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바리(Epinephelus fasciatus) FSHβ와 LHβsubunit의 분리 및 동정

        박용주 ( Yong Ju Park ),강형철 ( Hyeong Cheol Kang ),이치훈 ( Chi Hoon Lee ),송영보 ( Young Bo Song ),백혜자 ( Hea Ja Baek ),김형배 ( Hyung Bae Kim ),( Kiyoshi Soyano ),이영돈 ( Young Don Lee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5 No.1

        We cloned and sequenced the cDNA encoding the FSHβ and LHβ subunits from the pituitary of the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which regulate vitellogenesis and maturation in vertebrates, to achieve stable and healthy gametes. The full-length cDNAs of FSHβ and LHβ were 571 bp and 617 bp, encoding 120 amino acid (aa) and 147 aa proteins, respectively.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FSHβ and LHβ were highly homologous (68-97%) to those of other Perciformes; E. bruneus, Dicentrarchus labrax, Thunnus thynnus, and Pseudolabrus sieboldi.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deduced FSHβ and LHβ amino acid sequences were categorized as a distinct subunit in the GTHβ family,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teleostei FSHβ and LHβ, respectively. FSHβ and LHβ mRNA exhibited high abundance in the pituitary gland and low in other brain areas, but were not present in peripheral tissues, as determined by RT-PCR.

      • KCI등재

        Pair Fed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항증체, 지질개선 및 항산화 효과

        강정애(Kang Jung Ae),채인숙(Chae In Sook),송영보(Song Yong Bo),강정숙(Kang Jung Sook)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7

        본 연구에서 pair feeding함으로서 사료 섭취량이 체중이나 지단백 대사에 미칠 요인을 제거한 상태에서 녹차분말이나 녹차추출물이 갖는 항 비만효과나 지질 강하효과를 비교조사하였다. 녹차분말이나 추출물에서 증체 억제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녹차성분이 소장에서의 지방흡수를 억제하거나 지방산화를 촉진하고 대사율을 올려 열량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이해를 같이 하는데, 예비실험에서 사료섭취량 자체가 억제됨을 감안 할 때 녹차 추출물이나 분말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본 연구에서 녹차 추출물의 높은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력에도 불구하고 녹차의 콜레스테롤 강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체 콜레스테롤 pool size에 강한 homeostasis 기질이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식이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흡수억제에 있어서 녹차분말과 녹차 추출물의 장내 유용성과 체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담즙 생성에 있어서 EGCG를 포함한 차 카테킨 작용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녹차 분말과 추출물은 항산화 지표에도 정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녹차 카테킨은 수용성으로 bioavailability가 비교적 높은 polyphenol계 항산화 물질로서 녹차 잎의 건조중량 50% 이상이 카테킨이고 이중 80% 이상이 catechin gallate 형태로 강한 항산화 효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있다. 노화를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의 손상과정이라 볼 때 식품으로서 녹차는 매우 중요한 입지에 있다. 차로 마시는 녹차의 섭취방법에서 분말이나 추출물로 섭취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는데 분말과 추출물의 영양적 효과를 비교해 볼 때 유리 (free)된 카테킨 형태로 추출물이 유리할 수 있지만 녹차분말이 식품으로서의 높은 선호도와 함께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면 분말차의 섭취도 좋은 방법이다. 음료로서 따져 볼 때 일회 분량 2 g의 녹차를 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이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은 EGCG기준으로 109~147 ㎎정도이고 이를 비타민 C로 환산하는 경우 142~168 ㎎이다.31) 천연의 항산화 물질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방법으로서 차의 음용을 생활화하는 것은 비만이나 퇴행성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차원에서 바람직하리라 본다. We compared antiobese, hypocholesterolemic, antiplatelet and antioxidant effect of 10% green tea powder and 3% green tea extract in rats pair fed 5% cholesterol diets. The final body weigh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Plasma and liver total cholesterol were lower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or extract,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HDL cholestero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or green tea extract (p << 0.05). Plasma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green tea powder, and green tea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respectively (p < 0.05). Liver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or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1). Platelet aggregations in the maximum and initial slope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Hemolys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Plasma TBARS production was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Na passive leak in intact cells was not different, but Na leak in AAPH treated c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powder than the control (p < 0.05). The leak increase (△Na Leak) after AAPH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s of green tea powder and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Isotope excretion after ¹⁴C-cholesterol inges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of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or the green tea powder (p < 0.05). Consumption of green tea in powder or extract may give beneficial effects in weight control and plasma lipid profiles, impeding metabolic syndrome. More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what component of green tea and what mechanism are involved in antiobese and hypolipedemic actions of green t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