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튜브 사용자 참여 프로젝트에서의 협동적 창작 양상 고찰

        신정범(Jeongbeom Shin),시정곤(Chungkon Shi)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최근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들을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참여 프로젝트'는 웹 2.0 문화의 대중적 참여와 조직적인 협업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프로젝트들에서 '협동적 창작 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행위의 관점에서 문화행위를 분석하는 '퍼포먼스 이론'과 듀톤(Dutton)의 '협업적 네트워크 조직에서의 협업의 유형분류체계'를 분석의 틀로 삼았다. 분석 결과, 유튜브의 사용자 참여프로젝트에서는 사용자가 유기적인 전체의 한 부분으로서 그에 따른 역할과 책임을 맡는 실질적인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이 프로젝트들에서 협업의 형태는 협업 2.0 기여형의 특성을 모두 내포하고 있었지만 협업 3.0 에 대해선 부분적으로만 공동창조 형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틀에서만 규정되었던 동영상 UCC 에서의 협동적 창작의 개념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되고 고찰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Recently, the projects based on user's participation in Video-sharing websites like YouTube aim for public participation and organized collaboration of Web 2.0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ollaborative creation works in these kinds of projects. To analyze it, we utilized Performance Theory- which is useful in analyzing cultural actions from the viewpoint of 'action'- and the typology of the collaboration in Collaborative Network Organizations by Dutton (2008). As a result, users took its role and responsibility for the collaboration as a part of the organic whole, so the substantive collaboration worked in Youtube projects. In addition, the collaboration in these projects included all attributes of collaboration 2.0 (Contributing), however, it contained partly the properties of collaboration 3.0 (Cocreating).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creation in Video-UCC was applied to specific examples and considered thoroughly; the existing, relevant studies were considered within a broad and conceptual framework.

      • 의복 종류에 따른 대인 매력에 대한 연구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안구추적 연구

        정종욱(Chongwook Chung),신정범(Jeongbeom Shi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는 교복과 사복 착용 여부에 따라 학생들의 매력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복이라는 틀이 본인의 매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사복의 착용이 매력성을 향상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연구의 형태로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사복구입의 어려움을 이유로 교복착용에 대한 찬성의견이 많았고 교복의 디자인과 같은 외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복과 얼굴 응시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Eye-tracker 연구에서는 의복보다 얼굴을 응시하는 시간이 길었고, 교복과 사복 착용 여부에 따른 얼굴 응시시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교복을 입은 학생들에 대한 매력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는데, 이는 교복의 착용이 학생들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의복과 매력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pre-testing' was to find the difference of students' attractiveness between wearing school uniforms and not wearing them.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using Eye-tracker to investigate eye movements on a picture showing both face and clothes. The results showed that wearing school uniform was preferred more than other clothes since they had troubles for choosing and buy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eye-tracker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xation duration between wearing school uniform and ordinary clothes in a picture of experiment stimuli while more longer fixation duration was found on faces than on clothes. However, the attractiveness of students who were wearing school unifor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onditions. In result, these finding indicate that the school uniform might have the potential to influence the attractiveness of students, and also these put forward evidence to support earlier studies with correlation of clothes and attra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