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산 이기종 의료 정보 통합 시스템 설계

        손예진(Yejin Son),노안젤라송이(Angela Song-Ie Noh),김명주(Myuhng-Joo Kim),박지숙(Ji-sook Park),이웅재(Woong-J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정보통신 및 무선 통신기기의 발달과 더불어 원격지에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서로 다른 기관으로부터의 분산된 의료 정보 들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데이터를 통합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본 연구는 분산된 이질적인 의료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통합 메타데이터 카탈로그를 통한 검색 엔진을 설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각 병원 데이터 형식의 일괄적인 변환 없이도 통합 검색 환경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도 확장성이 용이하다.

      • SCOPUSKCI등재

        대사체분석 기술을 이용한 들깨 종자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

        구수연(Suyeon Gu),손예진(Yejin Son),박지영(Ji Yeong Park),최성길(Sung-Gil Choi),이명희(Myoung Hee Lee),김현진(Hyun-Ji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3

        지방산과 이차대사물질들의 프로파일들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Okdong, Deulsaem, Daesil 품종의 총페놀화합물과 항산화 활성은 낮았으나 Joim, Yeupsil, Danjo 품종은 지방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Yeupsil 품종이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름의 함량만으로는 Okdong과 Deulsaem 품종이 우수한 반면 기름 함량과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rosmarinyl glucoside와 rosmarinic acid을 비롯한 기능성 이차산물의 함량도 높은 것을 고려한다면 Yeupsil 품종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들기름 뿐만 아니라 들깨가루용으로도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지방산 함량과 이차대사물질의 함량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 Dasil, Daeyeop, Saeyeupsil 품종은 식품 가공용 들깨 품종으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Perilla seed oil is considered to be a rich source of omega-3 fatty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which have various health benefits. To improve its oil content and nutritional quality, 29 varieties of perilla have been bred, but their nutritional qualities, including the fatty acid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ed metabolite profiles, including the fatty acids, of these 29 perilla varieties were analyze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rosmarinyl glucoside, and rosmarinic acid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metabolites of perilla. The fatty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Okdong, Deulsaem, Daesil, Joim, Yeupsil, Danjo, and Joongmo5103 varieties (in order). However,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kdong and Deulsaem were relatively low, whereas the fatty acid and total phenol contents of Joim, Yeupsil, and Danjo were relatively high.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comparing the nutritional quality of the 29 perilla var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