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Pt-free 상대전극을 위한 팔면체 Co<sub>3</sub>O<sub>4</sub>/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제조

        안혜란,안건형,안효진,An, HyeLan,An, Geon-Hyoung,Ahn, Hyo-Jin 한국재료학회 2016 한국재료학회지 Vol.26 No.5

        Octahedral $Co_3O_4$/carbon nanofiber (CNF) composites are fabricated using electrospinning and hydrothermal methods.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hemical bonding state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are used to demonstrate the improved photovoltaic properties of the samples. Octahedral $Co_3O_4$ grown on CNFs is based on metallic Co nanoparticles acting as seeds in the CNFs, which seed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high performance of DSSCs. The octahedral $Co_3O_4$/CNFs composites exhibit high photocurrent density ($12.73mA/m^2$), superb fill factor (62.1 %), and excellent power conversion efficiency (5.61 %) compared to thos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Co_3O_4$, conventional CNFs, and metallic Co-seed/CNFs. These results can be described as stemmnig from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porous and graphitized matrix formed by catalytic graphitization using the metal cobalt catalyst on CNF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atalytic activity for the reduction of triiodide ions. Therefore, octahedral $Co_3O_4$/CNFs composites can be used as a counter electrode for Pt-free dye-sensitized solar cells.

      • KCI등재

        국내 인쇄회로기판의 재활용 상용화 기술 및 연구동향 분석

        안혜란,강이승,이찬기,An, HyeLan,Kang, Leeseung,Lee, Chan-Gi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4

        최근 전자산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전자부품스크랩의 발생량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자부품스크랩의 구성부품 중 인쇄회로기판(PCB)은 금, 은, 구리, 주석 및 니켈 등 일반금속부터 귀금속 및 희소금속까지 포함하고 있는 중요한 재활용 대상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PCB 처리 및 재활용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으며 그 외 처리량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집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몇몇 도시광산 업체 및 연구소, 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존 대기업 중심의 상용화 공정 외에 PCB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고 원료로 재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폐 PCB의 처리 및 회수현황과 재활용 기술 동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PCB 폐자원의 자원순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Recently, the amount of electronic scrap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electronics industry. Among the components of electronic scrap, the printed circuit board(PCB) is an important recycling target which includes common metals, precious metals, and rare metals such as gold, silver, copper, tin, nickel and so on. In Korea, however, PCB recycling technologies are mainly commercialized by some major companies, and other process quantities are not accurately counted. According to present situation, several urban mining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are conducting research on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PCBs and/or reusing them as raw materials that is different from existing commercialization process developed by major compan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not only current status of collection/disposal process and recycling of waste PCBs in Korea but also the trend of recycling technologies in order to help resource circulation from waste PCBs become more active.

      • KCI등재

        저비용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위한 방추형 Fe<sub>2</sub>O<sub>3</sub>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오동현,안혜란,구본율,안효진,Oh, Dong-Hyeun,An, HyeLan,Koo, Bon-Ryul,Ahn, Hyo-Jin 한국분말야금학회 2016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3 No.2

        Carbon nanofiber (CNF) composites coated with spindle-shaped $Fe_2O_3$ nanoparticles (NPs) are fabricated by a combination of an electrospinning method and a hydrothermal method, and their morphological, structural, and chemical properties are measured by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For comparison, CNFs and spindle-shaped $Fe_2O_3$ NPs are prepared by either an electrospinning method or a hydrothermal method, respectively.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fabricated with the composites exhibit enhanced open circuit voltage (0.70 V),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12.82mA/cm^2$), fill factor (61.30%), an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5.52%) compared to those of the CNFs (0.66 V, $11.61mA/cm^2$, 51.96%, and 3.97%) and spindle-shaped $Fe_2O_3$ NPs (0.67 V, $11.45mA/cm^2$, 50.17%, and 3.86%). This performance improvement can be attributed to a synergistic effect of a superb catalytic reaction of spindle-shaped $Fe_2O_3$ NPs and efficient charge transfer relative to the one-dimensional nanostructure of the CNFs. Therefore, spindle-shaped $Fe_2O_3$-NP-coated CNF composites may be proposed as a potential alternative material for low-cost counter electrodes in DSSCs.

      • KCI등재

        국내 구리 함유 폐자원의 재활용 상용화 기술 및 연구동향 분석

        강이승,안혜란,강홍윤,이찬기,Kang, Leeseung,An, HyeLan,Kang, Hong-Yoon,Lee, Chan Gi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9 資源 리싸이클링 Vol.28 No.1

        구리는 뛰어난 전기전도성 및 열전달 특성으로 인해 많은 전자기기 및 건축 부품에 활용되고 있고 니켈 등 다른 도금의 밑 도금으로 사용되는 등 현대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이다. 뿐만 아니라 차세대 산업군에서 배선, 센서, 데이터 장비의 사용량과 중요도가 더욱 커지면서 그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유럽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 저성장 기조, 트럼프 대통령의 공공 산업설비 투자 공약 등에 따라 가격이 급동하는 추세를 보여 안정적인 수급 확보 및 자원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국내 구리 사용량의 거의 대부분을 전기동을 이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 되고 있는 구리 재활용 기술과 연구 단계에 머물고 있는 구리 재활용 기술을 구분하여 각각의 기술적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각 공정별 특징과 향후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분야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비백금 상대전극을 위한 니켈 나노입자-흑연질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오동현,구본율,이유진,안혜란,안효진,Oh, Dong-Hyeun,Koo, Bon-Ryul,Lee, Yu-Jin,An, HyeLan,Ahn, Hyo-Jin 한국재료학회 2016 한국재료학회지 Vol.26 No.11

        Ni nanoparticles (NPs)-graphitic carbon nanofiber (GCNF) composites were fabricated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The amounts of Ni precursor used as catalyst for the catalytic graphitization were controlled at 0, 2, 5, and 8 wt% to improv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s of the nanoparticles and make them suitable for use as counter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As a result, Ni NPs-GCNF composites that were fabricated with 8 wt% Ni precursors showed a high circuit voltage (0.73 V), high photocurrent density ($14.26mA/cm^2$), and superb power-conversion efficiency (6.72%) when compared to those characteristics of other samples. These performance improvements can be attributed to the reduced charge transport resistance that results from the synergetic effect of the superior catalytic activity of Ni NPs and the efficient charge transfer due to the formation of GCNF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hus, Ni NPs-GCNF composites may be used as promising counter electrodes in DSSCs.

      •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디스플레이 제품의 재활용 가능한 유가자원 분석

        김세열 ( Seyul Kim ),강이승 ( Leeseung Kang ),안혜란 ( Hyelan An ),이찬기 ( Chan Gi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국내 디스플레이 제조 기술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만큼 그 수준이 상당히 높으며, 디스플레이 산업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국내 디스플레이 생산과 수요의 꾸준한 증가 추세와 전자 제품의 짧은 순환주기를 고려하였을 때 향후 폐디스플레이의 발생량은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국내 폐 디스플레이 재활용 기술은 폐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단일부품에 대해서만 일부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국내 폐 디스플레이 발생량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자료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40 ~ 42인치, 32인치 크기의 LG, 삼성에서 제조된 폐 LCD 모델을 선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폐 LCD 제품을 플라스틱, PCB, LCD 패널, 금속, CCFL 모듈, 시트, 기타 폐기물(전선, 스피커 등)으로 해체·분리하여 회수 가능한 유용자원의 종류와 구성비를 조사하였다. 분리 회수된 자원은 제품의 제조연도와 크기에 따라 특성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통합 재활용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폐 LCD 제품의 평균중량은 모든 크기의 제품에서 제조연도가 최근과 가까울수록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분리된 PCB와 금속 부품의 경우 중량비가 제조연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LCD 패널 및 플라스틱의 경우 오히려 증가하였다. 특히 플라스틱 재질은 제조사별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어 고부가의 재활용공정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선별이 중요한 공정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자료는 폐 LCD 제품 재활용률 향상 뿐만 아니라 고부가 재활용 공정 도입을 통해 친환경 고효율 해체공정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