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노인의 공간 연구에 나타난 색채 연구 경향 분석

        손혜연 ( Hye Yun Son ),박연선 ( Yun Sun Park ),이진숙 ( Jin S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공간 관련 연구는 상당한 기간을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양적으로 많이 집적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정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실버산업의 거대화, 복지정책, 디자인, 마케팅 등이 분화되어 연구되었으며 연구가 분야별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고, 연구논문도 매우 많은 학술지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노인의 공간 관련 연구는 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의 색채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노인의 공간 연구에 나타난 색채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노인의 공간 색채에 관한 국내 연구의 대상 및 내용과 방법을 밝히고, 향후 노인을 위한 공간 색채 연구의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국내학술지 논문들을 대상, 내용, 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1995~2014년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둘째, 실내공간의 주거환경에 대한 물리적 환경 분석에 관한 색채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특정지역의 사례분석이 상당수였으며, 기초연구보다 실무중심의 연구가 주류를 이룬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공간에 있어서 대상 및 내용이 편협하여, 다양한 공간의 연구와 취약계층을 배려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색채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다섯째, 공간 현황파악에 연구가 편중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색채 이론 및 원리의 경시로 이어지고 있어 학문의 토대를 다질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공간의 용도와 목적에 부합하는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Studies related to the space for the elderly in Korea have been diversely undertaken through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with substantial quantitative accumulation. However, the systematic analysis and arrangement on the study trend has yet to be undertaken.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silver industry has been enlarged with the classified studies for welfare policies, designs, marketing and so forth as well as the trend of having the studies undertaken in respective field. And furthermore, its research theses are scattering around a number of academic journals. In addition, the space-related studies of the elderly are lacking the color studies with respect to planning and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summarizing the color studies appearing in the spatial studies of the elderly in a way of indicating the subject of studies in Korea along with its contents and method and bringing out the implications in spatial color studi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academic theses in Korea by subjects, contents and methods, first, studies on the elderly have been steadily made during 1995~2014. Second, the color studies on physical environmental analysis on residential environment for internal space have been made the most. Third, a significant number was on case analyses in specific areas and it is attributable to have the main lines of practice-oriented studies rather than base studies. Fourth, subjects and contents for space were narrowly undertaken that the color studies have to be made under the universal design point of view to consider vulnerable classes along with the studies in diverse fields. Fifth, studies oriented to find out the status have been focused narrowed that it led to neglect the color theories and principles that require systematic studies to lay down the foundation of academic studies. And, sixth,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study 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appropriate to the spatial use and purpose.

      • KCI등재

        디지털 트윈 기반 문화재 건축물 3D 모델링 및 UAV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손혜연 ( Son Hye Yun ),박호순 ( Park Ho 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문화재 건축물 3D 모델링 구현을 통해 건축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개념을 살펴보고 3차원 디지털 기술 적용 아카이브의 최근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박물관의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의 사례와 국외의 디지털 문화유산 정책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문화재 건축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첫째, 원형 그대로의 좋은 데이터 확보를 위해 양질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해야 한다. 둘째, 현존하는 문화재를 보존·복원하기 위한 디지털화의 과정은 민관의 협업 과정 등 다양한 상생협력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하며, 지속적인 호환과 저장이 유용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 행정의 적극적인 참여와 스토리텔링의 자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문가와 시민들의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해야 한다. 넷째,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한 디지털화와 초실감 기술 등으로의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재 건축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 UAV를 활용한 디지털 아카이브 PCD 구축을 위한 3D Modeling을 구현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화를 위한 개발 정책과 프로젝트들의 대부분이 건축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전 세계적으로 문화유산을 기록하는데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략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디지털화의 기술로 사진측량과 같은 비접촉 디지털 데이터 취득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이 중 고해상도의 데이터 취득을 위한 방식으로 PCD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3D 모델링 구현이 디지털 트윈의 완성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4) 디지털 기법은 실감 체험형, 미디어 아트에 이르기까지 공유 경험과 보급을 위한 디지털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향후 메타버스 세계에서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digital archive plan of buildings through 3D modeling of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e digital twin. The concept of digital archives was examined, and recent cases of archives applying 3D digital technology were analyzed. In addition, examples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s in domestic museums and digital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directions abroad were examined. This summarizes the conten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building archive. First, it is necessary to acquire high-quality 3D data to secure good data as it is. Second, the process of digitization for preserving and restoring existing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made possible through various win-win cooperation such as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should be produced to ensure continuous compatibility and storage. Third,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citizens to bring out the resources of storytelling should be possible. Fourth, applications to digitization and ultra-realistic technology by apply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re being made.As a strategy for building a digital archive of cultural properties, 3D modeling was implemented for the construction of a digital archive using UAV.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development policies and projects for the digitiz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included buildings. 2) Digitalization is in progress in recording cultural heritage around the world, and it can be seen that strategy development is taking place at the national level. 3) Digitalization technology follows a contactless digital data acquisition method such as photogrammetry, and it was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3D modeling based on PCD data is a strategy to maintain the completeness of the digital twin as a method for acquiring high-resolution data. 4) Digital techniques are currently being explored for shared experiences and dissemination, ranging from immersive experiences to media art, with expectations for their widespread adoption in the emerging metaverse worl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