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과정 변인 분석

        송영명(Song, Young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에 학습참여활동(수업에서 다른 학생과의 협력 및 상호작용, 수업 중 사고력 증진활동, 수업태도, 학습 스터디 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대학의 학습지원 만족도 등 학 습과정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 원에서 제공한 교수-학습역량 진단도구(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를 통해 수집된 D대학의 3차년도(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를 종속변인하고,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2개의 중다회귀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업에서 다른 학생과의 협력 및 상호작용을 제외한, 수업 중 사고력 증진활동, 수업태도, 학습 스터디 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대학의 학습지원 만족도가 인지적․비인지적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다른 독립변인에 비하여 인지적․비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Learning Outcomes and Non-cognitive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factors inserted analysis were Student-Student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teraction, Thinking skill activities in-class, Active Participation, Group Study, Student-Faculty Interaction,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Student Support. To achieve the above goals, this study analyzed the D university dat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llected and provided by KEDI NASEL(a survey of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in 2015.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inking skill activities in-class, Active participation, Group study, Student-faculty interaction,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student support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gnitive learning outcomes and non-cognitiv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discuss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 KCI등재

        수업개선보고서(CQI) 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송영명(Song, Youngmy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학부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교수의 수업 역량을 제고하고 학생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인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목적은 A대학교의 CQI 구조 및 원리를 소개하고, CQI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A대학교 CQI 사례와 관련 지침 및 규정을 탐색함으로써 CQI를 도입·운영하고자 하는 대학들에게 그 적용 방안에 대한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A대학교의 CQI 구조 및 시스템을 파악, 둘째, 2017학년도 2학기에 교수자가 작성한 강의계획서의 CQI(전년도 강의에 대한 평가 및 분석과 금년도 강의에 반영)의 작성 현황을 분석, 마지막으로 CQI 시스템에 관련하여 A대학교에서 최근 5년에 베스트티칭프로페서상을 수상한 교원 72명을 대상으로 CQI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0명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A대학교의 수업계획서 작성시 포함되어 있는 이전강의에 대한 자기평가와 이번학기 강의개선사항을 포함한 수업개선보고서(CQI)를 학생의 핵심역량 기반의 평가항목을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도출하였으며, 둘째, 2017학년도 2학기 CQI 작성현황을 분석한 결과, CQI 작성비율이 20.1%로 나타났으며, 셋째, 인식 및 요구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변경과 제도적 개선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CQI 시스템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Purpose: Recently, the need for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has emerged a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undergraduate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education has increased.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oblem of teaching and learning by identifying the CQI system of ’A university’ and ultimately to effectively achieve learning outcomes of learners. Resul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to accomplish the purposed described above were as follows. First, grasping the CQI structure and system of ’A university’, and seco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QI of the syllabus prepared by the instructor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and finally, CQI recognition and deman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72 Best Teaching Professor Award in the last 5 yea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ing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ystematic system such as including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items of students in the lecture improvement plan(CQI).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CQI preparation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ratio of CQI preparation was 20.1%, and finally, suggested improvements for the system chang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cognition and demand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uggest implications to improve the CQI system, and provide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support in related departments within the university.

      • KCI등재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송영명(Youngmyung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구조요인과 과정요인이 성과요인(온라인 수업만족도,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 대학생 3,2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의 구조요인과 과정요인이 성과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구조요인(효과적인 수업전략, 온라인 시스템 구조화)과 과정요인(자기주도학습, 유의미학습, 학업동기)이 성과요인(온라인 수업만족도, 학습성과: 지식 및 기술 습득, 미디어 역량,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하여 각 모형의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구조요인 및 과정요인은 온라인 수업만족도 총변화량의 55%를 설명하였다. 구조요인 및 과정요인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각각 전공⋅직업 관련 지식 및 기술 습득 총변화량의 40%, 미디어 역량 총변화량의 19%,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총변화량의 33%, 문제해결력 총변화량의 35%를 설명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여 향후 대학의 온라인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ollege students' online class structure factors and process factors on on outcome factors(online class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s). Methods For the above purpose, the data of D university collected through 2021 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K-NSSE) was used. Structure factors and process factors w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effects on outcome factors(online class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Results Structural and process factors explained 55% of the total change in online class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structural factors and process factors on learning outcomes, 40% of the total change in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major and job, 19% of the total change in media competency, 33% of the total change in critical and analytic thinking skills, and total change in problem-solving competenc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And this study was to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in universities in the future by exploring factors that a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 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전공 및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영명(Youngmyung Song),유신복(Yu Shin-bok),김명주(Kim. Myeo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 활동이 전공 수업만족도와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차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한 교수-학습역량 진단도구(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를 통해 2016년 5월 26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수집된 D대학의 4차년도(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전공 수업만족도와 교양 수업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2개의 중다회귀모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분석결과 대학생의 전공 수업 만족도와 교양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별적임을 확인하였다. 즉 대학생의 전공 수업만족도에는 대학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양 수업만족도에는 대학몰입과 교수-학생 상호작용만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s, and posi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of major classes and liberal arts classes differentially. For the above purpose, 3rd year data of D university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NASEL)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classes and liberal arts classes are discriminatory. In other words, institutional commi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posi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al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major classes, but only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학업동기 프로파일

        신이나(Shin Yina),송영명(Song Young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학업동기의 프로파일을 분류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차원적 특성을 지닌 학업동기 프로파일을 분류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개인중심적 접근의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이 활용되었다. 2016년 12월 ~ 2017년 2월에 걸쳐, 대구·경북지역의 일반계 고등학생 총 474명을 대상으로 학업동기와 기본심리욕구, 학업(수업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및 심리적 결과변인(우울불안, 주관적 안녕감, 자존감)을 조사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 프로파일은 자율동기가 평균이상의 수준을 나타낸 ‘자율동기형(11.6%)’’, 모든 학업동기가 평균수준을 나타내는 ‘복합형(52.5%)’, 무동기만 평균이상을 나타내는 ‘무동기형(15.6%)’, 무동기와 통제동기가 평균이상의 수준을 나타낸 통제동기형(20.3%) 으로 구분되었다. 기본심리욕구, 학업적 및 심리적 결과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율동기 프로파일에 속한 학생의 경우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었으며, 학업 및 심리적 결과변인에 가장 적응적이었다. 또한 무동기형과 통제동기 프로파일에 속한 학생들은 학업적 및 심리적 결과변인에 부적응적으로 나타나 동기의 위기상태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하여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 s academic motivation using latent profile modeling of high school students. Measures of academic motiv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were collected from 474 (208 females, 266 males) in 9th and 10th graders. By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es, four classes of students were identified: high autonomous motivation(11.6%), combination motivation(52.5%), high amotivation classes(15.6%) and high controlled motivation(20.3%). To explore the features of classes, their relationships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were compared. Findings support SDT that high autonomous motivation class was adaptive to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The crisis academic motivation classes showed high amotivation classes and high controlled motivation clasess.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academic motivation classes are discussed, as well as the tailored education applications of findings with regard to academic motivation prof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