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싸띠명상이 중학생의 마음챙김, 심리적 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안혜원 ( Hyeo Won Ahn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1

        본 연구는 싸띠명상이 중학생들의 마음챙김, 심리적 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김해시 B선원에서 주최한 청소년 싸띠명상 캠프에 참여한 전국 남녀 중학생 40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대기자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무선할당 한 후 3박 4일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미얀마 마하시 선원에서의 수행법을 기본으로 B선원에서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과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양적 분석은 싸띠명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마음챙김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 심리적 안녕감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통제집단 사후검사 평균 차이 검증(t 검증)을 실시하였다. 질적분석은 명상체험일지를 중심으로 피험자가 보고한 내용을 질적 분석 준거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검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싸띠명상을 경험한 피험자들은 마음챙김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현재자각과 주의집중이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싸띠명상을 경험한 피험자들은 심리적 수용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 셋째, 싸띠명상을 경험한 피험자들은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가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의 함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is intended to know how Sati medication affects the mind se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ranqu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program that considers juvenile development and their psychological features was adopted based on medication that is used in temples in Maha city, Myanmar. Specifically, focused on sitting and walking meditation, the study was extended even to lying meditation and life meditation as increasing meditation time proper to middle schoolers. In a test process, out of 40 female and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Juvenile Sati Meditation Camp supported by B Temple in Gimhae city, Gyeongnam, 2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ach of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in a test for 3 nights and 4 days. To verify effects of the program, the mind set, acceptance-behavior relations, and psychological tranquility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Data was processed with SPSS/WIN 15.0 statistics software and a t-test to measur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test.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Sati meditation on the mind se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ranqu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reality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among sub-factors of the mind set and positive personal relations among sub-factors of psychological tranquility present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perspective, students who showed a high level of reality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through Sati meditation also have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accordingly of psychological tranquility including positive personal relation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은희 ( Eun Hee Seong ),안혜원 ( Hyeo Won Ahn ),윤명희 ( Myung Hee Yun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5 동서정신과학 Vol.18 No.1

        본 연구는 공감훈련 프로그램을 시설보호아동 대상으로 실시하여 정서지능, 공격성,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S보육시설 5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공감훈련프로그램에 대해 홍보를 하고, 그 후 담당 생활지도원의 협조를 얻어 참가를 희망한 학생 20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한 후 한 회기마다 50분씩 총 10회기의 공감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지능, 공격성, 또래관계 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20.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실험 사전 집단과 통제 사전 집단 간의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후 사후점수들에 대해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 ANC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정서지능이 향상되었다. 둘째, 공감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공격성이 감소되었다. 셋째, 공감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또래관계가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프로그램은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 향상 및 공격성 감소,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의사소통적인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구성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을 시설보호아동에게 적용함으로써 그들이 자기 및 타인의 정서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의 관점 수용, 배려를 통해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programs on emotional intelligence,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wenty 5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child care facility located in Busan. The students were divided equally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0 sessions, each lasting 50 minutes with cooperation of instructo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about emotional intelligence,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for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SPSS WIN 20.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calculating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above measures. In addition, correlated t-tests were performed between p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pre-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group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performed on the post scores of the two groups, considering the pre score as covari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articipating the empathy training programs was improved than control one that is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aggression of the experiment group after participating the empathy training programs de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one that did not join the programs. Third, peer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articipating the empathy training programs was improved than control one that is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 conclude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to improv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s and to decrease their aggression. This program was devised after considering factors of empathy like cognitive, emotional, communication. Also this program will be helpful to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ways that they have a good peer relationship and decrease their aggression by participating the program.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