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IMF 관리체제하에서의 농촌주민 삶의 질

        송정기(Song Jeong-Key),박재규(Park Chae-Kyu)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F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IMF관리체제에 놓이면서 농촌주민들의 삶의 질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자료에 의하면, 6가지 삶의 질 영역 가운데 ‘지역사회 참여’ 부문만이 이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가족생활 영역은 외환위기 이전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4가지 삶의 질 영역은 정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사회적 형평성 인식 영역은 가장 악화되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생활, 여가생활, 그리고 직업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촌주민 가운데 일반농가와 기업적 경영농가의 삶의 질 변화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직업만족과 여가생활 영역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생활, 경제생활, 지역사회활동 참여, 그리고 사회적 형평성 인식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가장 대조적인 차이는 가족생활 영역을 제외한 사회적 형평성 인식, 지역사회활동 참여, 그리고 경제생활 영역에서 발견되는데, 기업적 경영농가의 삶의 질 하락이 일반농가보다 더욱 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1998년 초반부터 시작된 IMF의 한국경제 개입이 농촌지역 주민들 가운데서도 기업적 경영농가에게 보다 부정적 영향을 미쳐 삶의 질 수준을 크게 악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IMF의 한국경제 개입 이후 농촌주민의 삶의 질 하락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한 결과, 농촌주민의 삶의 질 하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응답자의 농업유형, 소득변화, 현재의 계층지위, 그리고 현재 보증 총액 등이었다. 다시 말해서, 기업적 경영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외환위기 이후 소득이 감소한 사람일수록, 계층지위가 하락한 사람일수록, 그리고 보증 총액이 많은 사람일수록, 삶의 질 하락이 더욱 심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응답자의 교육수준과 연령, 그리고 현재의 소득, 부채 규모 등은 삶의 질 하락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residents has declined after economic crisis in 1997. According to our data analysis, rural resi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rather than before the economic crisis, and their satisfaction of family life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year. However, all their recognition of social inequality, their economic life, leisure life,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have been seriously deteriorated since Korea’s economic crisi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of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with that of old subsistence farmers. We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their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have experienced the more serious decline in their economic lif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social inequality than the old subsistence farmers. That is, Korea’s economic crisis has had more serious effect on the new business-oriented farmers and deteriorated their quality of life more seriously than that of the old subsistence farmers. Finally, we examined to what factors have contributed to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According to our regression data, the agricultural type of rural residents, their current class, income change, and their guaranteed money are all significant to the decline of the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However, the rural residents’ education, age, current income, and debt amount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line of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농촌지역주민의 사회계층과 일상생활 변화

        송정기(Jeong Key Song),박재규(Chae Kyu Park) 한국농촌사회학회 2001 農村社會 Vol.11 No.2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한국농촌지역의 계층구조와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검토하였고, 특히 농촌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 변화에 사회적 자본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표가 특정 지역에서 수집되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발견한 사실은 오늘날 한국농촌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현상을 어느 정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그 나름대로 타당성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농촌지역의 사회계층구조는 과거 중산층이 다수를 차지한 안정된 상태로부터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이 감소한 반면 하층이 크게 증가하여 `불안정한 구조`를 갖게 되었고, 계층이동에 따른 일상생활도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해서, 외환위기 이후 상승이동을 했거나 혹은 하층에 계속해서 머물러 있는 주민들은 그 생활이 크게 악화되었다. 그리고 농촌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 변화에 관한 회귀분석에 의하면, 농촌지역주민의 개인적 특성 변수들은 일상생활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데 반해, 사회계층이동 변수와 함께 사회적 자본을 의미하는 사회관계 변수들은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 변화에 사회적 자본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hange of social class and daily lives of rural residents after Korean economic cri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their daily lives and social capital. Although this study depends on a limited data collected from a local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ppropriately show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Korean rural society. In this context, the validity of this study can be secured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social class structure of rural society has changed into an unstable structure with many lower class from a stable one with many middle class since 1997. The change of social class position of rural resident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their daily lives. For example, rural residents who experienced upward movement or remained at the middle class after Korean economic crisis maintained the similar or same daily lives as their past ones, while rural residents who moved down or remained at the lower class have experienced the deterioration of their daily lives. According to regression on the change of rural residents` daily lives, the change of social class position and social capital have signigicant effects on the change of the rural residents` daily lives, while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do not. Given tho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social capital of rural residents is an important factor to the change of their daily lives.

      • KCI등재

        귀농귀촌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성효(Sung Hy Hong),송정기(Jeong Key Song),김종수(Jong Su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2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귀농귀촌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여러 지자체에서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많은 귀농귀촌인이 새로운 지역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해당 귀농귀촌인 개인적 측면과 더불어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도 비용을 발생시킴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진안군 귀농귀촌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귀농귀촌의 특성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힌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귀농귀촌인이 남성이거나 연령이 많을수록 혹은 귀농귀촌시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진안군에 계속 거주할 확률이 높으며, 가구주 단독으로 귀농귀촌하는 경우에 비해 부부가 함께 이주하는 경우에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더불어, 귀촌에 비해 귀농의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귀농귀촌의 유형, 즉 I턴과 U턴 간에는 지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지역 내 귀농귀촌이 증가하여 귀농귀촌관련 지원 및 한정된 자원의 배분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는 경우에 지속성은 현저히 낮아진다. Recently a lot of people migrate to rural areas.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with the help of local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s policies. However, in some cases migrants fail in settling down and move to another area which causes not only private but also social costs. This paper using micro-level data on migrants in Jinan empiricall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returning to farm and rural and its du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ssibility for migrants to remain in Jinan rises when they are male, older, or with more family members. Relative to the case of the household move alone into Jinan, couples are likely to stay there longer. In addition, while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in duration between I-turn and U-turn, migrants for farming relative to non-farming tend to maintain the status longer. Also, a rise in competition for a related subsidy and restricted resources distribution as more people migrate to Jinan remarkably lowers their tendency to stay in Jinan.

      • 지구환경변화에 대한 인간행위의 잠재력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Toward a Sustainable Development

        宋正基 全北大學校 1995 論文集 Vol.40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licit properties and social limi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further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human's reflexive behavior as an alternative environmental discourse which affects environmental policies for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 assertion through this paper is to practically criticize the core values and social practices of developed western countries which ideologically have domained the view of natural resources and development and to theoretically re-organize social theory usually ignoring ecological dimension, which originated mainstream sociological tradition.

      • 물분쟁의 해소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측면과 사회적 장애 : 용담샘의 사례 Case Study of Yongdam Dam

        윤근섭,宋正基 全北大學校 1996 論文集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conflict circumstances between the two regions (Chonbuk and Chungcheong) of Keum-Kang river basin and furthermore to suggest the ways of solving water-dispute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n this study, I found the two regions' conflict is due to the probelm how to keep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n Keum-Kang river basin. I also suggest to develop a new coordinate procedure for solving this problem. Nevertheless, the best possible choice for this problem is to develop a way of integrating it with the consideration of social barriers accompanied by water-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 KCI등재

        韓國漁村의 社會移動에 관한 硏究 : 厚浦里의 事例調査를 中心으로 A Case Study of Hoopo-Ri

        尹瑾燮,宋正基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4 지역과 세계 Vol.11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first of all (1) to analyze the class structure and social mobility of a fishing village in Korea, and (2) to point out some of the defects of the traditional approach that utilizes the variable 'occupation' in the analysis of a given fishing village. In the process of the intended study,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 'occupation' is no doubt a useful concept in the measurement of the social status in urban societies. However, in the analysis of fishing villages, the variables such as 'means of production' (land or vessel) and 'employment' were confirmed more adequate than the 'occupation.' The social mobility in the village was analyzed in terms of (1) intragenerational occupation mobility and (2) intergenerational occupation mobility, with the findings such that in the analyzed society the occupation mobility was extremely low, the attitude toward occupation and social status was very conservative, and the level of aspiration toward occupation mobility was equally very low. By contrast, the class mobility in the given occupation was not only highly frequent but the rate of the upward mobility was very high. The reasons for the class mobility seem to be based upon the income increasement, and the upward status by the financial assistance from related organizations. Additionally, in the analysis of the class structure and social mobility of a homogeneous society like a fishing village, the case study and observation were evidenced more appropriate research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