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시설유형과 성별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 비교연구

        신근영 ( Geunyeong Sin ),나종민 ( Jongmin Ra ),정선영 ( Sunyoung Jo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제 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만 2세 의사소통능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발달측정도구에 기초하여 어린이집 시설유형(국·공립, 민간 일반형, 민간 서울형)과 영아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보육시설에 재원하는 200명의 만 2세 영아였으며,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발달측정도구(신경옥·정선영, 201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시설유형 간 의사소통은 말하기를 제외하고, 듣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듣기와 쓰기는 국·공립 어린이집이 민간 일반형 어린이집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읽기는 국공립과 민간 서울형이 민간 일반형 어린이집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남아가 여아보다 의사소통 중 말하기 능력에서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영아의 성별 간 의사소통(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있어서 시설유형과 성별에 따른 실태를 파악했다 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reveal how communication abilities, defined in the third revision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wo-year-old infa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ex and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national care center, private general care center, and private Seoul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200 four-year-old infants registered for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The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hin and Joung(2014) was used for participants’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low effect size. Except from speaking, scores of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ype of facilities. Listening and wri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and private Seou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and read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Next, male infants obtained higher scores across all the sub-domains of communication abilities than female infants. Those differences, howev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we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nfant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gender and the type of child-car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