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성경선 ( Sung Kyung Sun ),방명애 ( Bang Myong Y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초등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일반적 특성(연구대상, 연구설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중재효과)을 분석하고, CEC(2014)와 Horner(2005)가 사용한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질적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총 연구대상 수는 모두 74명이었으며, 남학생(64.9%)이 여학생(24.3%)보다 많았다. 장애영역은 지적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연구가 23편(67.6%)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설계가 14편(41.2%)으로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은 수업참여가 14편(41.2%)이고, 문제행동이 12편(35.3%)이었다. 독립변인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8편(23.5%)으로 가장 많았다. 34편 연구에서 모두 중재효과가 있었으며,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24편(70.6%)이었고, 일반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8편(25.0%)이었다. 둘째,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합교육이 실시되는 연구 환경, 중재자의 자격 및 배경정보, 종속변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중재 충실도, 기초선, 내적 타당도,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질적 지표가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에 대한 논의와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on integ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Thirty four single 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05 to 2016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developed by Horner et al.(2005) and CEC (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s were the most widely used. The most widely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engagement and problem behavior. The most widely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 was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he interventions of all studi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Out of 34 studies generalization effects were tested only by eighth studies, while maintenance effects were tested by twenty five studies. Second, the quality indicators of intervention settings, background informations and qualifications of experimenters, operant definitions of the dependent variables fidelity of intervention, baselines, and internal validity were not fully fulfill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