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대용량 광 상호연결망의 광신호 구분 기법

        성홍기(Hongki Sung),문윤건(Yoonkeon Moon)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자유공간을 이용한 광 상호연결망은 광신호의 송출 모양을 나타내는 공간변이도(degree of space variance)에 따라 두 가지 종류 즉, 공간변이성(space variant) 혹은 공간불변이성 (space invariant)로 나누어진다. 후자는 전자에 비하여 물리적인 구현, 신호의 집적도, 병렬성 등에서 장점을 나타내지만, 전력 소비가 많다는 점과 광송수신 소자를 더 많이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갖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불변이성 광 상호연결망의 설계시, 광송수신 소자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광신호원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그래프 K - Colorability 문제의 해

        성홍기(Hongki Sung),뮨윤건(Yoonkeon Moon),조영관(Young K.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그래프 K-Colorability는 NP-Complete군에 속하는 문제로써 임의의 그래프의 인접한 노드에 서로 다른 색을 할당할 때 필요로하는 색의 수를 최소화 하는 방법을 찾는 문제이다. 많은 해법들이 연구되었으나 노드의 수가 70개를 넘지않는 그래프의 크기에서만 효과적으로 그 해를 찾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가 120개 이상의 노드를 갖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해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계측 유형별 풍속 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로표지의 안정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성홍기(Hongki Sung),정규수(Kyusoo C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최근 안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도로 교통 분야에서도 안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 교통 분야의 안전성 제고를 위하여 도로 시설물의 객관적인 안정성 평가가 필요하며, 자연재해 대비를 목적으로 도로시설물의 피해 저감이 가능한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측 유형별 풍속 데이터와 이를 적용한 도로표지의 구조 안전성을 비교 분석하여 기상 계측 유형의 시설물 안전성 평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도로표지의 안정성 확보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도출한 안정성 확보 방안 중 풍하중 저감 기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계측 유형별 풍속 데이터 분석 결과, 기상관측차량시스템의 풍속 데이터는 기상청과 도로기상정보시스템의 풍속 데이터에 비하여 약 2.43배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기상관측차량시스템의 풍속 데이터를 적용한 도로표지의 안정성 검토를 통하여 돌풍으로 인한 도로표지의 파괴 및 전도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안정성 확보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 선형단위의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객관적인 안정성 분석과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풍하중 저감기술 적용을 통하여 도로 안전도의 제고가 기대된다. Recently, interest in safety has been increasing in every area, especially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The accurate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road facilities is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and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is required to reduce the number of natural disasters. In this study, the win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 of measurement, and an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road signs using the wind data was conducted. In addition, a stability plan to secure road signs was elaborated and its effect on the wind load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wind data measured by a mobile atmospheric observing system (MAOS) was 2.43 times bigger than that measur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RWIS). In terms of their stability, the road signs were susceptible to failure caused by gusty winds and it was found necessary to ensure their stability.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road facilities using road line weather data and the application of wind load reduction technologies is expected to improve road safety.

      • KCI등재

        유공형 도로표지의 항력계수에 대한 실험적 연구

        성홍기(Hongki Sung),정규수(Kyusoo C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최근 도로시설물에 작용되는 하중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풍하중 저감을 위한 유공판을 사용하는 기술이 일부 적용 중에 있다. 현재 국내 도로시설물 설계기준에서는 유공판의 항력계수에 대한 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미국의 구조물 설계기준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에서는 Letchford(2001)와 Giannoulis(2012)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물과 도로시설물의 유공판 항력계수 내용이 개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공판 항력계수 규정에 대한 준용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관련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풍동실험 결과 값과 미국 설계기준의 항력계수 값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미국 설계기준 항력계수를 적용한 도로표지 지주 및 가로재의 부재 단면적 감소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풍동 실험 결과 값과 미국 설계기준 값이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유공판 항력계수에 대한 준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력계수 설계기준의 준용에 따른 유공형 도로표지 구조물의 단면적 감소효과 분석 결과, 지주는 약 9.45%, 가로재는 6.45%의 단면적이 감소하였다. 지주와 가로재를 합친 유공형 도로표지의 전체 구조물은 약 6.45%의 단면적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road facilities to reduce the load, some of which use technologies employing perforated plates for wind load reduction. Currently, there are no regulations concerning the drag coefficient of perforated plates for domestic road facil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drag coefficient of perforated plates in the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were revised based on the studies of Letchford (2001) and Giannoulis (2012). In this study, a wind tunnel 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regulations involving the perforated plates` drag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wind tunnel test and the drag coefficient used in the regul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reduction effect of the cross area of road sign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rag coefficien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wind tunnel test and the value of the drag coefficient used in the regulation in the US were found to be very simila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formula involving the drag coefficient of the perforated plate to the regulation and that the cross area of the perforated plate used for the post of the road sign is reduced by about 9.45% and that of the horizontal post by about 6.45%.

      • 그래프 착색을 위한 각종 유전자 알고리즘의 성능에 관한 비교 연구

        최영민(Youngmin Choi),성홍기(Hongki Su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Ⅱ

        유전자 알고리즘은 생태계의 적자 생존의 원리를 모방한 확률론적 탐색 알고리즘이다. 현재 많은 분야에서 유전자 알고리즘이 폭 넓게 응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론적으로 완전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제안된 유전자 알고리즘 사이의 우열도 단정지어 말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유전자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논문에서 제시한 문제는 탐색 공간이 상당히 큰 문제로 실세계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그래프 착색 문제로 잡았다. 성능비교 대상 유전자 알고리즘은 모두 여섯가지로 그래프 착색 문제에 맞게 수정하였다. 성능 비교 방법은 다섯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그래프는 모두 네가지 크기를 갖고 각 크기마다 10개씩 임의로 생성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그래프 크기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염색체 길이와 위치가 가변적이면서 반복을 사용하는 패스트 메시 유전자 알고리즘 (FMGA: Fast Messy Genetic Algorithm)이 그래프 착색 문제를 풀기 위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