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창현,이정우,장필성,Song, Changhyeon,Lee, Jungwoo,Jang, Pilseong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기술혁신연구 Vol.29 No.3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혁신의 지속 여부 또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혁신 지속(innovation persistence)은 기업의 혁신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혁신 연구에 사용되는 자료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횡단면 조사로 수행됨에 따라 종단적인 지속 현상을 다룬 연구는 드문 편이며, 특히 국내의 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혁신 지속 현상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지속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격년으로 수행된 한국기업혁신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복수관측된 3,379개 기업에 대한 불균형 패널자료를 구성하였다. 기술혁신의 지속 현상을 살펴본 결과, 지속적인 혁신이 관측되는 기업은 전체 중 일부(혁신성과에서는 10~12%, 혁신활동에서는 15~17%)에 불과하였으며, 오히려 비혁신의 지속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약 52~57%). 또한 혁신성과보다는 혁신활동의 지속 현상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제품혁신이 공정혁신보다, 내부 R&D가 공동/외부 R&D보다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세부 유형에 따른 지속 현상의 특징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혁신 지속의 영향요인 식별을 위해 추가적으로 로짓분석을 수행한 결과, 급진적 혹은 점진적 제품혁신이 다음 시기에서 혁신이 지속되게 하는 가장 영향력 높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패널자료는 원시자료의 한계로 인해 표본 선택 편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지나친 일반화는 경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지속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공식적인 패널자료의 구축 및 개선된 방법론 등을 통해, 혁신 지속 관련 발전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key factor for firms' competitive advantage, 'innovation persistence' became also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Innovation Persistence' is a concept that indicates whether or not firms' innovation activity or performance continues. However, the data used for innovation studies are carried out as cross-sectional surveys in most countries. For this reason, studies dealing with longitudinal aspect of innovation persistence are rare. In particular,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innovation persistence using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persistence based on extant literature, and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atus and features of Korean firms'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conducted every other year from 2012 to 2018, panel data on 3,379 firms which observed multiple times are constructed. As a result, only part of the firms with persistent innovation were observed (for innovation performance 10~12%, for innovation activity 15~17%),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sistence of non-innovation was remarkable(about 52~57%).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istence of innovation activities is stronger than that of innovation performance. Besides, some features by sub-types of innovation appeared. Product innovation showed higher persistence than process innovation, and internal R&D also showed higher persistence than joint/external R&D. As a result of additional logit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it was found that radical or gradual product innovati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persisting innovation in the next period. Since the sample selection bias due to a limitations of raw data might exist in the panel data constructed in this study, it should be noted that faulty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are not allowed. Nevertheles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targeting Korean firms and is expected to be a starting point for follow-up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advanced research results will be draw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panel data and improved methodologies.

      • 야고보의 유골함에 관한 연구

        송창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0 No.9

        This study is about the James ossuary. In 2002, Lemaire declared that the so-called James ossuary, which bears the Aramaic inscription, "James, son of Joseph, the brother of Jesus" is authentic. If the inscription of this ossuary is indeed authentic as announced by Lemaire, we would have a truly meaningful memento marking several important aspects of the life of James. Based on paleographic and linguistic studies, we have been able to prove that the ossuary and its inscription are authentic. The inscription is a certain reflection of Aramaic used in AD 1c. There is no evidence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whole or part of the inscription on the lid of the James ossuary is a fake work by a contemporary forger. The claim that this ossuary carried the remains of James the Just, however, does not coincide with the archaeological and literary evidences. In other words, we were unable to locate any evidence that might prove the linking of the names of James and Jesus inscribed on the ossuary to James, the "brother of Jesus," and Jesus, the "Jesus of Nazareth". According to various literatures, James the Just was stoned to death for his violation of Jewish laws, and was buried in a simple trench grave, which is not appropriate to house the ossuary Lemaire mentioned.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inscription itself is not a contemporary forgery, the so-called James ossuary does not hold the remains(=bones) of James, the brother of Jesus, even though the inscription itself is not a contemporary forgery. 본 연구는 야고보의 유골함에 대한 것이다. 2002년에 르메르는 “야고보, 요셉의 아들, 예수의 형제라는 아람어 명각이 새겨진 이른바 야고보의 유골함이 진품이라고 발표하였다. 만일 이 유골함의 명각이 르메르의 말처럼 진품이고, 그것이 예수의 형제 야고보를 가리킨다면, 우리는 야고보 생애의 몇몇 중요한 측면을 확인하는 참으로 의미있는 유품을 가지게 된다. 고문서학과 언어학 연구에 기초하여, 우리는 유골함과 그것의 명각이 진품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명각은 틀림없는 기원후 1세기 아람어를 반영하고 있다. 야고보 유골함 뚜껑에 새겨진 명각의 전체 혹은 일부분이 현대 위조자에 의한 모조품이라는 것을 받아들일 그 어떤 근거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유골함이 의인 야고보의 유골을 담고 있었다는 주장은 고고학적이고 문헌적인 증거들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유골함에 새겨진 야고보를 “주님의 형제”인 야고보로, 예수를 “나자렛 예수”로 동일시하는 가설의 개연성을 입증할 만한 증거를 우리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여러 문헌에서 의인 야고보는 유대 율법을 어긴 죄로 돌로 쳐죽이는 죽임을 당했고, 땅을 파서 만든 무덤에 매장되었는데 이런 형태의 무덤안에 르메르가 언급한 유골함이 있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설령 명각이 현대적 모조품이 아닐지라도, 이른바 야고보의 유골함은 예수의 형제 야고보의 유골을 담고 있지는 않았다.

      • KCI등재후보

        예수와 요세푸스

        송창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0 No.13

        Flavius Josephus was a jewish historian of the first century AD. In his works, he mentioned Jesus, John the Baptist, James who were the important persons of the Early Christianity and New Testament. He wrote about Jesus in Jewish Antiquities 20. 200-201 on James' execution and especially in Jewish Antiquities 18. 63-64, known as the Testimonium Flavianum. That means the witness of Josephus on Jesus. Since the sixteenth century, the authenticity of this testimony has been suspected by the scholars. It concerned whether this testimony was a genuine work of Josephus or an interpolation of the later Christian writer. Some writers wanted to reconstruct the original text of Josephus. In this study, we examined critically various views of the scholars and tried to discern the authenticity of the testimony through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n the text and the context. Above all, we analyzed the received text and the other various manuscripts. Then we found the claims that the testimony is totally a work of Josphus and that it is totally an interpolation of the later Christian hand have no reason. We found also the hypothesis that at first Josephus wrote antipathically about Jesus and that some positive or neutral alterations was made by a Christian interpolator not has been accepted. We criticized the essay to doscover the original text in the aramaic text of Agapius or the slavonic version of Jewish War. In consequence, we pointed the fact that the testimony was essentially the work of Josephus and tried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text. So, we concluded that two interpolations was made by a later Christian hand. These two passages are “if indeed one ought to call him a man” and “On the third day he appeared to them restored to life, for the prophets of God had prophesied these and countless other marvellous things about him”. The testimony of Josephus about Jesus and the Christians is consistent with the other ancient authors, Suetonius and Tacitus. Thus, Testimonium Flavianum has the significance and value as non Christian source for the research on historical Jesus.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기원후 1세기의 유다인 역사가이다. 그는 여러 저서에서 초대 그리스도교와 신약 성서의 중요한 인물인 예수, 세례자 요한, 그리고 야고보를 언급한다. 그는 유대 고대사 20권 200-201에서 야고보의 처형에 관하여 서술하면서 예수에 대하여 언급하고, 특히 18권 63-64에서 예수에 대해 기록하는데, 이것을 “플라비우스의 증언”이라고 부른다. 즉 예수에 대한 요세푸스의 증언이다. 그런데 16세기 이후부터 이 “증언”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었다. 즉 “증언”이 요세푸스의 순수한 작품인지 아니면 후대 그리스도인의 가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었다. 그리고 요세푸스의 원문을 재구성하려는 다양한 시도도 있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요세푸스의 “증언”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주장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본문과 전후 문맥을 방법론적으로 분석하여 “증언”의 진위 여부를 가려내려고 시도하였다. 우선 “증언”의 공인본과 다양한 증거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증언”이 전적으로 요세푸스의 것이라는 주장과 전적으로 후대의 그리스도인이 가필한 것이라는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요세푸스는 예수의 대하여 본래 적대적으로 기록하였는데, 후대의 그리스도인 편집자가 그것을 긍정적으로 혹은 중립적으로 수정하였다는 가설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시에 우리는 아가피우스의 아랍어 본문이나 유다 전쟁사의 슬라브어 본문에서 “증언”의 원문을 찾으려는 시도도 비판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우리는 “증언”이 본질적으로 요세푸스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증언”의 원문을 재구성하려 시도하였다. 그래서 후대의 그리스도인 필사자에 의해 요세푸스의 원문에 두 곳의 첨가가 이루어졌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 두 곳은 “굳이 그를 사람이라고 불러야 한다면 말이다”와 “사흗날 그는 다시 살아서 그들에게 나타났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예언자들이 이 일들과 그에 대해 헤아릴 수 없는 엄청난 일들을 말하였기 때문이다”인 것으로 드러났다. 예수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요세푸스의 “증언”은 다른 고대 저술가들인 수에토니우스와 타치투스의 기록과 일치한다. 따라서 요세푸스의 “증언”은 비 그리스도교적 사료의 하나로서 역사적 예수 연구를 위한 중요성과 가치를 가진다.

      • KCI등재

        Effect of Inclusion of Lacquer (Rhus verniciflua Stokes) Meal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송창현,Prashant Shinde,권일경,강선문,이성기,채병조,김진수,김영우,김광현 한국축산식품학회 201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0 No.4

        In this study, pigs [n=117; (Landrace × Yorkshire) × Duroc; 64±0.5 kg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lacquer (Rhus verniciflua Stokes) meal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quality of meat kept under refrigeration at 3±1oC. The pigs were randomly allotted to 3 treatments on the basis of body weight and sex and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3 times (13 pigs in each replicate). Lacquer meal in sawdust form obtained from the stem bark and heartwood of sun-dried lacquer trees was added to the grower and finisher diets at 0, 20 and 40 g/kg diet.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or 8 wk. Inclusion of lacquer meal had no influence (p>0.05)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Improvement in carcass traits and decreased back fat thickness were noticed in pigs fed diets added with 20 and 40 g/kg lacquer meal. Longissimus muscle obtained from pigs fed lacquer meal had higher moisture and lower fat conten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water holding capacity. Meat from lacquer fed pigs was also darker and redder. The data indicates that lacquer meal can be incorporated up to 40 g/kg in the diet of fattening pigs without affecting growth performance. Also, lacquer meal increases carcass lean content and improves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meat.

      • 쿰란 사본과 정경의 문제

        송창현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7 Canon&Culture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ribution of the Qumran manuscripts to the problem of Canon formation in the Second Temple period. Was there any concept about standard version of the Scriptures in that period? Do the Qumran manuscripts open any new perspective concering the problem of canon formation? All books of the Hebrew Scriptures have been found in Qumran with only the exception of Esther. It is not an accident but rather the result of intentional rejection by the Community that this book has not been found. Through the comparison of Qumran manuscripts against the masoretic text, the samaritan text and the Septuagint, It was found that in the Qumran Community there were no canon and no closed list of authoritative books.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make some suggestions about some criteria for deciding whether a certain work was acknowledged as Scripture by the Qumran Community: quantity of manuscripts preserved, pesharim, translation into Greek or Aramaic, books quoted as authorities. Qumran manuscripts thus contribute to our knowledge about the scriptures in the period of early Judaism. Inside of the Community, 1 Enoch and Jubilees were accepted as having authoritative status as sacred scripture. This fact proves that the canon was in the mak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Qumran manuscripts in studying not only the problem of Old Testament canon but also the history of Bible text formation, are displayed well in such context. 이 연구는 제 2차 성전 시대의 정경 문제에 대한 쿰란 사본의 공헌을 고찰하는 것이다. 당시 유다이즘 안에는 성서 정경의 개념이 존재했는가? 표준이 되는 성서 목록이 존재했는가? 정경의 문제에 대하여 쿰란 사본은 우리에게 어떤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가? 쿰란에서는 에스델서를 제외한 구약성서의 전체 사본들이 발견되었다. 에스델서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우연이라기 보다는 쿰란 공동체의 고의적 배척의 결과일 것이다. 쿰란의 성서 사본을 마소라 본문, 사마리아 오경, 칠십인 역 등의 본문 전승과 비교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쿰란에서는 “원 마소라 본문”, “원 사마리아 본문”, 칠십인 역의 대본 본문 전승, 쿰란 공동체의 고유 전승 그리고 중립적인 전승 등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리고 우리는 쿰란 공동체 안에서는 확정된 구약성서의 정경 목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오히려 우리는 쿰란 공동체 안에서 권위 있는 책들로 인정되었던 문헌들을 찾기 위한 기준들을 살펴보았다. 그 기준들은 사본의 양과 대중성, 특정한 책들에 대한 주해서, 번역의 기준, 공동체의 사본들 안에서의 인용 등이다. 이러한 기준들에 의해 우리는 쿰란 공동체에서 권위 있는 책으로서 정경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책들을 살펴 보았다. 이 문헌들 중에서 향후 구약성서의 정경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에녹 1서와 희년서이다. 이러한 사실은 쿰란 공동체에서의 권위와 정경의 문제는 완결된 문제가 아니라 과정 중의 문제였다는 것을 입증한다. 여기서 구약성서의 정경 문제 뿐 아니라 성서 본문의 형성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쿰란 사본이 가지는 중요성과 가치가 잘 드러나고 있다.

      • KCI등재

        수도권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지역 간 유출입 네트워크 및 영향 요인

        송창현,김주영,임업 한국지역학회 2022 지역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분석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성장산업의 창업 사업체 및 종사자 이전 패턴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전국사업체조사」원자료를 이용했으며, 신성장산업 사업체 및 종사자 수 유입 및 유출 자료를 바탕으로 시군구 수준 공간 자료를 구축했다. 분석을 위해 지역별 유출 유입에 대한 연결정도 중심성을 산출했으며, 음이항 회귀모형을 응용해 신성장산업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성장산업 제조업 부문은 경기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성장산업 서비스업 부문은 강남 및 구로-금천구 일대를 중심으로 활발한 입지 이전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지역 수준 요인들이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신성장산업에 대한 공간 이전 패턴을 파악하고, 영향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실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신성장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의 경쟁력 향상을 달성하고자 하는 지역산업정책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