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eap4에 의한 지방세포분화 촉진 기전

        심현아(Hyun A Sim),신주연(Jooyeon Shin),김지현(Ji-Hyun Kim),정명호(Myeong Ho Jung) 한국생명과학회 2020 생명과학회지 Vol.30 No.12

        Six-transmembrane epithelial antigen of prostate 4 (Steap4)는 철과 구리를 환원하여 철과 구리의 세포내 유입에 관여하는 금속 환원효소로, 구리 철의 항상성 뿐만 아니라 염증, 포도당 대사, 지질 대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Steap4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한다는 보고가 발표되었으나, 이에 관련된 분자적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Steap4에 의한 지방세포분화 촉진에 관련된 기전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3T3-L1 백색지방세포, 불멸화된 갈색지방세포(iBA) 및 생쥐의 배아 섬유아 세포인 C3H10T1/3 세포에서 Steap4을 감소시킨 후 지방세포분화 초기단계에 관련된 신호들을 분석하였다. Steap4을 shRNA로 감소시켰을 때 지방세포분화 초기 단계에서 3종류 지방세포의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인 cyclin A, cyclinD 그리고 cdk2의 발현은 감소하는 반면 세포주기 저해 단백질인 p21과 p27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또한 세포주기 관련 신호인 p38, ERK 그리고 Akt의 활성화는 억제되었다. 한편 지방세포분화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들을 분석하였을 때, Steap4의 감소는 지방세포분화 활성 전사 인자인 C/EBPβ, KLF4의 발현을 저해하는 반면, 지방세포분화 억제 전사 인자인 KLF2, KLF3 그리고 GATA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Steap4의 과발현은 C/EBPβ promoter에 존재하는 전사억제 히스톤 표지자인 H3K9me2과 H3K27me3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Steap4는 지방세포분화 초기단계인 mitotic clonal expansion을 촉진하고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세포분화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The six-transmembrane epithelial antigen of prostate 4 (Steap4) is a metalloreductase that plays a role in intracellular iron and cupper homeostasis, inflammatory response, an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Previously, Steap4 has been reported to stimulate adipocyte differentiatio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is action remain unexplor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Steap4-induced adipocyte differentiation using 3T3-L1 cells, immortalized brown adipocyte (iBA) cells, and mouse embryonic fibroblast C3H10T1/2 cells. The knockdown of Steap4 using adenovirus-containing shRNA attenuated mitotic clonal expansion (MCE), as evidenced by the impaired proliferation of 3T3-L1 cells, iBA cells, and C3H10T1/2 cells within 48 hr after adding the differentiation medium. Steap4 knockdown downregulated G1/S phase transition-related cell cycle regulators (including cyclin A and cyclin D) and upregulated cell cycle inhibitors (including p21 and p27). Furthermore, Steap4 knockdown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and Akt. Moreover, Steap4 knockdown repressed the expression of early adipogenic activators, such as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β (C/EBPβ) and Kruppel-like factor family factor 4 (KLF4). On the other hand, Steap4 knockdown stimulat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inhibitors, including KLF2, KLF3, and GATA2. The overexpression of Steap4 using an adenovirus removed the repressive histone marks H3K9me2 and H3K9me3 on the promoter of C/EBPβ.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epa4 stimul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the induction of MCE and the modulation of earl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EBPβ, during the early phas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효과 메타 분석

        하명숙(Myungsook Ha),이민정(Minjeong Lee),신주연(JooYeon Sh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2002년부터 2022년 12월까지 국내 출판된 연구 중 PICOS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35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35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유형별 분석결과, 진로지원 프로그램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고, 학교생활적응지원 프로그램, 심리지원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변인 분석 결과, 진로관련 변인의 효과가 가장 높았고, 인지적 측면, 사회적 측면, 정서적 측면 순으로 나타났다. 중재회기는 10회기 이상 실시되었을 때가 10회기 미만이었을 때 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rograms for youth school dropout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with 35 domestic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chool dropouts support programs was 1.35, which was considered high. Among the four types of the support programs, the career support program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the school life adaptation support program and th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Among the four areas of the resulting variables, th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aspects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followed by cognitive aspects, social aspects, and emotional aspects. The programs with more than 10 sessions showed higher effectiveness compared to programs with less than 10 sessions. Programs conducted with adolescents living in group residential youth facilities showed better effects compared to programs with youths living in their own home.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s for school dropou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지도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반승관 ( Seungkwan Ban ),임유하 ( Yooha Lim ),신주연 ( Jooyeon Shi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3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교육실습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서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2회 이상인 전문상담교사 8명을 심층면담 하고, 수집된 면담자료를 합의적질적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실습 준비과정, 교육실습 운영과정(대인관계), 교육실습 운영과정(실무지도), 교육실습 평가, 교육실습 발전방향의 5개 영역과 13개의 범주, 4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에서는 교육실습 준비시작 단계와 준비과정에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은 실습생에 대한 학교구성원들의 인식, 지도교사와 실습생의 협력적 경험 및 관계에서 어려움 범주가 나타났다. 세 번째 영역에는 상담지도방법, 실무지도과정에서 어려움과 지도과정의 의문점이 도출되었다. 네 번째 영역은 다양한 평가방법 사용, 실습평가과정에서 어려움과 평가의 한계 범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실습의 제도적 보완 요구와 교원양성기관의 요구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상담교사가 교육실습지도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상황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으며,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지도 역량 향상과 실습여건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aining experience of student teaching by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depth to investigate the overall student teaching process and ways of improvement. A detailed interview was conducted on 8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that have more than 2 training experiences on student teach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5 upper categories of student teaching preparation process, student teaching operation proc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udent teaching on practical training, student training evalu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student teaching. Additionally, 13 categories and 41 subcategoreis were drawn out In the first category, preparation stage of student training and its challenges were discussed. In the second category, school members’ perception on student teacher and the difficulties in the collabor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eacher were revealed. In the third category, doubts on training process and difficulties in counseling guidance and practical training were explored. In the fourth category, limitations on use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and difficulties in student teaching evaluation process were discussed. Lastly, needs for systemic complement and establishment of teacher training center were derived. This research allowed exploration of various challenges and situation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experience during student teaching training and allowed preparation of basic resources to improve student teaching training capabilities and conditions. This research also provided its limitation and future study sugg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