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이모달트램 도입수준에 따른 운영 및 시설 요구사항 연구

        성명준(Myoung-Joon Sung),엄진기(Jin-Ki Eom),이준(Jun Lee),최명훈(Myoung-Hun Choi) 한국철도학회 2010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7

        바이모달트램은 ‘저탄소 녹생성장’ 이라는 국가 교통정책 패러다임에 따라 향후 대중교통체계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기대된다. 최근 바이모달트램을 도입하기 위해 여러 지자체에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바이모달트램 서비스 수준에 따른 시설 및 운영요건에 대한 도입 매뉴얼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수준은 저급, 중급, 고급의 3가지로 구분을 하였으며 시설수준과 운영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세부요소별 정의를 하였다. 본 연구는 신교통 수단인 바이모달트램을 도입하려는 지자체에 바이모달트램 도입수준에 따른 시설 및 운영요건을 고려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Bimodal Tram is expected to take an important role of transit system in Korea under the national strategy of transportation system such as 'Low Carbon and Green Growth' for the next generation. Recently, many cities are thinking of Bimodal Tram as an alternative transit mode that comes up with the policy of 'Low Carbon and Green Growth'. But, there is no specific manual for introducing Bimodal Tram with various requirement of facility and operation regarding the service level of Bimodal Tram system. This study considered the Bimodal Tram system with three different service level- high, mid, and low- and defined the service elements by facility and operational perspectiv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any cities where transport agencies are trying to introduce the Bimodal Tram with different level of service as a new transit system.

      • 환경편익을 고려한 바이모달트램의 경제성 분석

        성명준(Sung Myoung-joon),엄진기(Eom Jin Ki)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국제적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제(EU-ETS)를 중심으로 감축정책을 실행하고 또한 국가정책의 패러다임이 ‘저탄소 녹생성장’이라는 주제로 전환되면서 바이모달트램과 같은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의 도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기존연구에서는 경제성 분석시 원단위 편익을 사용하여 BRT, 바이모달트램, LRT의 편익을 같게 분석하여 바이모달트램 도입시 환경편익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에 따른 환경편익을 산정하여 절감 효과를 확인하고 경제성 분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친환경 수단인 바이모달트램은 환경편익을 고려할 경우 도입타당성이 더욱 높아 질 것으로 판단된다. Bimodal Tram is not only known as a dual mode system having the merit of both trains and buses, but also known as eco-friendly mode so that it will take great attention in public transit system with respect to the low-carbon and green growth as a national paradigm.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Bimodal Tram by considering low-carbon effect as a benefit which was not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ies. A comparison is made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low-carbon effect which is assumed to be monetary values in the feasibility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if we consider the low-carbon benefit of Bimodal Tram, we have better validity of introducing Bimodal Tram which will replace BRT and existing buses operated in a city.

      • 철도구조개혁 성과분석 : 운영비용을 중심으로

        성명준(Sung Myoung-Joon),서선덕(Suh Sunduck)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5월

        1980년 이후부터 철도산업은 지속적인 경영적자를 기록하였고, 1990년대 이후부터는 수송량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그에 따라 철도 구조개혁을 실시하였다. 철도구조개혁을 실시한 선진국의 경우 철도시설과 운영을 분리한 원칙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와 크게 차이가 없지만 각 국가마다 처한 상황에 따라 그 성과가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2004년 구조개혁 이후 변화된 정책에 따라 기존에 비하여 어느 정도 성과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용함수를 통하여 구조개혁 전후의 비용구조를 알아보고 구조개혁의 성과를 트랜스로그 함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용함수를 통한 분석결과 우리나라 철도에는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며 평균수송거리 증가에 따라서도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조개혁 이전과 이후의 모형을 비교한 결과 구조개혁 이후 평균 비용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개혁 이후 비용구조가 더 나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구조개혁과 거의 동시에 KTX의 투입이 발생하면서 두가지 효과가 시너지 효과를 가져와서 구조개혁의 성과를 더 크게 가져온 것으로 추정이 되며 구조개혁 이후에 효율적인 운영으로 인하여 비용이 절감된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Korea railroad industry has experienced the operating deficit annually since 1980. And the ridership has been reduced since 1990. Therefore, a structural reform of the Korea railroad industry conducted at 2003. Basic principles of their structural reform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Korea and advanced counties. But different outcomes depending on each country situation appears. These cost functions appear the existence of all economic of scale. And when increase the average transport distance annually, the average cost reduce annually. The results of structural reform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average cost was lower than previously. The Structural reform and the operation of the KTX, the two effects at the same time, the synergy effect has occurred. Because of the synergy effect, the performance is estimated to be larger. Due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structural reform that could reduce costs.

      • KTX 개통에 따른 CO2 절감 효과 분석

        성명준(Sung Myoung-joon),엄진기(Eom Jin-ki)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세계 경제는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특히 20세기 들어 화석연료의 사용이 크게 증가 하였다. 탄소배출에 대한 국제적 인식이 높아지고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10여개의 탄소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 부담국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져서 정부차원에서 대처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필요하다. 2004년 KTX가 개통된 후 5년이 지난 현재 하루 10만명을 넘어 섰으며 중요한 장거리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철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라는 데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KTX 운영 확대를 위한 철도망의 신설은 경제성을 내세워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KTX 개통에 따른 사회경제적인 효과와 CO2 절감 효과가 어느 정도 인지를 4단계 교통수요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The world economy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nineteen centuries by consuming fossil fuels such as oil, coal, and natural gas. The low-carbon transport system is a critical issue in these days to many countries in the world. The high-speed rail has been come into a spotlight as a low-carbon mode that can replace automobile and air transport in the intercity travel. KTX carries over one-hundred thousand passengers per day and is a major transport mode for a mid-long distance travel. With the scope of eco-friendly transport system, the high-speed rail needs to be expanded to take high mode shares of intercity travel, however, the economic feasibility study does not allow high-speed rail expansion due to the high cost of its implementation. This study provides the low-carbon effect from the KTX introduction by using 4-step travel demand model and show how the atmosphere would be changed by taking the benefit in the feability studies.

      • 신교통 바이모달트램 시스템 도입수준 결정을 위한 지표 평가

        최명훈(Myoung-Hun Choi),엄진기(Jin Ki Eom),이준(Jun Lee),성명준(Myoung-Joon Sung) 한국철도학회 2010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7

        바이모달트램은 접근성과 정시성의 측면에서 철도와 버스의 이점을 모두 갖춘 신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국가 전략에 부합하는 바이모달트램은, 앞으로 대중교통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중교통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이용자의 행태, 재정상태 등 여러 조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지표들을 정의하고, 도시별 도입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BSI(Bimodal Score for Introduction) 값을 산정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신 대중교통 시스템으로써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을 추진하려는 도시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Bimodal Tram being developed in Korea is a new transit system that provides both benefits of rail and bus system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fixed time schedule. The Bimodal Tram is expected to take an important role of transit system in Korea under the national strategy of transportation system such as 'Low Carbon and Green Growth' for the next generation. This study does define the key indices considered for a decision of introducing the Bimodal Tram system and develop a finalized index, BSI(Bimodal Score for Introduction), showing the level of Bimodal Tram system introduced at a city level. The transport/transit system varies depending on cities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vel patterns, financial capabilities, etc. This study will help any cities where transport agencies are trying to introduce the Bimodal Tram as a new transit system.

      • SCOPUSKCI등재
      • 신교통 바이모달트램 개발에 따른 도입전략 연구

        엄진기(Jin Ki Eom),성명준(Myoung Joon Sung),김현웅(Hyunwoong Kim),이준(Jun Lee)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5월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바이모달트램은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 등의 장점을 합친 신교통수단으로서 국내 도입에 따른 대중교통체계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모달트램의 국내 도입전략에 대하여 도시규모별 교통수요 및 노선의 특성을 고려한 도입전략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지자체별로 다양한 교통 및 대중교통체계가 존재하고 재정적 여건 등 도입여건이 다양함으로 바이모달트램을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철/경전철을 도입하려는 지자체의 재정적 부담을 덜고 경전철에 준하는 수송력과 친환경성을 갖춘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을 검토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he Bimodal Tram being developed in Korea is a new transit system that provides both benefits of rail and bus system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fixed time schedule. The Bimodal Tram will change the role of transit system in Korea. This study developed a strategy of introducing the Bimodal Tram system by considering the travel demand and existing transit system at a city level. The transport/transit system varies depending on cities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nancial capabilities, etc. The strategies introduced here will help any cities where transport agencies are trying to introduce the Bimodal Tram as a new transit system.

      • 철도중심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 및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엄진기(Jin Ki Eom),이준(Jun Lee),성명준(Myoung-Joon Sung) 한국철도학회 2010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7

        2005년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면서 세계는 에너지절감 및 저탄소 수단위주의 대중 교통정책이 펼쳐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 8위의 탄소배출국이며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의무대상국에 포함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교통시설의 투자전략을 고효율 및 저탄소 정책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녹색교통수단인 철도를 중심으로 대중교통체계를 개편하기 위해 다양한 추진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추진전략은 크게 속도, 접근성, 도시개발, 유비쿼터스 측면에서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주요 전략은 1시간철도, Seamless 30, Rail Urbanism, U-Rail 로 정의 하였으며 1시간철도는 1시간대 연결 가능한 고속철도망 구축, Seamless 30은 주요 거점역까지 30분 이내 접근, Rail Urbanism은 철도기반의 도시계획 실현, U-Rail은 Ubiquitous 기반의 철도서비스 제공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각 추진전략별 세부추진과제를 수립하여 교통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AHP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세부추진과 제별 추진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Action Plan을 제시하였다. Since 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2005 takes effect, the transportation policies of most countries move toward encouraging the use of the transit mode with energy efficient and low carbon. Korea is 8th country of producing Co2 emissions and will be one of obligation countries decreasing Co2 after year 2013.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national transport system investment, this study developed the strategies toward rail-oriented transport system by considering operational speed and accessability, rail-oriented development, and introduce of ubiquitous technique in railway. The four major strategies targeted for future year are introduced here such as One-hour rail(connecting major cities within one hour), Seamless 30(accessing major railway stations within 30 minutes, Rail urbanism (railway-based urban planning), and U-rail (railway service with ubiquitous technique). Each strategy includes several action plans and their priorities are investigat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organize them by time scheme as short, mid, and long term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