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위터 안의 정치 담론에 나타난 매개 유력자 분석

        이상록(Sangrok Lee),이지연(Jiyeun Lee),성경(Cheng Qing) SBS 2012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0 No.4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소셜미디어(social media)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져 가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4·11 총선 과정에서 논란이 됐던 민주통합당 김용민 국회의원 후보의 막말 논란과 북한 미사일 발사 위협, 투표라는 세 가지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트위터 상에서 나타난 정치적 행위를 네트워크 구조상의 매개유력자에 초점을 맞춰 살펴봤다. 분석결과 유력자는 대부분 유명인이나 공인(公人)일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전체의 63%가 일반 개인(私人)인 것으로 나타나 뉴미디어 환경에서 일반인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또 매개유력자의 트윗 가운데 리트윗(RT)이 43%로 유력자가 리트윗(RT)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유력자의 73%가 정부비판 성향으로 친정부 성향(23%)보다 3배 이상 많아 정부비판 성향의 트위터 매개유력자가 많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gradually makes bigger and bigger influence. In this paper, we will describe how Twitter deliberate the political discourse in this whole new media circumstance, which as well focus on the mediating influential media structure. It presents recent matter of facts - rough words from Kim Youngmin- a candidate of United Democratic Party in the general election period of April 11th, 2012; the missile launching threat from North Korea and the referendum. The research shows that it tends to be the ordinary citizens which of 63% of the mediating influential people through these issue, not the famous or public ones as it"s supposed to be. Further more, 43% of the mediating influential people, who is found the specific 60 amount of Twitter, make their influence via Retweet (RT) access. And otherwise the 73% of the people tend to be anti government compared with 23% pro-government ones, which is more than 3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