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상공인 역량강화교육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규선,최양애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8 벤처혁신연구 Vol.1 No.1

        This study focused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owner’s competencies on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educ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3 hypothesis were accepted and 1 hypothesis was rejected. H1.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business owner’s managerial competencies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positive. H2.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business owner’s technological competencies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not valid. H3. Professional education was mediating effect between small business owner’s competenc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H4. Professional education was mediating effect between small business owner’s competencie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founded professional education was mediating effect, especially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mall business owner’s competenc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d logical background on government support of small business owner’s professional education and small business owner’s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educations. 우리 경제에 소상공인 차지하는 비중이 큰 반면 창업이후 5년 이내 생존율이 30%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소상공인의 역량강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역량강화교육이 경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상공인의 역량중 관리역량은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 나, 기술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역량강화교육은 소상공인의 역량과 경영 성과간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상공인의 역량과 비재무적 경영성과, 소상공인의 역량과 재무적 경영성과간의 역량강화교육 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힌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이러 한 학문적 시사점 이외도 역량강화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입증함에 따라 향후 정부가 소상공인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재원 마련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이도균,이대식,성규선,변상해,Lee, Do Kyun,Lee, Dae Sik,Sung, Kyu Sun,Byun, Sang Hae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병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군${\bigcirc}{\bigcirc}$ 부대에서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 중에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자살징후 대상 병사와 부대로 부터 자살징후가 있다고 분류된 병사, 본인이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본 프로그램에 참가의사를 밝힌 병사 등 총 64명을 대상으로 총 16회기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다.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실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suicide prevention affects private soldiers' stress-coping method, problem-solving ability, depression, and idea of suicide.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hypothesis, Air Force ${\bigcirc}{\bigcirc}$ Unit has previously classified 64 soldiers, who have signs of suicide, and are assorted to have suicidal symptoms by the Unit, and think that they have such symptoms and need our program. Following that, overall 16 time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m. For a statistical process of collected materials afte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we practiced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t-test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12.0 for Windows. In result, suicide prevention program shows positive effects upon improving stress-coping method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reducing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