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사처리 후 양극산화 처리한 임플란트 표면이 골모 유사 세포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보용,김영민,최재원,윤미정,전영찬,정창모,김규천,허중보,Seo, Bo-Yong,Kim, Young-Min,Choi, Jae-Won,Yun, Mi-Jung,Jeon, Young-Chan,Jeong, Chang-Mo,Kim, Gyu-Cheon,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1

        목적: 본 연구는 Tricalcium phosphate 입자를 사용한 모재분사 후 양극산화처리를 한 임플란트 표면의 특성을 분석하고, 골모유사세포의 반응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직경 10 mm, 두께 3.0 mm 크기의 Grade IV 타이타늄 디스크를 시편으로 사용하였으며, 양극산화처리(ASD)군, 모재 분사 후 양극산화(RBM/ASD)군, 대조군(machined surface)으로 나누어 표면처리하였다. 표면처리 후 FE-SEM, 에너지분산분광기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표면특성을 평가하였다. 세포의 부착을 평가하기 위해 골모유사세포를 이용해 crystal violet assay를 통해 세포부착을 평가하고, 세포 형태는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세포증식을 평가하기 위해 XTT 시험을, 세포분화는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사용하였으며 침착된 칼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Alizarin red S stain 을 이용하였다. 비교분석은 one-way ANOVA (SPSS version 18.0)로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다. 결과: ASD군과 RBM/ASD군에서, 분화구 모양의 표면 형상이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산소와 인산 이온이 관찰되었다. 단위면적당 거칠기는 대조군에서 $0.08{\pm}0.04{\mu}m$, ASD군에서 $0.52{\pm}0.14{\mu}m$, RBM/ASD군에서 $1.45{\pm}0.25{\mu}m$를 보였다. 세포반응실험에서, ASD군과 RBM/ASD군이 대조군에 비해 세포의 부착정도가 높았으며 대조군이 세포증식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P<.05). RT-PCR 실험에서, RBM/ASD군이 다른 군들보다 높은 ALP를 보였다(P<.05). ASD군과 비교했을 때 RBM/ASD군은 세포부착과 증식 정도에서 큰 값을 보였다(P<.05). 결론: 본 연구의 한계내에서 모재분사 후 양극산화 처리한 티타늄 표면 처리 방식이 단순 양극산화 처리한 군이나 대조군보다 골모유사세포의 반응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implant surface with RBM and anodizing treatments, and to evaluate the responses of osteoblast-like cell (MG-63 cell). Materials and methods: Grade IV titanium disks were fabricated (Diameter 10 mm, thickness 3 mm). Anodizing treatment (ASD) group, RBM and anodizing treatment (RBM/ASD) group, control (machined surface) group were divided. In this study, osteoblast-like cell was used for experiments. The experiments consist of surface characteristics evaluation by FE-SEM images,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and stereo-SEM. In order to evaluate cell adhesion evaluation by crystal violet assay and observe cells form by confocal laser microscopy. To assess cell proliferation by XTT assay, cell differentiation by RT-PCR and mineralization by Alizarin red S stain assay. ELISA analyzer was used for Quantitative evaluation. Comparative analysis was run by one-way ANOVA (SPSS version 18.0). Difference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5. Results: In ASD group and RBM/ASD group, the surface shape of the crater was observed and components of oxygen and phosphate ion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were detected. The surface average roughness was obtained $0.08{\pm}0.04{\mu}m$ in the control group, $0.52{\pm}0.14{\mu}m$ in ASD group and $1.45{\pm}0.25{\mu}m$ in RBM/ASD group. In cell response experiments, ASD group and RBM/AS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control group in cell adhesion and mineralization phase,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values in the proliferative phase. In RT-PCR experiments, RBM/ASD group was showed higher ALP activity than other groups. RBM/ASD group in comparison with AS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value for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phase. Conclusion: 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 are concluded that the surface treatment with RBM/ASD seems more effective than ASD alone or machined surface on cellular response.

      • KCI등재

        대구시 열대야 대응 구역 설정을 위한 야간 찬공기 유동성 분석

        서보용 ( Bo-yong Seo ),이상범 ( Sang-beom Lee ),권순범 ( Soon-beom Gwon ),차재규 ( Jae-gyu Cha ),정응호 ( Eung-ho Ju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3

        도시에서의 폭염발생은 기본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받으나, 도시에서 발생하는 인공열 배출과 열축적이 큰 토지피복의 영향으로 더욱 가중된다. 특히 도시폭염의 영향은 야간 열대야 발생에도 직접적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주간의 폭염대응에 비해 열대야 대응수단 선택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열대야 대응 방안으로 야간 찬공기 유동 특성을 분석하고 이의 공간적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찬공기 유동 분석 프로그램인 KLAM_21을 활용하여 대구시의 찬공기 유동의 공간적 특성인 찬공기 높이 및 유동범위와 유속 및 유동방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 주변산지에서의 찬공기 생성, 유동은 매우 활발하나 열대야 발생지역인 도심지역으로 유입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시가지에서는 주변산지로부터 유입되는 찬공기 유동성이 매우 활발하여 열대야 대응에 매우 효과적인 공간적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조건을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활용하면 열대야 대응방안 개발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Heat wave generation in cities is basically affected by global warming, but it is further exacerbated by the impact of artificial heat emission and heat accumulation in the city.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urban heat waves directly affect the occurrence of tropical nights. Basically, however, the choice of countermeasures against tropical nights is very limited compared to the daytime heat wave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flow at nigh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ropical nigh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o suggest its spatial applicability. As a research metho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low velocity, flow rate, flow direction and range) of cold air flow in Daegu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KLAM_21, a cold air flow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ld air generation and flow in the surrounding mountains of Daegu Metropolitan City was very active, but the inflow was limited to the urban area, which has tropical nights.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flow of cold air flowing from the surrounding mountains is very active in some urban areas, so it has spatial conditions that are very effective in countering tropical nights. If these spatial conditions are used for the urban planning, it will be very useful to develop countermeasures for tropical nights.

      • KCI등재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서보용 ( Bo-yong Seo ),정응호 ( Eung-ho Ju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사례로 도시내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3단계로 이루어졌는데, 1단계에서는 지역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간의 기상학적 관계를 비교하였다. 2단계에서는 도심지역과 교외지역으로 구분하여 국지적 바람유동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KLAM_21을 활용하여 국지적 바람유동과 도시공간전체의 바람길 형성 및 유동과의 공간적 관계에 대하여 비교·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대표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 사이에는 기상학적으로 상관성이 낮았다. 둘째, 도심지역 5개와 교외지역 2개 측정지점에서의 국지적 바람유동에 대한 관측결과에서는 지점별로 다양한 풍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측정지점 인근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이 국지적 바람유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KLAM_21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AWS 측정자료와 비교·검증한 결과 수치모델링분석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한 도시의 국지적 바람유동은 도시열섬현상의 개선을 위한 공간적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즉, 도시계획 수립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도시열섬발생지역과 공간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계획적 기법을 적용한다면 도시열섬현상을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wind flows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 three-stage analysis was performed, starting with a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local wind direction (synoptic wind) and local wind flow. In the second stage the study area was subdivided into districts and suburban districts to analyze the relative change of local wind flow. In stage three, the formation of wind corridor for local wind flow, wind flow for the entire urba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flows were verified comparatively using KLAM_21. Three results are notable, the first of which is a low correlation between synoptic wind of a region, and local wind, flow in terms of meteorology. Secondly, observations of local wind flow at five downtown districts and two suburban districts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e wind directions at each measurement point.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eas neighboring the measurement points could affect the local wind flow. Thirdly, verifying the results analyzed using KLAM_21, compared to Atomatic Weather System(AWS) measurement data,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ling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local wind flow in a city performs a spatial function and role in ameliorating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This indicates that, when an urban planning project is designed,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could be ameliorated effectively and sustainably if local wind flow caused by immediat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s confirmed systematically and techniques are intentionally applied to connect the flows spatially within areas where urban heat islands occur.

      • KCI등재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신지훈 ( Gee-hoon Shin ),서보용 ( Bo-yong Seo ),노백호 ( Paikho Rho ),김지영 ( Ji-young Kim ),한성용 ( Sung-yong Ha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1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낮음 지역’ 8개 지점(13.1%)과 ‘매우 낮음 지역’ 4개 지점(6.6%)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검증결과 높음 결과값을 가지는 지역에서 특히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동확률의 등급 별 단위 면적(1×1㎢ 당)에 따른 수달 출현지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로 이동하는 지역에서 단위 면적당 6.8개 흔적이 발견된 반면, 이동 확률이 낮은 지역은 0.1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수달이 하천지역의 주요경로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통 수준 이상 결과 지역에서는 23개(63.9%)로 많은 서식흔적이 발견되어 시뮬레이션의 주요 이동경로가 실제 수달 개체의 이동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imulator 분석은 수달의 이동경로 선택에 있어서 공간특성이 이동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 가능하고 분석값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내 추가 서식지 조성 및 로드킬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Random Walker analysis to predict the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a simulation analysis with a radius of 7.5 km set as the final range centered on the Ansim-wetland in Daegu City, and a field survey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The number of virtual otters was set to 1,000, the number of moving steps was set to 1,000 steps per grid, and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841 gri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 average of 147.6 objects arrived at the boundary point under the condition of an interval of 50 m.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verification, 8 points (13.1%)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very high, and 9 points (14.8%)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high. On the other hand, in areas with low movement paths probabilities, there were 8 points (13.1%) in low areas and 4 points (6.6%) in very low areas. Simulation verification results In areas with high otter values, the actual otter format probability was particularly high.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with the otter appearance point according to the unit area of the evaluation star of the movement probability, it seems that 6.8 traces were found per unit area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is the highest. In areas where the probability of movement is low, analysis was performed at 0.1 points. On the side where otters use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river area, the normal level was exceeded, and as a result, in the area, 23 (63.9%), many form traces were found, along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simulation. It turned out that the actual otter inhabits. The EN-Simulator analysis can predict how spatial properties affect the likelihood of major movement paths selection, and the analytical values are used to utilize additional habitats within the major movement path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such as to grasp the danger area of road kill in advance and prevent it.

      • 개발사업의 소음모니터링 분석과 개선방안

        선효성 ( Hyo-sung Sun ),서보용 ( Bo-yong Se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환경영향의 현실화 여부 및 정도를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사후환경영향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소음항목의 경우 사후환경영향조사를 통해 협의내용 이행 여부 및 조사지점별 소음측정결과 기준 초과 여부 등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사후환경영향조사를 통한 기존 소음모니터링은 소음예측결과 및 소음저감대책 효과 등의 적정성 검토와 환경영향평가의 환류적 기능 수행에 한계점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과 관련한 사후환경영향조사 현황 파악과 소음 모니터링 결과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석산개발사업, 도로개발사업, 택지개발사업의 운영 시를 대상으로 협의내용을 분석한 결과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중요한 평가내용을 포함하여 확인할 수 있는 협의내용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석산개발사업, 도로개발사업, 택지개발사업의 운영 시를 대상으로 소음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영향평가 및 사후환경영향조사의 조사지점 및 소음기준 비교, 사후환경영향조사에 따른 연도별 및 이격거리별 소음분포 변화,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소음예측결과와 사후환경영향조사 단계의 소음측정결과의 검토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점 및 소음기준은 동일성 유지가 필요하되, 불가피하게 변경이 필요할 경우 구체적인 정보 및 근거의 명시가 필요하다. 그리고 연도별 및 이격거리별 소음분포 분석을 통해 사후환경영향조사기간 이후에도 소음 증가 지속성 등을 감안하여 필요할 경우 기간 연장을 고려하고, 사업지구 주변의 현실적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예측기법 적용의 필요성을 암시하였다. 또한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소음예측결과와 사후환경영향조사 단계의 소음측정결과 비교·검토에서는 사후환경영향조사와의 연계를 통해 예측기법 등의 현실적 고려방안 적용에 따른 소음예측결과 신뢰성 향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기존 소음모니터링 현황 파악과 소음모니터링 결과 분석을 통한 사후환경영향조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소음과 관련한 협의내용 실효성 확보를 위한 협의내용 구체화의 방안으로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의 조사내용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조사지점과 소음기준의 불가피한 변경이 필요할 경우 변경내용 및 변경사유 등의 이력사항을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에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운영 시 시간적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소음 증가 양상을 나타내는 개발사업의 경우 사후환경영향조사기간 이후에도 지속적인 소음모니터링 수행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넷째, 환경영향평가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의 조사내용을 활용하여 소음예측기법의 예측인자값 및 소음저감대책의 소음저감효과 등과 관련한 추가적인 데이터 분석을 조사내용에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a stage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designed to determine the probability and extent of environmental impact for rapid response measures in the event of a problem. In the area of noise, whether the consultation results are properly followed up and whether noise measured in each measuring point exceeds noise standards are reviewed during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owever, the existing noise monitoring system of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limitations in reviewing the noise prediction results or the effectiveness of noise reduction measures and in fulfilling EIA`s feedback func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respect to noise and the analysis of noise monitoring results. Analysis of consultation results of quarry development projects, road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s suggested the need for revising the consultation process to enable the incorporation of major evaluation results of EIA. We also analyzed the noise monitoring results of quarry development projects, road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For this, we compared the measuring points and noise standards of EIA and post EIA; changes in noise distribution by year and separation distance; and noise predictions of EIA and noise measurements of post EIA. While the measuring points and the noise standards should not be altered, specific information and reason must be presented in case change is inevitable. Then, we suggest extending the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eriod even after its expiraton through the analysis of noise distribution by year and separation distance by considering the persistence of increase in noise and applying prediction techniques capable of reflecting the realistic situations of the areas around the 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when comparing and reviewing the noise prediction results of EIA and noise measurements of post EIA, the two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and we also suggest the need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noise prediction results by applying realistic considerations and prediction techniques. We propose a plan for improving the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existing noise monitoring system and noise monitoring result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consider using the survey results of the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 means of making consultation more specific for ensuring the feasibility of consultation results with respect to noise. Second, in case the measuring points and noise standards are changed for inevitable reasons,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history information such as the reason for and details of change in the post EIA results notification. Third, in case a development project when implemented shows a pattern of persistent noise increase over time, continuous noise monitoring is required after the post EIA period. Fourth, as one of th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 can consider using the survey results of post EIA to incorporate additional data analysis related to predictive factor values in noise prediction techniques and noise reduction effect of noise reduction measures in evaluation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