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가림포도 냉해피해 경감을 위한 대류열 활용 발열 전기자재별 성능 비교

        정창원(Changwon Jeong),권의석(Yeuseok Kwon),소은진(Eunjin So),송명규(Myeonkyu Song),이경자(Gyeongja Lee),김대일(Daeil Kim)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연평균 기온은 지구 온난화로 상승하고 있으나, 이상기상으로 이른 봄 연일 따뜻한 날씨가 이루어진 후 갑작스런 한파가 발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냉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하우스 내에서는 가온 장치를 설치하여 대응하고 있으나, 포도 비가림 하우스에서는 저온에 대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포도나무 간이비가림시설에서는 방풍망을 설치하여 찬기온의 바람을 일부 줄이고 급격한 온도변화를 낮춰 극저온의 피해를 줄인다. 비가림하우스에서 재배되는 포도의 재배면적은 증가되고 있어 봄철 늦서리 등의 냉해 피해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 개화기의 냉해는 포도화수에 피해를 주어 정상적으로 과실을 맺지 못하여 경제적 손실을 크게 발생시킨다. 이 후 발생한 신초는 세력이 강하게 생장하게 될 경우 화아분화율이 낮아져 다음해 과실 생산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전기를 활용한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자재별 수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농업용전기열선(220v, 20w/m), 탄소면상발열체(220v, 130w/㎡), 그래핀도포발열판(220v, 300W/m)을 주지 하단에 설치하여 대기온도가 4°C 이하일 때 가온을 하였다. 주지 상하좌우에 1mm드릴을 사용하여 2mm 깊이의 구멍을 만들고 썸머커플을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하였던 2021년 4월 15일과 19일에 수체 온도가 영하 이하까지 떨어졌다. 대조구에서는 02:10부터 06:30까지, 그리고 농업용 열선에서는 03:40부터 06:20까지 주지온도가 0°C로 떨어졌다. 전기사용량이 가장 많은 그래핀도포 알루미늄발열체에서 주지의 내부온도가 높게 형성되었다. 새벽에 측정한 주지의 상단과 하단의 온도차이는 대조구는 0.37°C였고, 열선에서는 0.47°C로 적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였음에도 주지온도에 상승효과를 볼 수 있었고, 그래핀도포알루미늄발열체와 0.87°C의 온도차이가 있었다. 가온자재가 작동할 때, 주지의 하단 온도가 높았던 반면 낮에는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직사광선을 받는 상단의 온도가 높았다. 만개기는 대조구가 1일 늦었으나, 4월부터 냉해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온이 생물계절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엽장, 엽폭 등 엽특성에는 처리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0W/m의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농업용 열선에서도 주지 가온효과를 일부 볼 수 있었으나, 그 효과가 낮았고 전기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그래핀도포발열판 300W/m에서도 가온 효과가 크지 않았다. 탄소면상발열체는 폭이 75cm로 가온 면적이 넓어 전기에너지 소비량 대비 낭비되는 에너지가 많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주지의 가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자재 선발 및 가온을 위해 전기에너지 소모량을 동일한 조건과 제한된 구역 안에서 성능 및 효과 검토를 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