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직에서 남교사의 정체성 탐색

        안아라(Ah Ra Ahn),김한별(Hanbyul Ki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남자 교사를 대상으로 교직 생활 가운데 겪은 다양한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들에서 남성의 경험들은 주로 외부, 특히 여성과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서술되어 왔으며, 그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내면적 갈등과 충돌, 그리고 저항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설계하여 대도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남교사 6명과의 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남자 교사들은 스스로를 여성적 생활양식에 적응해야 하는 소수화된 존재,‘관대한 호랑이 선생님’같은 존재, 학생 성별에 따라 자신의 섹슈얼리티가 조절되어지는 존재, 다양한 학교업무를 감당할 수 있는 전문 일꾼, 관리자가 유용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협력 대상자, 승진에 관심을 갖는 것이 당연한 존재, 그리고 초등학교 남자교사에 대한 사회의 이중적 인식을 자각하고 있는 존재로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직의 여성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견되는 남자 교사들의 위기의식 및 무력함, 의존성, 그리고 권력의 모순적 경험들을 밝혀냄으로써 소수자로서 남교사들에 대한 이해 및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king a look at identiti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analyzing their school experiences. In most previous literatures, experiences of male teachers were discussed mainly based on their interactions with female co-workers. In this process, their internal conflicts, clashes or resistances, which they encountered, were overlooked. Thus, this paper will critically analysis experiences of male elementary teachers as minorities within educational context to answer the question that is what identities perceived by themselves are in terms of their works and social relationships. To get the answers to this questi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designed for six male elementary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The study reveals seven identiti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An identity as a minority within environments having a preponderance of female teachers; 2) an identity as a teacher having two contradictory roles, which are a generous facilitator and a strict role-model/punisher of student’s behaviour; 3) an identity as a role-model with selectable gender images according to students' sex; androgynous images for girls and masculine role-models for boys; 4) an identity as a pivotal workforce for school works requiring physical strength; 5) an identity as a helper in close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with school administrators; 6) an identity as a male teacher who is expected to have successful careers whether or not he wants, particularly, for being an school administrator; 7) an identity as a being who has a double standard to male elementary teachers, one is positive personal job-satisfaction and another is negative images about male-teachers because of a relatively low social status of male elementary teachers. In conclusion, as a number of female teachers has been increased, school and teacher cultures become more female-dominated. Within this context, male elementary teachers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negative emotions such as consciousness of crisis, feebleness, and dependence. In this regard,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ir features as male-teach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 KCI등재

        초등학교 여성 교장의 경험 학습에 관한 연구

        안아라(Ahn, Ah Ra)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장이 된 여성들이 교장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학습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장기간의 승진 과정 끝에 교장이 된 참여자들은 관리직이라는 생소한 환경 속에서 새로운 정체성, 다시 말해 학교 관리자에 적합한 정체성을 조형하고 구성해나가기 시작한다. 초등학교 여성 교장을 대상으로 수행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의 양상들은 경험 학습의 측면에서 조망하였다. 먼저 교사에서 학교 관리자로의 변화된 다중적 역할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여성성에 대한 의미를 재규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진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고려되거나 인식되지 못했던 여성 젠더는 여성 관리자로서의 자신의 교육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발휘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요소로 부각된다. 아울러 여성성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토대로 참여자들은 승진의 의미를 재규정하고 새로운 학교 문화를 생산해 나간다. 끝으로 이들의 학습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순환하면서 여성 연대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female elementary principals experience and learn in the process of working as a principal. To do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wo retired participants as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the researcher describe and explore the life and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a vivid and rich manner. These a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in depth the experiential learning patterns of elementary female principals in the teaching prof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omen who became principals became aware of the need to rediscover and reinforce feminine values while acting as managers. The female values that were suppressed or repressed in the teaching culture surrounding the promotion are reassessed and recognized as the positive values in carrying out the school leadership of the participants. Based on this, the participants who have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women principals have produced and created a new school culture that is teacher-friendly and gender equal. As a result, promotion to the participant is valued as a kind of self-realization, a means that enable one to become a subjective and active woman by expanding their own influence. Also, participants learning patterns showed the possibility of diffuse circulation in the close relation between home, work, and women s solidarity network.

      • KCI등재

        종교생활의 맥락에서 살펴본 성인의 영성학습 과정 : 가톨릭 신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한별(Kim Han byul),안아라(Ahn Ah Ra),허효인(Heo Hyo 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가톨릭 신자들의 신앙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종교생활의 맥락에서 영성의 발달을 이끄는 성인들의 영성학습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비교적 오랜 기간 성실하게 신앙생활을 해왔으며, 가톨릭에서 신앙적 모범으로 인정받은 신자 7명, 사제 1명, 수녀 1명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청취하여 신앙에 영향을 미친 사건과 변화의 모습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서 드러난 영성학습의 과정을 요약하면 연구 참여자들은 초월적 존재인 하느님과 관계 맺고 일치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신앙 활동에 몰입하였으며, 그 가운데 하느님의 현존을 인식함으로써 자기정화를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기존의 관점이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 자신, 타인,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으로 변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변화된 자세로 삶을 살아가는 실천 양상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영성학습의 과정이란 초월적 존재인 하느님과의 관계를 토대로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인식을 얻는 동시에, 변화된 삶의 자세를 보이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영성학습과 영성 발달을 추동하는 영적 경험이 친숙한 일상에서 생소하고 낯선 것을 인식하는 경험이란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영성학습이 성인학습의 주요 주제인 비판적 사고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process for spiritual learning in the context of religious life, which is a crucial component of spiritual development for adult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is design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nine Catholics have been conducted. The study findings reveal that participants has gone through four phases of spiritual learning. Due to problems and conflicts within their own lives, participants have aspired to connect with God, transcendent and eternal being. They have been devoted to religious practices such as attending Mass, reading Bible, praying, confessing, and Eucharistic adoration. In so doing, they have been aware of the existence of God that leads to experience a sense of self-purification. It is a spiritual experience for participants because they have come to recognize the extraordinary out of the ordinary. As a result of spiritual experiences, they have transformed perspectives, and changed ways of living. This study suggests that spiritual experience is a pivotal component of spiritual learning, and in turn, constant development of spirituality. The study also shows that people could have spiritual experience during critical thinking in the sense that it is involved with awareness for the extraordinary out of ordinary lives; challenging norms and standards that are taken for granted is regarded as critical thinking. Further studies that allow to extend interests in spiritual learning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