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깨진 유리창 이론의 실증: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우승(Seo, Woo-Seung),전용재(Jeon, Yong-Jae) 한국경호경비학회 2021 시큐리티연구 Vol.- No.68

        Although many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Wilson and Kelling (1982) advocated the theory of broken windows, there has been a lack of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people s perception of disorder and collective efficiency as a medium of fear of crime. According to the broken window theory, perception of disorder affects fear of crime and fear of crime leads back to weakening ties between residents, which can, as a result, undermine collective efficiency.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Korea that demonstrate this relationship. Thus, the study demonstrated the model of broken window theory for 815 adult men and women in Seoul. Analysis has shown that perception of disorder has a positive impact on fear of crim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rime and collective efficien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indirect effects were not confirm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at the broken window theory is not sufficient in terms of academic interest compared to various uses in reality. The negative effects of perception of disorder have been identified, although the harm that fear of crime has on the community has not been identified. It can be said that it laid the groundwork for active police intervention in disorder. In subsequent studies, we hope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non-probability sampling and the use of transverse data, will be supplemented. Wilson과 Kelling(1982)이 깨진 유리창 이론을 주창한 이후 많은 실증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지역주민의 무질서 인식이 범죄두려움을 매개하여 집합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 대해서는 주목도가 부족했다. 깨진 유리창 이론에 따르면 무질서 인식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고 범죄두려움은 다시 주민간의 유대 약화로 이어지기에, 결과적으로 집합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실증한 연구가 드물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서울 성인남녀 815명을 대상으로 깨진 유리창 이론의 연구모형을 실증했다. 분석 결과, 무질서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범죄두려움과 집합효율성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깨진 유리창 이론이 현실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것에 비해 학술적 관심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수행되었다. 비록 범죄두려움이 지역사회에 가져다주는 해악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무질서 인식이 야기하는 부정적 영향은 확인되었다. 무질서에 대한 경찰의 적극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비확률표집, 횡단자료 사용이라는 이 연구의 한계가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아동기 직ㆍ간접적 폭력 경험이 미혼 성인 남성의 데이트폭력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박현민 ( Park Hyun Min ),이병도 ( Lee Byung Do ),서우승 ( Seo Woo Seung ),이창배 ( Lee Chang Bae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4

        이 연구는 대한민국 미혼 성인남성들이 성장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부모 사이의 폭력에 대한 목격 경험이 데이트폭력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데이트 폭력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인 데이트폭력에 대한 편견은 행동통제, 신체적 폭력편견, 폭력정당화, 강간통념, 성관계 강요 등 다섯 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간접적 폭력 경험으로 부모 간 정서적 폭력 목격 경험과 부모 간 신체적 폭력 목격 경험을 활용하였고, 직접적 폭력 경험으로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부모로부터의 신체적 학대 경험을 구분하여 활용하였다. 그 결과, 간접적 폭력 경험 중 정서적 폭력 목격은 강간통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신체적 폭력 목격은 행동 통제, 신체적 폭력편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접적 폭력 경험 중 신체적 학대는 행동 통제, 신체적 폭력 편견에 영향을 주고, 정서적 학대는 편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experience and parental violence experiences on the prejudice against dating violence in Korean adult mal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I used data of 'Survey on the Actual Status of Dating Violence'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al Policy. The prejudice of the dependent variable, dating violence, was divided into five sub - factors such as behavior control, physical violence bias, violence justification, rape myth, and sex coerc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direct experience of violence experienced emotional violence and experience of physical violence experienced by parents, and emotional abuse experience from parent and physical abuse experience from parent were used for direct violence experience. As a result, among the experiences of indirect violence, the sight of emotional violence had a static influence on rape myths, and physical violence witnessed a static influence on behavior control and physical violence prejudice. Physical abuse in the experience of direct violence affects behavior control and physical violence bias, and emotional abus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jud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