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장기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신세포암의 임상적 특성

        김영옥 ( Kim Yeong Og ),한창희 ( Han Chang Hui ),신옥란 ( Sin Og Lan ),윤정민 ( Yun Jeong Min ),신석준 ( Sin Seog Jun ),장윤경 ( Jang Yun Gyeong ),윤선애 ( Yun Seon Ae ),양철우 ( Yang Cheol U ),진동찬 ( Jin Dong Chan ),김용수 ( Ki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5

        배 경 : 장기간 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신세포암의 발생빈도는 정상인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에 장기 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신세포암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10년 동안 혈액투석 혹은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 신세포암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투석 전에 신세포암이 발생한 증례는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결 과 : 총 7예의 신세포암이 발견되었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46±9세였으며 남자 6명 여자 1명이었다. 원인 신질환은 만성 사구체 신장염과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이 각각 3예였고 고혈압성 신증이 1예였다. 전체 7명의 환자 중 5명이 혈액투석 환자였고 나머지 2명이 복막투석 환자였다. 평균 투석기간은 82±46개월이었다. 신세포암 발견시 주요 증세는 2예에서는 전혀 증세가 없이 우연히 발견되었으며 3예에서는 측복부 동통이었고 2명에서는 복부 종괴의 촉진이었다. 전 환자에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이 시행되었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3.1±1.9 ㎝이었으며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 이외의 환자에서도 모두 다수의 낭종이 관찰되었다. 측복부 동통을 호소한 3명 모두는 신낭종의 자연 파열로 인한 신주위 혈종으로 신적출술 후 시행한 조직검사에서 신세포암이 우연히 발견되었다. 3명의 낭종 파열 환자 중 2명은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 환자였다. TNM 분류법에 의한 종양의 병기는 6예가 1기였고 나머지 1예는 폐에 전이된 4기였다. 1기의 6예는 모두 신적출술을 받았으며 평균 45±35개월의 추적기간 동안 1명의 환자에서 신세포암과 무관한 간질환으로 사망하였고 5명의 환자는 재발 없이 투석을 받고 있다. 결 론 : 장기 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신세포암은 대부분이 조기에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환자에서는 신적출술의 예후가 양호하였다. 또한 신세포암은 모두 유전성 혹은 후천성 신낭종과 관련 되어 있었으며 평균 투석기간이 82±46개월로 길었다. Background : The incidence of renal cell carcinoma (RCC) in patients receiving long-term hemo-dialysis 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is 100-fold higher than that in general population. But the clinical study about RCC in dialysis patients is not reported in Korea ye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CC in dialysis patient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medical records of dialysi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RCC between patients January, 1993 and December, 2002. RCC diagnosed before first dialysis was excluded. Diagnosis of RCC was made by both radio-logic and pathologic examinations. Results: A total of 7 patients was diagnosed with RCC. Mean age was 46±9 years. Primary renal disease consisted of chronic glomerulonephritis (n=3),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n=3), and hypertensive nephropathy (n=l). Five patients were on hemodialysis, 2 were on peritoneal dialysis. Mean duration of dialysis was 82±46 months.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asymptomatic in 2 patients, sudden onset of flank pain due to spontaneous renal cyst rupture in 3, palpable abdominal mass in 2. Mean tumor size was 3.1±1.9 cm and multiple renal cysts were noted in all patients. According to the TNM classification for RCC, 6 patients had stage I and 1 patients had stage IV. Six patients with stage I were treated with nephrectomy. With a mean follow-up of 45235 months after the operation, there has been no recurrence. Conclusion : Six patients out of total 7 patients had early stage tumor and all the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phrectomy and the prognosis was good. All RCC were associated with inherited or acquired multiple renal cysts.

      • SCOPUSKCI등재

        치료받지 않은 고혈압 환자에서 발생한 신동맥류의 자발성 파열

        김지일 ( Kim Ji Il ),서학준 ( Seo Hag Jun ),신옥란 ( Sin Og Lan ),송선화 ( Song Seon Hwa ),황은미 ( Hwang Eun Mi ),주강 ( Ju Gang ),김영수 ( Kim Yeong Su ),윤선애 ( Yun Seon Ae ),김영옥 ( Kim Yeong Og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6

        Spontaneous rupture of renal artery aneurysm is a rare, but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 with high mortality. The etiology of non-traumatic renal artery aneurysm is fibromuscular dysplasia, atherosclerosis, vasculitis, and pregnancy. We here report a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renal artery aneurysm in a patient with untreated hypertension. A 39-year-old non-pregnant woman complained of sudden onset of right flank and lower quadrant abdominal pain. Ul-trasonography showed large fluid collection in right lower abdomen. Emergency laparotomy demonstrated huge retroperitoneal hematoma due to spontaneous rupture of right renal artery aneurysm.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aneurysmal wall revealed intimal hyperplasia without atherosclerotic change. (Korean J Nephrol 2003;22(6):763-76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