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오후 보림(悟後保任)에 관한 소고(小考)

        서왕모 ( Wang Mo Se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한국 간화선의 전통으로 내려오고 있는 오후 보림의 근거를 찾고 그 성격에 관해 돈오돈수와 돈오점수의 두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대혜종고(大慧宗□, 1089~1163)가 5세기 초에 구마라집(究摩邏什, 343~413)에 의해 번역된 『법화경』 비유품」에 수록되어있는 ``내가 이제 그대들을 위하여 이 일을 보임할 것이니``의 구절을 경전적 근거로 삼았음을 밝혔다. 이후 7세기 중엽에 현장(玄□, 602~664)이 번역한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娑論)』과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서 보림이 사용된 것을 찾아보았다. 다음으로 선어록에서 보림이 사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8세기 후반에 활약한 육조(六祖慧能, 638~713)의 3세들인 귀종(歸宗智常, ?~?), 백장(百丈懷海, 749~814), 약산(藥山惟儼, 751~834) 그리고 천황(天皇道悟, 748~807)이 보림에 관한 문답을 한 것을 확인했다. 이들은 강서(江西)와 호남(湖南)에서 각각 선풍을 크게 진작하여 이른바 선의 황금시대를 연 대종장들로서 보림의 근원이 매우 오래고 광범위하게 실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한국 간화선의 보림의 뿌리도 밝혀졌다. 보림의 성격이 돈오돈수적(頓悟頓修的)인가 돈오점수적(頓悟漸修的)인가에 대한 고찰의 결론은 보림을 언급한 선사 어록의 사례로 볼 때 대부분 돈오점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록에서 이에 대한 근거로든 경전은 『능엄경』의 "理라면 문득 깨닫고 깨달음과 더불어 사라지지만, 事는 문득 제거되지 않고 점차 사라진다."는 구절이다. 보림을 어떻게 해야 하는 가에 대한 답은 한결 같이 무심(無心)이었다. 결국 돈오돈수의 실현도 무심이고 돈오점수의 구경지(究竟地)도 무심이었다. 이것은 불심(佛心)이 무심이기 때문에 당연한 귀결이다. 이 보임무심은 또 일행삼매(壹行三昧)로 귀결된다. 일행삼매는 달마조사(菩提達摩, ?~528) 이래로 남북종(南北宗) 모두 계승한 수행법으로 무심처(無心處) 곧, 법계(法界)에 계합(契合)하는 것이다. I looked over two outlooks of Sudde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Dono donsu)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Dono jeomsu) finding out the basis of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which has come down as the Korean traditional Ganhwaseon and its characteristic. At first, there is not only a definition of keeping and protecting one``s enlightenment for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but also it was used as keeping and cultivating one``s enlightenment, I could find out the fact through 阿□佛國經translated in the mid-2C and Lotus Sutratranslated in the early 5C. Moreover, I found out that there was the definition, keeping and protecting one``s enlightenment for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for it, in 阿毘達磨大毘婆娑論translated by Hyeonjang (602~664) in the mid-7C and 瑜伽師地論. And for the next, I searched an example that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Boim, was used in Seon Master``s quotations, I could confirmed Guijong(歸宗智常,?~?), Baekjang(百丈懷海, 749~ 814), Yaksan(藥山惟儼, 751~834) and Cheonhwang(天皇道悟, 748~ 807), who were the IIIs of Yukjo(六祖慧能, 638 ~ 713) playing an active part in the late of 8C, had some questions and answers for Boim. They were the great seon masters who opened, so called, ``the golden times of Seon``, boosting the Seon wind each at Gangseo(江西) and Honam(湖南) districts. By this, the root of Korean Ganhwa Seon``s Boim was also revealed. I could find out the conclusion of the consideration to whether Boim``s characteristic was Sudde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Dono donsu) or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Dono jeomsu) with an example of Seon Master``s quotation which mentioned about Boim. The phrase as a basis on it from quotations is ``if it is 理(ri), suddenly gains an enlightenment and disappears with enlightenment together though, if it is 事(sa), gradually disappears without suddenly being eliminated``, of Shurangama Sutra.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to deal with Boim`` was the absentmindedness, 無心, as ever. In the end, the final destinatio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Dono Donsu) was the absentmindness (無心), and the ultimate pla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Dono Jeomsu) was also the absentmindness (無心). It``s a natural consequence because Buddha``s mind is the absentmindness (無心). This Boim Musim,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with absentmindness, also goes to Ilhaengsammae(一行三昧), One Round Samadhi. One Round Samadhi is, as a practice succeeding all of North and South religious sects since Seon Master, Bodhi Dharma(菩提達摩, ?~ 528), the absentmindness place(無心處), that is, to co-united with Dharma realm.

      • KCI등재

        돈오점수에 관한 일고(一考): 견성론을 중심으로

        김용환(Kim, Yong hwan),서왕모(Seo, Wang mo)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3 No.-

        돈점의 문제는 불교 수행에 있어서 수행자가 올바른 관점으로 들어가게 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그것은 바로 실천의 문제이다. 성철이 제기한 지눌 비판은 한국 불교계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불교학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분명하다. 성철의 비판에 대한 지지 또는 반대의 의견을 제시하는 많은 논문이나 책들이 출간되었고,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연구의 흐름을 보면, 견성론의 견지에서 돈점 문제를 직접적으로 궁구한 연구는 그렇게 눈에 뜨이지 않는다. 또한 대체로 성철의 관점 또는 보조의 관점 중 어느 한 쪽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상대편의 관점을 비판하거나, 또는 두 가지 입장을 종합하여 이해하려는 형식으로 전개된 연구가 많았던 것 같다. 이 논문에서는 사전에 성철이나 보조의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입장에서가 아니라, 원효가 제시하는 견성론(見性論)이라는 보다 객관적인 견지에서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검토한다. 즉, 원효가 『열반종요(涅槃宗要)』에서 제시하는 견성론이라는 공통의 준거틀을 근거로 하여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조망하고, 양자가 가진 견성관의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내며, 양자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돈점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견성 사상의 토대가 되는 『대반열반경』에서 말하는 ‘문견(聞見)’과 ‘안견(眼見)’이라는 견성의 두 가지 유형을 소개하며, 이에 대하여 원효가 제시하는 견성의 세 가지 관점인 견성의 구경성(究竟性), 편재성(遍在性), 증득성(證得性)을 제시한 다음, 이를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에 적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견성의 구경성, 편재성, 증득성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고찰할 때, 양자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지 않다는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이 타당하다면, 이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점을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해 준다. 첫째, 돈점 논쟁의 핵심이 견성론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둘째, 돈오점수 체계와 돈오돈수 체계의 상호 관계성을 어떻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인가? 셋째, 한국불교의 정체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결론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The sudden-gradual issue is an essentially important enterprise that practitioners have to undertake with right perspectives, and it is indeed a matter of praxis. Seongcheol’s critique of Chinul have sparked immense repercussions through out Korean Buddhist communities. In academia, a large number of research papers and books have been published against or in support of Seongcheol. Nevertheless, it is found from the literature tha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to rigorously investigate the sudden-gradual issue, directl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a theory of seeing the Buddha-nature. Most research is polemical in nature, taking a position ex ante to support one of the two Seon masters while criticizing the other. In this paper, rather than taking a position in support of either Bojo or Seongcheol, we rely on Wonhyo’s theory of seeing the Buddha-nature - a more objective ground for investigation - to examine two masters’ perspectives on seeing the Buddha-nature. So, on the basis of a common framework suggested by Wonhyo in his Doctrinal Essentials on the Nirvana Sutra, our focus is on the two masters’ perspectives on seeing the Buddha-nature. This reveal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ir point of views and the source of two masters’ different viewpoints as well. In our analysis, a striking result is obtained that there is esse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two masters’ perspectives. Further implications on this unexpected conclusion are discussed in the paper.

      • KCI등재

        다선일미에 대한 선(禪)적 의미 고찰

        정영희(Jung,Young-hee);서왕모(Seo,Wang-mo)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50 No.-

        기호음료에서 약용, 사교, 정신음료로까지 광범위한 문화적 전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차(茶)이다. 차가 정신문화로까지 이어진 것은 선종과의 연관성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를 대표하는 용어가 다선일미일 것이다. 이 용어 속에 그동안 전개되어온 정신세계로서의 차의 면모가 응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래 성품에 대한 참구이자, 본질적 근원세계의 대명사인 선이 하나의 현상물인 차와 한 맛이라는 것을 선사상의 입장에서 살피자면, 무정설법과 불이, 화두의 관점에서 논해질 수 있다. 유정물이건 무정물이건 실상의 하나하나가 곧 진법의 세계이자 끊임없이 법을 설한다는 무정설법의 관점, 또한 깨달음의 경지인 일미의 다른 표현이자 일미에 이르는 방법론으로 제시되는 불이문의 관점에서 타당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끽다거(喫茶去), 끽다끽반(喫茶喫飯) 등의 화두는 차가 선사들의 일상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 준다. 화두란, 근원세계를 뜻함과 동시에 그에 이르는 방법(열쇠)이다. 차 화두는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자 깨달음의 세계이며, 그러한 깨달음의 세계가 곧 일상임을 가리키고 있다. 다선일미란 차가 그대로 여여한 불세계이자 부처의 설법임을 가리키고 있으며, 차수행과 선수행이 둘이 아닌 경지이며, 또한 깨달음의 세계가 평상의 일로 나타난 선어이자 선차문화라 할 것이다. Tea is showing extensive cultural developments from a favorite beverage to a medicinal, social-intercourse, and mind-cultivating beverage. It is undeniable that the development of tea as a spiritual culture is related with Seon Buddhism, and a term representing this development will be daseon ilmi, which literally means that tea and Seon is of one and the same taste. It can be seen that this term condenses the aspect of tea as a spiritual world that has been unfolded so far. From the standpoint of Seon thought, the same taste of Seon and tea, in which Seon focuses on the inherent nature of humans and is not different from the absolute realm, while tea is merely a phenomenal object,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mujeong seolbup (doctrine that insentient things can preach the Buddha’s message), non-duality, and hwadu (huatou). In other words, the appropriateness of daseon ilmi can be examined in terms of mujeong seolbeop in which each and every phenomenon on earth irrespective of sentient or non-sentient beings is a manifestation of real dharma and preaches this dharma incessantly, and in terms of non-duality which is another way of expressing ilmi (one and the same taste), namely the state of enlightenment, and is presented as a method to reach the ilmi. Also, the hwadu such as “have a cup of tea” and “when having tea, just have it; when hungry, just eat” show that tea has a close relation with everyday life of Seon masters. The hwadu means a fundamental world and is a key to such a world at the same time. The tea hwadu, as a way to enlightenment and a world of enlightenment itself, indicates that such a world of enlightenment is not separate from everyday life. The term daseon ilmi demonstrates that tea itself is the absolute Buddha-realm and the preaching of the Buddha, and that the practices of tea and Seon are non-dual in nature. Also the daseon ilmi is a Seon Buddhist term and a Seon-tea culture in which the world of enlightenment shows itself as an ordinary matter.

      • KCI등재

        보조 지눌과 퇴옹 성철의 무심(無心) 비교 연구

        고정혜 ( Ko Jeong-hye ),서왕모 ( Seo Wang-m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이 논문은 초기 선종(禪宗)부터 근현대 한국선에 이르기까지 깨달음과 관련된 심법(心法)으로 제시되었던 ‘無心’의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한국선에서는 보조(普照:1158~1210)와 성철(性徹:1912년~1993년)이 無心을 적극적으로 계승한 선사들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선사상에서 無心을 살펴보고 상통점과 상이점을 고찰하였다. 보조의 선(禪)에서는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와『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에서 頓法과 경절문(徑截門)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無心이 드러난다. 그리고 성철의 경우에는『선문정로(禪門正路) 』와『백일법문(百日法門) 』에서 수증론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無心이 드러난다. ‘無心合道’로 드러나는 보조의 무심과 ‘究竟無心’으로 드러나는 성철의 無心은 수행과정에서 이를 증득하는 깨달음의 단계가 확연히 다를 수 있다. 보조의 경우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수행이 無心과 상즉(相卽)하는 ‘공적영지심(空寂靈知心)’이 나타난다. 성철은 삼세육추(三細六麤)의 번뇌와 망념이 완전히 사라지는 궁극적 깨달음에서 증득하는 無心을 강조한다. 두 선사의 無心의 공통점은 첫째, 둘 다 이를 증득하는 선법이 화두를 통한 간화(看話)뿐만 아니라 방(榜)과 할(喝) 등의 선법이 포함된다. 둘째, 두 선사의 無心은 돈오(頓悟)와 상즉하면서 깨달음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셋째, 보조의 無心은 공적영지(空寂靈知), 성철의 無心은 상적상조(常寂常照)로 나타내고 있지만 둘 다 ‘고요하고 밝아져서 일체를 두루 알게 되는 경지’로 묘사된다. 즉, 두 선사의 선법에서 無心이 드러나는 ‘悟’의 단계는 상이할 수 있지만 無心을 증득한 경지에서 드러나는 공능(功能)은 일맥상통하다. 본 논은 한국의 禪에서 간화선을 발전시킨 두 선사의 無心을 비교 고찰하면서 禪에서 無心의 중요성과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what lighting the importance of detachment which has being suggested as mind dharma to be continued to enlightenment from the early of Seon oder to modern Seon. In Korean Seon, Bojo and Sengchol accepted detachment with positively. After I compared their detachment, I considered What is different thing? What is same thing? Steps of practice which is based on ‘Daeseunggisinron’(大乘起信論) was set such as Sigak(始覺), Subungak(隨分覺), Sangsagak(相似覺), Gugyenggak (究竟覺) and so I compared their steps which detachment is appered. In Bojo’s Seon, detachment is said when it has been explaining as sudden enlightenment and entrance of Seon skipping the practice steps in ‘Ganwhagyelewiron’ (看話決疑論). In Sengchol’s case, when perpect attainment called Gugyenggak(究竟覺) has been explaining detachment is appered in the books such as ‘The right way of Seon entrance’ (禪門正路) and ‘Ddharma’s talk of one hundred days’(百日法門). Bojo’s detachment is used ‘Detachment conbined with enlightenment’(無心合道) and Sengchol’s detachment is used ‘Detachment conbined with ultimate enlightenment’(究竟 無心) may be different apparently each other. In Bojo’s case detachment is explained as practicing called Jeonghyessangsu(定慧雙修). The mind is regauarded as Gongjeokyoungjisim(空寂靈知心). Sengchol said detachment called ‘Detachment conbined with ultimate enlightenment’(究竟無心). It is appeared when delusion and agony are disappeared fully. Both way of them reaching detachment are with whadu(話頭) in common. Also, both of detachmenents are sudden awakening and closed connected enlightenment. Bojo’s detachment is said Gongjeokyoungji(空寂靈知), Sengchol’s detachment is said Sangjeoksangjo(常寂常照). Both of them are explained the stage in which people can realize all things. So though the stage of enlightenment which detachmenents is appered are different, the ways to reach to it and its efficacy are not different. This paper is relevant to light importance and value of detachmenents in Korean 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