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직변화를 통한 유니트 케어의 도입 과정 분석

        신창환(Chang Hwan, Shi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1

        노인요양시설은 다양한 욕구와 문제를 가진 노인들이 생활하는 공간으로서 개별화된 전문적인 요양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한편 공급자 중심의 케어에서 거주자 중심으로의 케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니트 케어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유니트 케어의 도입은 단순한 생활공간의 물리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조직 전반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니트 케어의 도입을 실제로 도입한 장기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조직변화 모형을 적용하여 유니트 케어의 도입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니트 케어의 도입에 있어 시설장의 리더십, 조직학습 분위기의 조성,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체계의 확립 등의 요인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nursing homes as a living space of the elderly who have various needs and problem should provide the personalized and professional care service. Meanwhile, with the changing of care environment from Facility-centered care to Resident-centered care in nursing home, the introduction of unit-care systems is emphasized.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unit care system. In terms of organization theory, the introduction of unit care is related to the overall organization change as well as living space change. So this study have analyzed the application case of unit care system through the organization change model focusing on K nursing home.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following factors are important in nursing home: the building of a learning organization, leadership of top leader, a reward systems to motivate.

      • KCI등재

        평위산(平胃散)과 조기평위산(調氣平胃散)이 흰쥐의 위궤양(胃潰瘍)에 미치는 효과(效果)

        신창환,Shin, Chang Hwan 사상체질의학회 1990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 No.1

        In order to study on the effect of Volume of Gastric Juice Free acid, Total acid, and Anti-Ulceration, Jo gi pyeong yoe san Extract were administered to the Pylorus-Ligated Rats induced Shay's Ulc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ffect upon Volume of Gastric Juice, Free Acid, and Total Acid of experimenting group with medicine, in contrast with Control Group and Pyeong yoe san Group, there was decreasing that it reveled Significant Value. 2. In the effect upon Shay's Ulcerlation, Jo gi pyeong yoe san Extract were decrease to the Ulcer Index that it reveled Significant Value. 3. Control Group and Pyeong yoe san Group were similar.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Jo gi pyeong yoe san is assumed to have Anti-Ulcerlation.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자발적 서비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창환 ( Chang Hwan Shi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1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돌봄노동이면서 정서적 관계를 핵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감정노동으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일반 서비스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감정노동의 빈도와 주의정도에 따라 직무에 대한 태도가 달라진다는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요양보호사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이해와 대응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 서비스 종사자인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하위 요인인 표면행위와 심층행위가 서비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표면행위는 서비스몰입에 부적 영향을, 심층행위는 서비스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몰입을 매개로 하여 자발적인 서비스행동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Long Term Care(LTC) servi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labor in that the service is based on emotional relationship as well as care labor. Th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job attitude depends on the frequency and attentiveness of emotional labor. While LTC service is expanding, the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of emotional labor is important. But the study of emotional labor of care worker is not much.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that the influence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attitud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surfacing acting influences negatively service commitment and deep acting influences positively service commitment. And two acting types affect the voluntary service acting mediated by the service committment.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as drawn.

      • KCI등재

        장기요양시설의 조직학습, 시장지향성과 조직성과의 관계

        신창환 ( Chang Hwan Shi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2

        시장화 방식의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으로 인해 장기요양시설들의 환경은 급변하였다. 조직의 생존과 유지가 이용자의 수와 보험수가에 의해 결정되는 상황으로 변화됨에 따라 영리기업을 대상으로 발전된 ‘조직학습’과 ‘시장지향성’의 마케팅적 사고와 행동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주관적 성과와 객관적 성과로 구분하고, 조직학습과 시장지향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모형과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학습은 조직의 성과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장지향성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도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조직관리적 측면, 제도적 측면에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With the introduction of insurance of Long Term Care through the way of marketization, the environments of the elderly care service have changed so much. The environments are demanding marketizational thinking and action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such a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rket Orientation’ owing to the situation that the organizational survival and maintenance is depending on user`s accommodation and insurance premium.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rket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subjective and objective performance using multi-regression model and hierarchial regression model. As results, organizational learning has positive influences on performance and marketization orientation has not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wo variables also has not related to performance.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Long Term Care policy.

      • KCI등재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창환(Shin, Chang-Hwan)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는 노년기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최근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우울과 관련하여 삶의 객관적 특성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노인의 삶의 만족도나 혹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조사대상이 일부 지역으로 한정되고 삶의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검토 없이 양자의 인과관계를 논의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노동연구원의 고령화패널 2차년도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상태, 사회활동, 자녀지지, 경제상태와 같은 삶의 객관적 특성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녀지지, 경제상태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상태, 사회활동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우울이 주관적 인지ㆍ평가과정인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노인들을 위한 심리정서적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준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of interest on depression as a psyco-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ife objective factor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mediated by life-satisfaction. Previous literature has two limitations. First, previous survey is covered restricted area. Secondly, there is no distinctiv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life-satisfaction. Given these limitations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is study used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Data(KLoSA) 2008 that was collected all over country by Korea Labor Institute and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statistical analysis method.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as the following. Health, social activity, child support, economic status a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ife-satisfaction. But only health and social activ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and social activity on depress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ubjective perception and evaluation on objective attributes of life are closely related to mental coping and adaptation among the elderly and to address elderly depression on drawing attention as social problem, psycho-emotional programs are prepared for elderly welfare programs.

      • KCI등재

        선한 사마리아인의 역설과 그 극복 -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의 저작권 침해에 관한 인식과 모니터링 의무를 중심으로

        신창환(Chang-Hwan Shin)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8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는 인터넷 이용의 발전을 위하여 일정한 경우 이용자의 직접 저작권 침해와 관련된 간접적 책임에 관한 면책이 부여되는데 이를 안전항(Safe Harbor)제도라고 한다. 우리 저작권법은 미국의 DMCA의 영향을 받아, 온라인서비스제공자를 단순 도관, 캐싱, 호스팅, 정보검색도구 등으로 나누어 두고 있다. 이 글은 특히 호스팅 서비스 사업자의 안전항 요건인 저작권법 제102조 제1항 3호 다목의 침해 인식과 제102조 제3항의 일반적 모니터링 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규정의 해석에 의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자신이 서비스하고 있는 인터넷 공간에서 저작권 침해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지를 살펴보아 저작권 침해를 예방하고자, 선의에서 행동하면 할수록 더 책임이 부과되는 결과가 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러한 상황은 어떤 행위자(OSP)가 선의를 가지고 행동하면 오히려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역설(Good Samaritan Paradox)’이라고 부를만한 것이다. 저작권법 제102조 제1항 3호 다목에서는 OSP 중 호스팅 서비스 사업자와 관련된 면책 요건인 ‘실제 인식’과 ‘명백한 인식’의 범주를 혼동케 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 2019. 2. 28. 선고 2016다271608 판결은 OSP의 침해 인식을 촉발하는 저작권자의 통지를 매우 엄격히 해석하여 URL로 침해물의 소재를 특정한 권리자의 통지를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OSP에게 저작권 침해 상태를 제거할 의무를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저작권법 제102조 제3항은 OSP의 일반적 모니터링 의무가 없음을 규정하지만, 이 조항은 위 침해인식과 관련한 조항과 결합하여 독해되는 경우 자신이 관리하는 서비스 내 침해 상황을 모니터링할 의무가 전면적으로 없다는 식으로 오해를 야기할 소지가 있다. 이렇게 되면, OSP는 저작권자가 URL로 침해 소재를 명확히 한 침해 통지에 대해서만 저작권법 제103조 제2항 소정의 복제·전송 중단을 하는 소극적인 대응을 하고, 그 이외의 모든 침해 상황에 대해서는 외면하게 되기가 쉽다. 이 같은 우리의 OSP 안전항 규정과 그 해석론은 재고와 개선의 여지가 있다. With safe harbor provision of Copyright Act, Online Service Provider (OSP) may be exempt from secondary liability with respect to copyright infringement of users, if the statutory requirements are met. Korean Copyright Act recognizes mere conduit, caching, hosting service, and location tool as the types of OSP. This study focuses certain undesirable outcome in that OSP may be further liable to the copyright infringement of users when OSP makes efforts to prevent copyright infringement in its service because OSP may be more knowledgeable through such investigation. This situation is a kind of a “Good Samaritan Paradox” because the acts in good faith leads to more liability. The terms of ‘actual knowledge’ and ‘apparent knowledge’ are confusingly used in the safe harbor provisions in Korean Copyright Law. In this regard, the Supreme Court did not find the liability of OSP unless such OSP were given notice from right holders with specific URLs (Supreme Court 2016Da271608 rendered on Feb. 28, 2019). Furthermore, Article 102 Paragraph 3 of Copyright Act declares no general obligation of OSP’s monitoring, but this provision is misleading to the effect that OSPs may believe that there is absolutely no obligation to monitor its service in any cases at all. This leads to OSP’s blindness to the circumstances of copyright infringement with the exception of right holder’s notice with specific URLs. Compared to the laws of foreign countries, the interpretation and provisions itself of safe harbor protection in Korean Copyright Act leave much to be desired.

      • KCI등재

        타임스터디 방식을 활용한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활동 분석

        신창환 ( Shin Chang Hwan ),배성호 ( Bae Seong Ho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社會科學硏究 Vol.44 No.1

        시행 10년차에 접어든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시설과 이용자 수 측면에서 양적 확대라는 긍정적 성과도 있지만 주된 서비스 제공인력인 요양보호사의 낮은 임금 및 높은 노동강도, 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요양보호사의 직무활동에 대한 논의는 요양보호사의 업무에 대한 계량적 분석에 기초하지 않고 단지 중년여성들의 저임금 일자리라는 속성에 기인하여 높은 노동강도일 것이라는 추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분 단위로 요양보호사들의 서비스 활동을 기록하여 분석하는 타임스터디 방식을 적용하여 요양보호사들의 서비스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2개 노인요양시설의 입소노인 190명에게 24시간 제공되는 요양보호사의 활동을 기록함으로써 실제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활동은 식사, 배설, 체위변경 등의 육체적 노동에 법정 근무시간 중 4시간 이상을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각종 서비스 일지 작성 등의 행정업무, 입소노인들과의 대화 및 의사소통 등의 정서적 지원에 이르는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의 육체노동 강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정서노동, 행정업무 등 포괄적 노동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핵심인력인 요양보호사들의 업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서비스 활동에 대한 교육·훈련의 내실화, 육체노동에 따른 안전사고대비가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Long-term care insurance that has been executed for ten years has exposed the problem such as low pay and high labor intensity of care workers, degradation of service quality in spite of quantitative expansion of users and facility. But the discussion on labor intensity of care workers is based on the inference of high labor intensity due to low-wage jobs in middle-aged women without an empirical analysis of care workers job. Therefore, this study has empirically analysed the activity of care workers by applying time study method to record and analyze the service activities of care workers in one minute increments. We analysed and identified what services care workers actually provides while recording 24-hour care activities of 190 elderly people in two elderly nursing ho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activities of care workers are more than 4 hours during legal working hours for physical work such as meal, excretion, change of position.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various activities such as administrative service drawing up service records, emotional support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are conducted. It shows that the labor intensity of care workers is very high and does not end with mere physical labor but shows a characteristic of comprehensive lab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improvement of treatment of care workers and consolid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various service activit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KCI등재

        돌봄서비스 제공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구축을 위한 사례 연구

        신창환(Shin, Chang Hwa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9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9 No.4

        비즈니스 모델 연구는 영리기업을 중심으로 발전되어왔으며, 최근 들어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가 국외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진행되지 못했다. 특히 부가가치가 낮고, 무형적 상호작용이라는 특성을 가진 돌봄서비스를 주된 사업으로 하는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Richardson이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 구성요소인 가치제안, 가치창출 및 전달, 가치확보 분석틀에 따라 돌봄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돌봄서비스의 속성 상 기업화가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성공적인 돌봄 사회적기업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돌봄서비스 사회적기업의 모델 구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돌봄서비스 제공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들은 명확한 전략과 비전을 가지고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 및 전달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및 경제적 가치를 확보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돌봄서비스 제공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체계화하고 실천적·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Research on the business model of commercial enterprise has been developed and research on the business models of social enterprises has been recently conducted overseas. In Korea,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social enterprises, but research on the business model of social enterprises has not been done yet. In particular, there is no study on the business model of a social enterprise whose main business is providing care service with low added value and intangibl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rives the business model of social enterprise for social care service applying framework which is presented by Richardson"s framework of business mode; value proposition, value creation and delivery, value capture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cas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social enterprises providing care serv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enterprises providing care service have captured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by creating and delivering differentiated value with clear strategy and 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have systematized the business model of social enterprise providing care service and suggested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