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 이후 공동체는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2020년 섬진강 범람 이후 구례지역 사례 연구

        신유정 ( Shin Yoojeong ),이채연 ( Lee Chaeyeo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2

        이 연구는 2020년 수해 이후 구례지역에서 일어났던 사건들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가급적 충실하게 기록하여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더불어 연구자는 당시 범지역적이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던 다양한 연대와 실천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재난 유토피아적 실천들에도 불구하고 재난의 무게에 짓눌린 채 고립된 이들의 이야기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에 관심을 갖는다. 과연 재난과 그 복구 과정에 등장한 ‘우리’란 무엇이었으며, 그 경계는 어떻게 확정되고 재구성되는 것일까. 이 연구에서는 먼저, 재난 직후 이전에 없던 범지역적이고 공동체 지향적인 연대 실천들이 가능했던 사회적 조건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고립과 상실의 정동, 재난 이전 지역사회가 결집할 수 있었던 사회적 계기들, 타자의 현존에 대한 물리적 자각과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러한 연대 실천을 일종의 집합적 의례(Durkheim 1995[1912])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 의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이 처참한 폐허 속 ‘당신’과 ‘내’가 존엄하고 신성한 ‘인격’을 가진 존재라는 점이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집합적 열광의 경험에도 불구하고, 왜 누군가는 그 ‘우리’라는 경계 밖으로 내몰려 고립되고 마는지, 개인의 고통 경험이 오히려 증폭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의 문제도 함께 논의하였다. 구조의 문제는 상호작용의 의례와 맞물려 피해당사자들을 자신의 사회적 자리로부터 밀어내곤 했다. 대면한 사람들과의 일상적 상호작용 의례는 종종 단절되며, 그 대상은 재난 이후 더욱 취약함을 경험하는 이들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다양한 구조적 요인들은 피해자들에게 자격을 요구하며 피해자됨의 위계를 구성하고, 지방정부는 피해자들의 일상을 회복하기보다 재난 이후 증여된 각종 자원들을 자본주의적 기회로 활용하는 데 골몰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피해자들의 고통은 사회적 장에서 적절히 다루어지지 못하고 개인의 사적인 영역 안에 고립되고 사사화 되어버린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recording the events and people’s stories of what took place in Gurye-gun after the flood as faithfully as possible. The focus is on how the various practices of solidarity were possible during the disaster, and at the same time, how to best understand the stories of those who were isolated and overwhelmed by the weight of the suffering. How did the survivors define the concept of “we” during this terrible period, and how are the boundaries established and reconstructed? First, we evaluated the situation since the disaster onse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and community-oriented solidarity practices, which were not previously present in this area. Through analysis of the affect of isolation and loss, of the social moments that the local community could gather before the disaster, of the visibility of the disaster and of the realization of co-presence of others, we found out that the practice of this solidarity is a kind of collective ritual(Durkheim 1995[1912]). What I was able to confirm through this ritual was that “you” and “I” in this terrible ruin are beings with dignity and divine personhood. However, despite the experiences of mutual aid and collective effervescence among citizens, the questions of why some people are driven outside the boundaries of “we” and become isolated, and why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suffering is amplified must also be discussed. Interaction rituals are often cut off, and the insulted victims are often those who experience more vulnerability after disaster. The problem of social structure, coupled with interaction rituals, pushed the victims out of their social place. The various structur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hierarchy of victimhood and the attitude of local governments when allocating the resources donated after the disaster in a capitalist way left the victims with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covery as individuals, and amplified the suffering of the victims.

      • KCI등재

        수액(링거)을 자양강장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의료 관행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신유정(Shin, Yoojeo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양강장의 목적으로 수액(링거)을 맞으러 다니는 주민들의 의료관행이 전문가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링겔’이라 불리는 이 관행은 주민들 스스로 상태를 진단하고 투약을 결정하는 자가투약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의료인은 합법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처치를 수행하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즉 의료인의 전문성 및 신체와 의약품에 대한 배타적 권력은 충분히 인정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며, 바로 이 지점에서 환자수행성과 근대적 의료전문가의 입장이 충돌하게 된다. 생의학전문가들이 이 링겔 관행이 올바른 지식에 근거하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이런 맥락이다. 그러나 의료 현장에서 ‘과학적 근거’에 대한 의료인들의 입장은 달라지며, 이 관행을 유지시키는 데 의료인들이 공조하기도 한다. 또한 의학적 적응증만을 판단하는 의료인들과 달리 주민들은, 비용과 지속성, 사회적 관계, 평판, 노동의 필요 등 일상의 여러 결들을 함께 고민하여 적응증 여부를 판단한다. 결국 주민들이 맹목적 믿음에 의해 의료 행위를 결정하는 것도 아니며, 명백히 가치중립적인 ‘근거’에만 투철한 의료실천이 존재하기도 어렵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 why patients and medical practitioners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toward fluid therapy, which is used as alternative medicine in local context. This medical practice commonly called ‘Ringer" is considered as something not modern, irrational and a sort of “medical superstition” by medical professionals. In spite of these criticisms, this practice is as ordinary as ever. The ‘Ringer" practice is usually performed without physicians" authorization. The local medical term, “No vital energy”, functions as a diagnostic category by local residents, not by medical professionals. Patients themselves diagnose, prescribe and inject. Namely it seems that medical practitioners" professionality and authority are not admitted. For the reason, patients" points of view toward self-care come into conflict with those of physicians. The rationality in local medical field is evaluated by medical professionals in theoretical way though, ordinary people ponder upon what the good thing is in their daily life and this reasoning lead them into the ‘rational" choice. For this reason, there is no confluent medical discourse about the ‘ringer" practice even among practitioners. Thus, the reason why the ‘ringer" practice is not uprooted in Korea despite of physicians" criticism is not because ordinary people are caught by a ‘irrational medical superstition". To grasp the meaning of this practice, we need to understand which values are competed in everyday life.

      • KCI등재
      • 오마하 체계에 따른 방문간호 대상자의 문제 분석

        김경미(KyoungMi Kim),문희윤(Huiyun Moon),박현혜(HyunHye Park),신유정(Yoojeong Shin)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20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Omaha system of nursing students to local community visited nursing subject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58 visiting nursing subjects identified through the Omaha diagnosis system, and the intervention system and detailed items therein, based on the 2019 1st semester community nursing practice report of the 4th year of nursing at a university. Results: Problems that appeared in more than 10% of the community visited nursing subjects were health-related behaviors in 3 areas of environmental area, 4 areas of psychological society , 3 areas of physiological and 5 areas of health-related behaviors . Among the pre-nursing intervention problem grade scales, the items with the highest average score were identified as income of knowledge, income of behavior, and neural-muscle-skeletal of status. Examples in which communication with resources , nutrition of behavior, health care monitoring of status are identified. Education, guidance,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in most problem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nursing intervention system based on the Omaha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 Appeared more than counseling .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apply the Omaha system centered on the target of community visitation nursing,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irection of nursing intervention can be secured based on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