 바람직한 이용문화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pursued two primary objectives: 1)to explore the consumer competency about digital copyright including knowledge level, attitudes toward digital copyright reinforcement and adherence level to digital copyright, and 2)to examine the affecting factors on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digital works. The data from 642 consumers aged 14 to 67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urvey. For the analysis, frequency, mea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run using SPSS 19.0 program. The results found that as follows: consumers tend to be acknowledge less restrictive than current copyright policy and be oppose to the copyright reinforcement. Secon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opyright law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copyright reinforcement and the attitude was positively associated to the adherence to the copyright. Finally, twenties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digital copyright reinforcement led higher willingness to pay for digital works. It would be crucial to make users pay for digital works at the reasonable price level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Ultimately, to empower appropriate use of digital works, it would be helpful to provide the paid or unpaid service for digital works according to the willingness to pay for digital works among the consumers.

      • KCI등재

        학습조직이 인지된 병원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일터학습의 매개효과

        조윤형 ( Yoon Hyung Cho ),최우재 ( Woo Jae Choi ),양복만 ( Bok Man Y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2 HRD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조직이 인지된 병원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일터학습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학습조직은 Watkins & Marsick(1993)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일터학습은 공식적, 비공식적 일터학습으로 구분하였다. 인지된 병원성과는 Kaplan &Norton(1996)이 제시한 균형성과표의 4가지 관점 중 재무적 관점과 고객관점으로 구분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실증분석 결과 학습조직은 인지된 병원성과 재무적 관점, 고객관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식적 학습은 인지된 병원성과 고객관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으며 비공식적 일터학습은 인지된 병원성과 재무적 관점과 고객관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터학습의 매개역할과 관련해서 공식적 일터학습은 매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에 비공식적 일터학습은 학습조직과 인지된 병원성과 고객관점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함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의 제언은 결론 부분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on perceived hospital performance and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perceived hospital performance. Learning organization was measured by two dimensions of system connection and continuous learning refered from Watkins & Marsick(1993). Workplace learning was measured by two types of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developed by Choi & Jacobs(2011) and perceived hospital performance was two perspectives of balanced scorecard(Kaplan & Norton, 1996). A literature review on learning organization and workplace learning was built up to develop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es. A set of sample included 181 employees from 8 hospital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organization has impact on perceived hospital performance. That is, learning organization has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customer performance. As hospitals connect with external systems and establish learning systems, hospitals are likely to have better financial performances such as revenues and sales increase also customer such as patients and their family are more satisfied with services provided by establish stronger learning organization systems. In terms of mediating effects, it was revealed that informal learn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customer perspective of perceived hospital performance. Although learning organization directly influences perceived hospital performance, it also causes informal learning. Learning organization encourages employees, who work at hospital, to continuously spend their time in collaborating with others and reflecting themselves. Through these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organization contributes hospital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