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도예공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송미림(Mi Rim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도예공방이 지역사회 문화적 기능적 공간으로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도예 문화가 도예공방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고 재정비되어 도예문화의 발전적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오늘의 도예공방의 현재를 정리하여 향후 도예공방을 운영하고자 하는 후학들에게 지침과 정보가 될 수 있는 토대 마련하는 것을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한국 도예공방의 기능과 교육 프로그램 도예교육의 기대 효과를 고찰하고 현재도예공방을 운영하고 있는 도예가 100인을 대상으로 현재 도예공방은 어떤 내용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관련한 설문조사를 연구방법으로 실시한 결과 도예공방의 장점은 소수 매니아 층을 위한 상품제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 되어야할 점은 개인의 감성코드를 읽어내는 일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 또한 자연으로부터 작업의 주제를 끌어내어 작업자 피교육자만의 경험이 체험교육 점토교육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감성 표현은 도예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하며 그 교육의 기대효과는 정신과 육체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으로 나타날 것이다. 현재 대다수 공방의 도예교육 프로그램과 상품은 소지나 유약 성형기법 소성 마케팅 패키지부분에서 아직은 획일적이었다. 공방만의 브랜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과 국가의 관련부서의 협조 시스템과 공방간의 정보교류 부족 등 도예가가 원하는 만족할만한 여건이 아님에도 대다수의 도예가는 판매가격에 만족한다는 긍정적 정서를 가지고 있었으며 향후 원하는 작업에 대해서도 긍정적 희망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공방의 방향성은 공방의 브랜드상품 제작과 교육 프로그램에 있다 개인의 감성크기에 맞는 교육 내용의 차별화를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도예공방을 운영하는 도예가의 소신과 철학이 공방운영의 활성화에 가장 중요한 쟁점이라 할 수 있다. It is time to devise a plan to revive the pottery workshops as the cultural and functional heart of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develop and promote the culture of pottery by way of these workshops,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shops was studied, which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guidance and information to those who wish to operate the workshop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 of the pottery workshops and the expected benefits of the pottery education in Korea, while supporting the study with the survey on one hundred potters with their own workshops to ask them how they run their workshops. One of the greatest benefits of the pottery workshops is that they can produce the products for the clientele with limited numbers of people. Considering the fact, one of the priorities should be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sentimental and emotional code of the individuals. The themes of the education programs should also be extracted from the nature to unlock the creativity and experience of those involved. The positive impacts of the education programs will manifest themselves in the continued interac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body. While the environment does not allow the potters to create the brand of their own workshops and there is the lack of collaborative system as well as of the exchange of information, most the potter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ales price and showed positive hopes for the works they wished to undertake in the future. Most of the education programs and products provided by the workshops were rather uniform in many aspects (e.g., glazing, forming, marketing, packaging). The direction of the workshops depends on the production of brand products and education programs. The philosophy, belief and willingness of the owners of the workshops are one of the most crucial elements in reviving the workshops.

      • KCI등재

        아동의 창의성 개발에 관한 연구

        송미림(Song, Mi R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점토교육의 프로그램의 기능이 창의성 개발과 관련 감성개발과 상상력 발달 즉 창의성의 크기와 깊이를 키울 수 있는 새로운 점토작업 프로그램으로서의 논리적 기반을 제시하고자 함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며 점토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물리적 상관관계의 결론 도출을 위하여 아동교육의 정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점토 프로그램의 기능을 다양한 학문적 시점으로 고찰 분석함을 연구 방법으로 진행 한다 아동기는 6세 부터 12세 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이 시기에는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생활과 교류를 통해 사회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시기는 아동기의 성향과 상호작용의 패턴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사회적이고 정서적으로 접근하여 감각적이고 직접적인 체험 활동들을 통해 아동의 창의 사고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시켜야 하는 시기이다 창의성을 바탕으로한 아동교육 프로그램의 가치에 대한 서양의 교육사상에는 고대 플라톤의 놀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신 수양에 중요하다라는 기록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동의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놀이는 인간의 본성이며 아동에게 자연스러운 놀이를 통해 아동의 본성에 따라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는 기록을 찾을수 있다 개인의 자아를 표현하는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의 효과는 즉 창의성 교육의 효과는 개인적인 정적인 프로그램보다는 여러 사람과 함께 할 수 있으며 아동이 느낄수 있는 오감등의 신체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지닌 프로그램이 그 효과가 크다고 정의 할 수 있다 창의성 개발을 위한 점토교육 프로그램의 기능은 크게 1. 자아 중심의 활동 2. 재료 용구의 중심의 활동 3. 감상중심의 활동 4. 문제 해결 중심의 활동 5. 생활식기 작업의 중심의 활동6. 가치 이해 중심의 활동으로 분류된다 점토 교육 프로그램은 1.점토를 통한 촉각과 다양한 조형작업을 통해 감각과 감성을 함께 개발시킬 수 있으며 2.창의성의 가장 큰 장점인 발상의 전환을 사고 할 수 있는 상상력과 인지 개발 능력을 키우고 3.재료가 결과물로 바뀌는 집중력을 요구하는 작업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심미성을 확대할 수 있는 사고를 훈련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아동들의 표현에서 중요한 점은 기존의 익숙한 훈련된 틀 속에 있는 표현의 배제이며 아동의 표현은 자발적이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교육 프로그램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시점의 학문적 이론을 고찰한 결과 점토를 중심으로 한 창의성 개발 교육 프로그램은 흙이라는 재료를 결과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반복 훈련이라는 무거운 코드의 학습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질의 바탕인 잠재적으로 쌓여가는 인지력 발달에 가장 큰 에너지 크기를 키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log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a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sensibility, the development of the imagin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working programs for children. Childhood is a period between the ages of six to 12 years old when people begin to be affected by social interactions with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life. This is a time when patterns of childhood tendencies and interactions are formed, so a social and emotional approach is required to develop a programme of childhood window thinking through sensory and direct experience activities. Western educational ideas on the value of creative children’s education programs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ancient Plato’s plays are important for the child’s mental development, and Aristotle stress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play in promoting the child’s mental development. The effects of education on creativity based on the ability to express one’s self, namely the effects of creative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aterials, can be shared with multiple peop rather than individual static programs, and so can be felt by children with five senses. Clay education program is used to develop sense of sense and fulfillment through touch work through clay, and 2. What matters in a child’s expression is the benefits of a highly educational program, which is that it excludes expression from the familiar, trained framework and makes it voluntary. This paper examined the scientific theory at various points in time. The creative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clay is not based on the intensive learning code, but o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ost intensive materials called soil.

      • KCI등재후보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미림 ( Mi Rim Song ),하은혜 ( Eun Hye 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016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척도, ADHD 아동용 척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실행기능의 결함이 많을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계획 및 조직화, 행동 및 정서조절의 결함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획 및 조직화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ADHD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ADHD 증상이 심할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ADHD 증상의 하위요인 중 주의산만과 충동성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의산만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과잉행동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학습실행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의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척도와 ADHD 증상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학습관련 변인인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e subjects comprised 1,0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grade and sixth grades. They were assessed by mean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ventory(CEFDI),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valuation Scale-Children Version,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Seco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the sub-factors associated with it. Concentra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regulation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had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ird, children`s ADHD sympto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sub-factors associated with it. Inattention and impulsivity of ADHD symptoms had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 KCI등재

        도자식기에 나타난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송미림(Song, Mi R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인간의 감성은 개인적 삶의 직접경험과 간접경험을 통해 모두 그라프가 다를 수밖에 없다. 누구나 사용하는 도자식기를 필요에 의해 소비할 때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이던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감성코드는 무엇인가를 데이터베이스화해 향후 상품식기를 제작하고자 하는 공방도자 작가들에게 감성코드를 기반으로 한 상품 식기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함이 연구의 목적이며, 도자식기에 나타난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서 감성 디자인에 대한 문헌적 자료를 고찰 · 정리하고, 도자공예를 전공하고 있는 2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감성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설문 조사한 후 설문분석을 통해, 한국 도자 상품식기에 표현된 감성 디자인을 주제로 소비코드의 데이터를 정리함을 연구범위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기호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감성 디자인에 입각한 논리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공방 도자 식기를 상품화하고자 하는 선택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감성이 삼품의 어떤 부분에 기능적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공론화된 자료의 지표는, 본 논문의 설문1의 결과는 20대 도예를 전공하고 있는 여성의 경우, 설문대상 50명 전원 100%가 필요한 도구를 선택하게 될 때 감성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선택한다고 분석되었다. 그만큼 20대 여성 소비자에게 감성 디자인이란 정의 자체가 긍정적인 인지로 상품을 구매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설문7은 100%가 현대적인 유채색의 이미지를 선호한다고 했으며 설문 9는 식기가 갖추어야 할 기존의 기능에 대해 100%로 분석결과가 나왔다. 플러스기능에 대한 선택은 20대 도자공예를 전공하고 있는 여성들임에도 불구하고 식기의 기본 기능에 대한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로 분석된다. 도자식기 브랜드가 식기를 선택하는 주제인가라는 설문 11의 분석 결과 아니다가 43% 그렇다가 7%로 분석되어졌다. 이 설문 결과의 분석은 매우 중요한 메시지로 도자식기를 제작하는 도예가들에게 인지되어야 할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바꾸어 해석한다면 브랜드나 고가의 식기보다는 개인의 소비자 기호가 만족되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한 선택의 주제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설문결과가 소비자가 도자식기를 상품의 가치로 선택할 때 인간의 어떤 경험과 정서가 선택의 인지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여 좀 더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 의미 있는 상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감성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재정립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oduct tableware design based on emotional code to the studio ceramic artists who want to make the product tableware in the future by databaseing what is the most important emotional code that is conscious when they consume the ceramicware that everyone uses by necessity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 and indirect experience of personal life. After surveying the components of emotional design for 50 women in their 20s who majored in ceramic crafts, the study scope and method of analyzing the data of consumption code on the theme of emotional design expressed in Korean ceramics goods tableware through questionnair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study logically based on emotional design to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with various symbols., In particular, the publicized data is needed to know which part of Sampoom can play a functional role in the aspect of choosing to commercialize the pottery tableware in the workshop. The results of the survey 1 of the survey 1 are analyzed that when 100% of the 50 respondents in the 20s major in ceramic arts choose the tool that needs the tool, the design is selected based on the emotion. The survey 7 showed that 100% preferred the image of modern color, and the survey 9 showed 100% of the existing functions that the tableware should have. The analysis of the survey 9 showed that the choice of the plus function was also made. Even though the women majoring in ceramic crafts in their 20s, the basic function of the tableware was considered important.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s a very important message, which is a point to be recognized by potters who make ceramic utensils. If the change is interpreted, it is an important choice to satisfy the consumer’s preference rather than the brand or expensive utensils. The survey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y which human experience and emo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gnitive process of selection when consumers choose ceramic utensils as the value of products. I hope that a new definition of emotional design that can be produced will be redefined

      • KCI등재

        한국 공예교육의 지표에 관한 연구

        송미림(Song, Mi R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공예과를 졸업한 졸업생들이 공예의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공예 교육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를 고찰 및 분석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따라서 공예교육의 정의, 공예교육의 목표와 기능, 3, 4년제 10개 대학의 공예학과 교과목을 분석하였으며 공예가 100인을 대상으로 설문내용을 종합 수거한 후, 설문지를 작성,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연구 방법을 전개 하였다. 그 결과 3, 4년제 10개 대학의 공예학과 전체 졸업 학점의 전공이론 실기과목에 비례한 디자인 관련 교과목 학점은 50%로 분석 되었으며, 17문항의 설문결과와 공예과 교과목 분석을 통해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결과는 기법과 결과물 중심의 교과목도 중요하지만 좋은 디자인을 해낼 수 있는 창의성 개발교육 프로그램의 시간이 더 확대되어야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21c는 한국의 공예가 한국적 전통이란 이름으로 거듭나고 그 중요한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수가 점점 감소해 가고 있어 인적자원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 이 국가가 주도하는 문화정책 기반에 뿌리를 내려 공예 교육현장이 산업현장으로 연계되고 공예가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대학 교육의 현장에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finition of craft education and the goal of craft education. Function, and 3. Crafts course of 10 4-year colleges were analyzed.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for 100 craftsmen,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10 universities Crafts major of all graduate credits practical course practical courses 50% of the related subject curriculum grades are analyzed and the results deduced fro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of 17 items and the analysis of craft curriculum are as follows: It is concluded that the time for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which is important but good design, should be extended. 21c is the fact that Korean craft is being reborn as a Korean tradition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t is time to protect human resource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state Down a cultural policy based on the craft roots education is linked to industrial semi for the craftsmen.

      • KCI등재

        자영공방 운영을 목표로 한 도예 교과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송미림(Mi Rim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이다. 근대화이후 100년 동안은 산업이라는 중요한 코드가 국가와 개인의 교육의 목표가 되었다. 하지만 급속도의 사회변화를 보이는 최근의 정보화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는 그동안의 교육목표에서 벗어나 향후 100년의 새로운 교육목표의 효율성과 강의전략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공예분야인 도예를 전공자들 역시 진로의 길을 어떤 방향으로 모색해야하는지 고민해야할 필요가 있다. 2011년 현재 대한민국의 도예를 교육하고 있는 학과의 교과과정은 근대화 이후 서구 교육 교과과정을 모방하고 정착시켜 세계화속의 어느 대학과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는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과는 다른 문화의식, 공예의 격을 생활화하고 있는 디자인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깊이 있는 문화의 평등화 평준화를 이루기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한국의 도자공예문화가 앞으로 나가기 위해 현실적 측면에서 현 교과과정의 부재는 무엇인가를 고찰하고 분석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영공방이라는 도예전공 졸업자의 진로탐색을 위한 교육을 모색함을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자영공방 운영시 상품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창의성의 정의, 창의성 개념 및 구성요소를 살펴봄과 동시에 현 2. 3. 4년제 대학 도예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제언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도예작업을 생업으로 하고 있는 도예인 100명을 대상으로 자영공방 운영에 필요한 교육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예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과정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많은 도예가들은 디자인작업자체와 함께 다양한 체험학습으로 얻을 수 있는 <창의성과 작가정신>을 도예가의 중요한 태도로 꼽았다. 작가정신이란 작가의 감성크기 표현이며 Good Design의 작품을 생산해낼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방운영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창의성과 작가정신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존의 강의실 중심에서는 발현될 수 없으므로 이를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이 모색되어야 한다. 강의실 밖의 현장을 체험하고 스스로 표현하고자하는 욕구를 끌어낼 수 있는, 즉 전공 작업 전 충분한 자료조사의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작품을 분석하고 감상하는 갤러리투어, 산과바다, 문화 공연장 방문과 같은 스스로의 감성을 창의적으로 작업화하고 교육내용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적극적 개념의 문화체험 강의가 이루어져야한다. 다양한 체험 공간학습이 실행된다면 현재의 점진적 침체기를 겪고 있는 자영공방은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평생직장으로서의 역할을 다해낼 도예자영공방 운영의 새로운 발전적 출발이 다시 이루어져 우리나라 도자문화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With the coming of the year 2011, it may be safely said tha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Pottery in Korea is the one seeming to want nothing in comparison with any college in the midst of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he imitation & settlement of the curriculum in the West. However, this research put its aim & necessity on inquiring into a new change of pottery education by considering and analyzing what is absent in the present curriculum in realistic aspects in an effort to push Korean ceramic crafts culture forward and also to achieve the equ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profound cultures as against the advanced countries in design which are making the cultural awareness and class of crafts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a way of life.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ducation needed for independent management of atelier targeting 100 ceramic artists living on ceramic artwork b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ime of managing an independent atelier, and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the concept of creativity & its components, and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Pottery at the present 2-year, 3-year, 4-year course college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 product develop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in design is the very creativity in which the spirit of an artist was the most vital theme.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spirit of an author can be obtained from a variety of cultural experiences, and it is an expression of an author`s size of sensibility while a Good Design expressed through the size of sensibility of an author is an instrument expressing the sensibility and practicality to meet the times;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ly considered point in managing an atelier is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product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creativity. If the living pottery education like above, which could draw creativity in college and independent atelier education, should be repeated by the graduates, who already received it while in school, in the same way of managing independent atelier, and the learning of wide range of experience spaces should be preferred, it could be possible for an independent atelier, which is suffering a gradual stagnancy at present, could turn a new leaf. In short, there should be a time & psychological blank.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re should be a qualitative progress in ceramic culture in Korea with the re-formation of new developmental start of the management of an independent atelier which can do its role as a lifelong job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Pottery through the pottery education with an independent aggressive concept breathing with the spirit of an author obtained from the spirit of creativity by re-arranging the time of a new education and aiming for a change.

      • KCI등재

        뉴 실버세대를 위한 도자공예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송미림(Mi Rim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다른 연령대에 비해 단조로운 생활양식을 영위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던 뉴 실버 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이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수준 높은 삶을 추구함에 따라 뉴 실버 세대를 위한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시점 적으로 향후 뉴 실버세대의 증가와 함께 보다 구체적인 뉴 실버세대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 될 것으로 사료됨에 따라, 현재 도자공예교육 프로그램을 교육받고 있는 뉴 실버 세대가 원하는 도자공예교육 프로그램이 가야할 발전적 방향을 위한 고찰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55세에서 65세 연령층중 현재 도자공예교육 프로그램을 교육받고 있는 뉴 실버세대 100명을 대상으로, 도자공예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양적 데이터로 정리하였다. 본논문의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뉴 실버 세대를 정의하고 도자 공예교육 프로그램의 기능과 뉴 실버 세대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젼을 조명하기 위해 뉴 실버 세대 대상의 도자공예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23문항을 통해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논문의 결론은 향후 고령 한국사회에서 뉴 실버세대는 이전 세대의 실버 세대들과는 질적으로 다른 생활양식을 지닐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뉴 실버세대 대상 도자공예 교육 프로그램이 논의되고 발전적 지향점을 찾아야 하는 이유는 ‘도자공예교육 프로그램이 뉴 실버 세대의 삶에서 구체화되기 위한 생산적인 측면의 고려가 필요하다’ 는 점이다. 도자공예 작업의 기능은 뉴실버 세대에게 집중력을 키워주고 성취감을 이루어줄 수 있는 작업이다. 보다 나은 환경과 시스템을 조성하여 뉴 실버세대가 만족할 수 있는 환경조성뿐 아니라 정신건강과 동적인 작업을 통해 지역사회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국가와 지역사회 교육기관이 연구와 논의를 통하여 긍정적 측면으로 정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시점이다. 본눈문의 분석내용이 작은 일조가 되기를 희망한다. New Silver generation was thought to lead a monotonous life style than other age groups with the launch of an aging society is increasing. As they study a variety of lifestyle and level of lifestyle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as the pursuit of ever higher life tim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rogram to be considered for more specific with the next generation of New Silver New Silver generation of growth Accordingly, should the current ceramic crafts training programs of this new generation wants a silver ceramic crafts education programs that trained for the purposes of research and consideration should go for a progressive direc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study was 55 years old at the age of 65 years education programs for the current ceramic crafts New Silver Generation 100 people undergoing training, conducted a survey on ceramic crafts programs were summarized the results as quantitative data.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finition of new silver generation in order to draw conclusions of this paper and ceramic crafts ceramic crafts training programs of three new silver targets in order to illuminate a vision for the education program of functions and social functions of the New Generation Silver 23 analyzed the survey results through questions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e next generation of New silver from older social Korea will possess a qualitatively different lifestyles from those of previous generations silver generation. In this regard, three new silver targets Ceramic crafts training program is to find a constructive orientation is discussed wh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duction side to be embodied in the life of New Silver generation ceramic crafts training ``is the point. The ability of the ceramic craft job is a job that can give place to give a sense of accomplishment brought a new focus to the silver generation. Better environment and system composition and silver as New generations can be satisfied with the environment as well as nationa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ions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ty through a dynamic work culture It is time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settled through a positive side. Contact bonnun hope that this analysis is less sunshine

      • KCI등재

        BSC를 기반으로 한 BIM프로젝트의 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송미림,윤수원,진상윤,Song, Mi-Rim,Yoon, Su-Won,Chin, Sang-Y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4

        건설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로 인해 전략적 대응방안 중 하나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등장하였다. 최근 조달청에서는 2012년부터 500억 이상의 건설 프로젝트에 BIM적용을 의무화하는 BIM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여 국내 건설 산업 전반으로 BIM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BIM기반 프로젝트 사례를 바탕으로 각종 BIM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BIM관련 연구는 BIM도입에 대한 단편적인 문제점 도출 및 BIM에 대한 기술력과 체제 구축 등의 문제점을 중점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본질적인 BIM기반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BIM기반 프로젝트에 대한 실태 파악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현재 실무자들의 시각에서의 프로젝트 내 BIM적용에 대한 중요 부문 및 취약 부문을 파악한 뒤 중점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등 효율성 면에서의 BIM기반 프로젝트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하였다.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BIM)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olutions to deal with the trend that buildings are gett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large-scaled, and multiple-purposed. BI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increasingly adopted since the Korea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nounced that BIM would be obligated in a construction project whose total cost is over 50 billion won from 2012. This fact has boosted BIM related research projects as well. Howeve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the solutions with technological points of view and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how much degree project stakeholders are satisfied with the BIM adoption in their project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degree of stakeholders in a synthesized point of view in BIM-based projects in order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and weak points in the BIM adoption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greatly help to improve the strategies and processes in BIM-based projects as well a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degree of BIM utilization in a proj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