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과 홍잉의 『굶주린 여자』 비교 연구

        신춘란申春蘭(Shen, Chun-lan),조영준曺榮晙(Jo, Young-Joo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硏究 Vol.24 No.-

        한국 작가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과 중국 작가 홍잉의 [굶주린 여자]는 일인칭화자인 딸의 시각에서 어머니의 삶을 비롯한 한 시대의 수난사를 보여주는 성장소설이다. 이 논문은 우선 두 작품 속 모녀상을 통해 질곡의 역사와 수난의 시대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작품 속 여성들이 남성의 부재로 인해 느끼는 불안정성을 분석한다. 여성의 불안정성은 그녀들의 공간으로 표상된다. 어머니와 딸의 관계에서는 딸이어머니의 행동과 가치관에 거부감을 느끼지만, 다른 면에서는 어느 정도의 연대의식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주목한 것은 여성이 근대화로 향하는 과정에서 선택한 상이한 대응 방식이다. [엄마의 말뚝]에서 어머니는 전근대/비문명적 공간으로 상징되는 시골을 떠나 신여성/문명의 공간으로 상징되는 서울을 선택하였다는 점에서 진보적인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신여성으로 향하며 근 대적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어머니는 허영과 모순을 완전히 제거하지못한다. [굶주린 여자]에서 여주인공 류류는 가정에서의 애정 결핍을 성적 행위로의 이탈을 통해 메우려고 시도한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한 류류는 아버지와 동일시했던 역사 선생님과의 사랑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추구한다. 류류의 근대화 과정에서는 타인에 의존하여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점에서한계를 보이지만, 최종적으로는 글쓰기를 통한 자아 구원의 방식을 선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