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인 ·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영어매체사용 비교 연구

        신정아 ( Shin Jeonga ),박매란 ( Park Mae-ra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21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Korean 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as sojourners in a Korean university in terms of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use of English media. For the study, 31 Korean graduate students and 31 foreign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survey measured the participants’ use of English media and four dimension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Knowledge, attitudes, skills, and awar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rated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use of English media relatively higher than did the Korean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both group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use of English media. The findings will shed light on how effectively English instructors can teach Korean students in tertiary education to be equipped with a high level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us ultimately being successful in interacting with people from other parts of the world professionally and personally.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의 ‘양태 표현’ 온라인 학습 가능성 탐색

        신정아(JeongA Shin), 한정한(Jeongha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이 글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SFL)의 양태 표현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온라인 수업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체계기능언어학의 용어인 ‘일치적 실현’, ‘비일치적 실현(문법적 은유)’, 그리고 양태의 전체 시스템인 ‘양태의 체계망’을 소개한다. SFL 문헌에서 말하는 이 세 가지 개념은 본고에서 한국어의 양태 범주를 분석하고, 교육하는 원리가 되며, 후술 4장과 5장의 온라인 프로그램 매뉴얼을 구성하는 실제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활용된다. 즉 문헌의 원리를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문헌 조사의 방법을 취한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화상 밖’의 학습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이면서 반복적인 학습 활동을 성취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화상 밖’ 수업은 2단계로 수행된다. 먼저 목표 학습에 친숙해지기 위한 ‘AI튜터 예습’ 단계는 5단계 활동으로 세분된다. 지식활성화 단계, 대화형 읽기 단계, 이해력 검사 단계, 받아쓰기 단계, 역할극 단계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본 수업은 명작동화에서 목표 문형을 추출한 것을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복습 활동 및 피드백’ 단계는 본 수업에서 배운 문형을 중심으로 확장된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업 매체로 학습자의 기본 지식과 정보가 학습의 흥미를 돋울 수 있도록 오스카와일드의 ‘행복한 왕자’를 이용한다. 결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양태 표현’을 익힐 수 있는 수업 방안을 탐색한 결과 양태의 어휘문법적 실현과 문법은유적 실현을 구분하고 확률, 빈도, 의무, 의향 등 양태의 유형에 따라 결과값(고, 중, 저)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표 문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온라인 수업 체계로 언어 교육에 필요한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영역의 총체적 학습이 가능하며, 온라인 학습 결과물은 대체로 수행 즉시 평가가 가능하나, 쓰기 활동의 경우 교사의 주기적 피드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논의는 SFL의 이론 주입식 교수법에서 탈피한 실질적인 교수법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환언하면, SFL 전공서가 아니더라도 위와 같은 온라인 접근법을 통해서 학습자들이 SFL 교육과정에 흥미를 느끼고 학습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한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online teaching method to help learn “Modality” expressions of System Functional Linguistics (SFL). Methods We introduce the SFL terms “coherent realization,” “incongruent realization (grammatical metaphor),” and “systemic network of modality,” which is the entire system of modality. These three concepts from the SFL literature serve as the principles for analyzing and teaching the modality categories of Korean in this paper, and as the practical research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the online program manual in Chapters 4 and 5. Therefore, this paper takes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i.e., applying the principles of the literature to an online education program. “Out-of-video” learning is an essential factor in achiev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To be specific, the ‘out-of-video’ class is conducted in two stages. First, the ‘AI-tutor- preparation’ stage is subdivided into five sub-stages of activities. They are the knowledge activation stage, the interactive reading stage, the comprehension test stage, the dictation stage, and the role play stage. The paper is organized around the target sentences extracted from the masterpiece fairy tale. The “Review Activities and Feedback” stage is the stage where the students perform extended activities centered on the characters learned in this pap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uses Oscar Wilde's “The Happy Prince” as a teaching medium to make learners' basic knowledge and information more interesting.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ing teaching methods for advanced learners to learn ‘Modality ex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exico-grammatical realization of, Modality and the grammatical-metaphor of Modality can be distinguished and the Values (high, middle, and low)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Modality such as probability, usuality, obligation, and inclination. In addition, the online class system of repeatedly practicing target texts enables holistic learning in the areas of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necessary for language education, and online learning outcomes can usually be assessed immediately. However, in the case of writing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effect can be maximized only when the teacher's periodic feedback is actively conducted.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we have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hat departs from the theory-infused teaching method of SFL. In other words, we have provided an alternative way for learners who are not SFL majors to engage with the SFL curriculum through the above online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