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환자실에서의 Colloid의적절한 이용

        서지민,Seo, Ji-Min 대한수의사회 2008 대한수의사회지 Vol.44 No.2

        혈장과 합성 클로이드의 사용은 환자 관리에 중요하며 소생요법의 기본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각각의 환자를 위한 가장 적절한 클로이드 용액을 선택은 어려울 수 있다. 환자의 내재질환에 대한 병적 과정, 최근 심혈관 상태, 응고계 상태뿐만 아니라 각각의 클로이드 용액에 대한 성질과 부작용을 이해함으로써 개개의 환자를 위한 적절한 수액요법을 적용할 수 있다.

      • 환자에서의 젖산 측정

        서지민,Seo, Ji-Min 대한수의사회 2007 대한수의사회지 Vol.43 No.12

        중환자에서 조직의 저산소증을 확인하고 교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혈중 젖산측정은 30년 이상 인의에서 조직의 산소화를 위한 간접적인 측정방법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수의에서는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비싸지 않은 간이 젖산 측정계로 중환자의 젖산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는 것이 수의 응급실 및 전문병원(referral center)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수의 환자에서 혈중 젖산 측정은 질병의 심각도를 결정하고 치료 결정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보조 수단이다.

      • 창상성 심근염

        서지민,Seo, Ji-Min 대한수의사회 2009 대한수의사회지 Vol.45 No.6

        심근 손상은 창상 환자에서 심장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심각한 창상에 가려져 종종 간과됩니다. 심하지 않은 심근손상에 의한 부정맥은 스스로 치유되기도 하지만 저혈압, 쇠약, 순환부전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부정맥은 조기에 인지하여 치료하지 않을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도상 연구

        徐志敏(Seo Jimi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2

        이 논문에서는 창안설과 전래설이 대두되면서 쟁점화되었던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도상 문제를 새로운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한 방법으로 그 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불상의 광배와 대좌에 표현된 도상 표현에 주목하였다. 득 비로자니불상의 광배와 대좌에 나타나는 佛ㆍ菩薩像을 인도와 중국의 중기밀교계 존상들과 비교ㆍ고찰하여 통일신라 비로자니불상에 내포된 도상의 상징적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비로자나불상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적인 배경 속에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 지권인을 결한 비로자니불상이 화엄종과 선종의 주존불상으로 조성되었던 도상의 성립배경으로는, 法身 비로자나불이 주존으로 등장하는 『八十華嚴經』이 8세기 초반 통일신라로 전래되어 80화엄 신앙에 의거히는 새로운 본존불 도상이 필요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8세기 중반에는 唐에서 중기밀교가 전래되면서 금강계 대일여래 도상에 대한 인식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새로운 도상이 전래되는 것을 계기로, 8세기 중반 통일신라 화엄종에서는 금강계 대일여래의 도상을 80화엄의 주존불 도상으로 채용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9세기에는 義林, 不可思議를 비롯한 승려들이 중기밀교를 익히고 귀국히며, 法門寺의 사리공양의식을 實見하였다는 崔致遠의 『法藏和尙傳』의 기록과 금강계 대일여래의 변화법신을 일컫는 36尊을 비로자니불과 함께 조성하라는 내용이 있는 『三國遺事』卷3의 「五萬眞身」條를 볼 때 중기밀교의 도상이 보다 직접적으로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기밀교 도상의 구체적인 이해는 9세기 중반 이후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도상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도상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8세기 중반에서 9세기 초반에는 통일신라의 전통적인 불상양식의 토대 위에서 지권인의 수인을 비롯한 불신만이 새로운 요소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9세기 중반에서 9세기 후반에는 唐에서 새롭게 전래된 것으로 보이는 圓形에 가까운 형태의 대좌형식을 갖춘 동화사 비로암 비로자나불상 유형과 전통적인 팔각연화대좌 형식의 축서사 비로자나불상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들 두 가지 형식의 비로자나불상은 지권인의 수인 외에도 광배와 대좌에 중기밀교와 연관되는 다양한 불ㆍ보살상을 표현하고 있었다. 즉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광배에 표현되는 화불은 唐代 法門寺 출토 〈?金四十五尊造像錄頂銀函〉(871)과 비교되는 중기밀교의 금강계오불의 변용으로 보았으며, 대좌의 불ㆍ보살상은 법문사 출토 〈奉眞身菩薩像)(871)의 대좌에 나타나는 중기밀교의 변화법신보살이며, 그 외에 香爐나 三華文 그리고 七獅子 등의 표현도 중기밀교 경전에서 설한 大日如來의 도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이다.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의 비로자나불상은 9세기 중반에 정립되었던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 고유의 도상은 전승되고 있지만 각 도상의 세부적인 표현이 와해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대좌와 광배에 중기밀교 도상을 배열하는 것은 인도와 중국의 중기밀교 존상과 같이 광배와 대좌에 대일여래의 변화법신을 배열하여 주존이 갖는 교학적인 상징성을 압축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이 이러한 중기밀교의 도상 구도를 채용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모든 불ㆍ보살의 근원으로 十方에 항상 충만하다는 80화엄의 法身佛이 갖는 교학적인 의미를 보다 효과적이며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과 관련되는 조상기록을 당시 불교사적인 배경 속에서 규명해 보면, 통일신라하대 화엄종과 선종에서는 당시 불교도들과 유리된 비현실적인 교학체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기밀교적인 의례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볼 때 통일신라하대 화엄종과 선종에서는 중기밀교의 법신불 도상을 채용하여 주존불로 봉안할 수 있는 신앙체계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중기밀교 도상의 전래과정을 추정할 때 80화엄의 법신불로서의 통일신라 비로자 나불상에 대한 이해는 경주지역에서 가장 먼저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왕실과 중앙귀족의 願刺이 경주 외곽지역에 건립되면서 현재의 경북지역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고찰을 통하여 같은 시기 중기밀교의 영향으로 菩薩形의 금강계 대일여래상이 유행하였던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통일신라의 전통을 유지하는 한편 중기밀교 도상요소를 채용하여 새로운 80화염의 법신불 도상으로 재창안하고 있는 통일신라 불교계의 뛰어난 역량과 불상조상사의 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conography of Vairocana Imag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aureoles and pedestals. and thus attempts to explore their symbolic meaning of Vairocana Images. The Auatamsaka sutra in 80 fascicles and Esoteric Buddhism of the middle phase. which adopted the dbarmak??ya Vairocana as the central Buddha, must be considered with the question of when and how they were transmitted to Silla It is said that the Auatamsaha surra was already known in the early 8th century as seen in the Hwaeomgyeong munui yogyeol mundap by Pyowon or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Ojin. Since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when the illustration of the Auatamsaka sutra was created.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recognized indirectly about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by introducing the Auatarnsaka sutra in 80 fascicles. Later in the 9th century Buddhist when monks including Uirim and Bulgasaui learned the middle-phase Esoteric Buddhism and returned to Silla and as in the Biography of Fazang by Choe Chi won and the Omanjinsin 五萬眞身 of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amgukyusa 三國遺事)』, by introduction regular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t is considered that Iconographic also was understood much more concretely. This study shows on the developing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ic, dividing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to two periods largely. From the middle of 8th century to the early of 9th century, only Mudra 法身 of Vajramudra was expressed into new factor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style of the image of Buddha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and from the middle of 9th century to the early of 10th century they were divided broadly into Biroam Vairocana Images type of Donghwa temple with Pedestal Type near the prototype that seems to have been introduced newly from Tang Dynasty and Vairocana Images type of Chookser temple with traditional Eight Angles and Lotus Flowers Pedestal Type, These two types of Vairocana Images has been expressing various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related to in Nimbus and Pedestal and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n addition to Mudra of Vajrarnudra That is to say, Nirmanakaya expressed in Nimbus was considered as expression of the five Buddhas of Vajradharm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compared with <Sarira Reliquary (Yugeumsasibojonjosangnokjeongeunham ?金四十五尊造像?頂銀函)〉 excavated from Beommun temple in Tang Dynasty (Sarira Reliquary (Yugeumsasibojonjosangnokjeongeunham ?金四十五尊造像?頂銀函)〉, and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in Pedestal was Astamahabodhisattvas Images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ppearing in Pedestal of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Bongjinsinbosalsang 捧眞身菩薩像)〉 excavated from Beommun temple. Besides, the expression of the incense burner, the pattern with three flowers, and the pattern with seven lions has also proved to be related directly to Iconographic of Maha-Vairocana recorded in the sutr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fter all, arranging Iconographic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for Nimbus and Pedestal of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Nirmanakaya is considered as showing to have been transmitted the characteristic of Iconographic from the purpose to express by condensing the doctrinal teaching symbolism that the nobility of Dharma had by arranging Dharmakaya of Maha-Vairocana for Nimbus and Pedestal like the main image of Buddh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n Indai and China. Futhermore , Iconographic of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s to interpret as expressing more effectively doctrinal teaching meaning that Dharmakaya of the 80 fascicles of Huayanjing said, fill always in all directions and places as source of all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had by adopting Iconographic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When it comes to consider the fact about the record of ancestors or creation of Mug

      • KCI등재후보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과 매납품에 관한 연구

        서지민(Seo, Ji-Min)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1 중원문화연구 Vol.29 No.-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은 충북지역에서는 흔치 않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무구정탑이지만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다. 이에 신륵사 삼층석탑의 양식적인 특징을 파악해서 제작시기를 밝히고, 탑 안에 매납되어 있던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을 같은 시기의 다른 무구정탑과 사리장엄구들과 비교, 고찰하여 그 성격과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신륵사지 삼층석탑의 기단부 결구구조를 중심으로 각 형식과 양식적인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신라 말인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 조성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또 이 석탑은 인근에 세워졌다가 후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다시 세워지면서 일부 부재를 보수했다고 추정된다. 신륵사지 삼층석탑 상층기단부에 매납되어 있던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은 이 탑이『무구정경』에 의거하여 조성된 무구정탑임을 말해준다. 신라하대에는 전문적인 승려가 다라니작단법 등 무구정탑 조성 의례를 집전하였다. 따라서 신륵사지 삼층석탑의 매납품은 원상을 잃었지만, 같은 시기 다른 무구정탑의 사리장엄구처럼 금동사리함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토제소탑이 에워싸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토제소탑 안에 다라니를 넣지 않고 따로 서사해서 사리장엄구와 함께 안치했을 것이다. 정통의 공양방식과 달리 토제소탑을 108기 제작한 것은 다양한 발원내용을 한꺼번에 실현할 수 있는 정각을 이루어 모든 번뇌를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었다고 이해된다. 신륵사 삼층석탑출토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은 왕실발원작에 비해 재료, 제작기술 등 품질 면에서 현격한 수준 차이를 보인다. 이런 양식적 특징을 감안할 때 제천지역의 향도들이 주도한 결사를 통해서 조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런 신륵사지 삼층석탑과 매납품의 고찰을 통해 왕실발원작 위주의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통일신라시대 무구정탑의 조성과 신앙에 대한 시각을 보다 넓힐 수 있다. Although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in Jecheon is a Mugujeong pagoda built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which is rare in Chungbuk, bu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Therefore, this study graspe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to figure out the time of production and compared and considered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buried in the pagoda with other Mugujeong pagodas and sarira reliquaries in the same period to discus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foregoing burial goods. The form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ylobates, an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judged that the Three-story Stone Pagoda was built in the late 9th to early 10th century, the late Silla Dynasty period.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is stone pagoda was built in the vicinity and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and rebuilt later and that some members were repaired at that time.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buried in the upper stylobat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site tell that this pagoda is a Mugujeong pagoda built according to 『Mugujeong Sutra』.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period, professional monks held the rites of establishing the Mugujeong pagoda, such as the dharani jakdanbeop. Therefore, although the burial goods i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lost their original forms, it is thought that the small earthen pagodas surrounded the gilt-bronze sarira reliquary as with the sarira reliquaries in other Mugujeong pagodas in the same period and the dharani was not put into the small earthen pagodas but was written separately and enshrined together with the sarira reliquary. It is understood that the production of 108 small earthen pagodas, unlike the orthodox offering method, reflects the intention to escape from all passions by achieving full enlightenment to realize various prayer requests at once.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excavated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show marked differences in level in terms of quality such a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compared to the works originated from the royal family. When these stylistic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created through an association led by local believers in Jecheon. Through this study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and the burial goods, it is possible to broaden the perspective on the creation of Mugujeong pagodas and faith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centered on the works originated from the royal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