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자율주행차 윤리가이드라인 구성과 쟁점에 대한 분석

        변순용 ( Byun¸ Sunyong ),황기연 ( Hwang¸ Keeyeon ) 한국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4 No.1

        자율주행자동차(Automated Vehicle, 이하 AV)의 기술이 발전하고 기초적인 수준의 AV가 판매되면서 AV의 보급과 이용에 관한 관심이 나타났다. 실제로 AV가 도로에서 운행되면서 발생하는 사고와 앞으로 더 높은 수준의 AV가 운행되며 날 수 있는 사고는 AV의 기존의 인간이 운전하는 자동차 사고와 다른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이에 AV의 생산자와 탑승자, 비탑승자간에 동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윤리적 가이드라인의 검토가 필요하다. AV 윤리가이드라인을 구성할 때 생산자, 탑승자, 비탑승자의 주체들과 책임문제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더 높은 수준의 AV의 운영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AV 윤리가이드라인에서는 여러 가지 윤리적 쟁점을 고려하고 우리나라의 상황과 문화에 맞는 윤리적 기준을 제시해야 사회적 합의가 가능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불가피한 위법과 사고, 일반적으로 쉽게 받아들여지는 공리주의적 접근의 장점과 한계, 윤리적 책임의 문제, AV의 윤리적 판단 범위, 투명성과 개인정보의 보호의 문제, 운행판단 기준의 설정 주체 문제를 중심으로 AV 윤리가이드라인의 쟁점을 분석하였다. 앞으로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국내에서 운행될 더 수준 높은 AV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앞서 말한 쟁점을 중심으로 하여 수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technology of Automated Vehicle(hereinafter referred to as AV) has developed and the basic level of AV has been sold, interest in the spread and use of AV has emerged. Accidents that occur while AV is operated on the road and accidents that may occur as AVs are operated at a higher level in the future will cause ethical issues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human-driving car accidents of AV.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thical guidelines that can be agreed between AV producers, passengers, and non-passengers. When composing the AV ethics guidelines, if the producers, passengers, and non-passengers and responsibility issues are not taken into account, the operation of higher-level AV itself may become difficult. A social consensus will be possible only when ethical standards suitable for the situation and culture of our country are presented. Representatively, it focuses on unavoidable violations and accidents,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generally accepted utilitarian approach, the issue of ethical responsibility, the scope of AV's ethical judgment, the issue of transparency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issue of the subject of setting the operating judgment standard. with the AV ethics guideline. In the futur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 would like to propose a revision plan focusing on the aforementioned issues regarding the ethical guidelines for higher-level AVs that will be operated in Korea.

      • KCI등재

        솔로라이프와 스마트시티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연구

        변순용 ( Byun¸ Sunyong ) 한국환경철학회 2020 환경철학 Vol.0 No.30

        지금 한국 사회에서는 가족을 전제로 하는 집의 의미에 대한 전통적인 분석이나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인간의 삶의 시작과 끝이 가족이라는 구성체 안에서 이뤄지고, 가족의 형태에 따라 집의 모양과 구조도 영향을 받아왔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에서는 다인 가구보다는 1인 가구의 수가 더 많아졌고, 결혼의 의미와 가족의 구성이라는 의미가 점점 희석되어가고 있음을 여러 통계 수치나 설문 결과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 바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공동주거 형태의 주택일 것이다. 1인 가구가 현재 새롭게 등장하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지금처럼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경향은 한국 사회가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사회적 경험이다. 이러한 경향에 맞추어 다양한 소비트렌드가 제시되고, 이에 맞춰가려는 여러 사회적인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주거구조에도 스마트 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주거 기술과 주거 서비스가 등장한다. 이러한 스마트 주거의 기술과 변화에 근거하여 스마트 시티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의 본질을 “지속적인 연결가능성”에 두고자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스마트 시티의 발전방향에서 개인적인 지속적 연결가능성보다는 공동체적인 지속적 연결가능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스마트 시티의 스마트 라이프가 추진되어야 함이 강조되어야 한다. In Korean society, a fundamental change in the traditional analysis or paradigm of the meaning of a house based on a family is taking place.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human life takes place within the structure of the family, and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house has been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the family. However, in recent years, in Korea,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mor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and the meaning of marriage and family composi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diluted. Although single-person households are never newly emerging, the trend of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s it is now is a new social experience that Korean society has not experienced before. Various consumption trends are suggested in line with these trends, and various social efforts to adapt them will be required. In the residential structure, new residential technologies and residential services emerge through the convergence of smart technologies. Based on these technologies and changes in smart housing, discussions on smart cities can be made. In this study, the essence of smart is to be placed on “sustainable connectivity”. And above all,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smart life of smart city should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community-based sustainable connection rather than individual sustainable connection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mart city.

      • KCI등재

        AI 시민성 교육에 대한 시론

        변순용 ( Byun Suny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7

        현재 세계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인공지능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살펴보면 AI 시대에 살아갈 시민에게 요청하고 있는 역량을 추출해 볼 수 있다. 대체로 3가지 능력이 기본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역량을 중심으로 AI 시민성 교육의 내용 체계를 구성해 볼 수 있다. 우선, AI 시스템하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자율성이 존중될 수 있도록 시스템과 운용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요청한다. 둘째, AI 시스템이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해악을 예방하고 사후에는 그러한 AI 시스템의 개발, 제작, 관리, 사용에 대한 책임을 묻고 실현하기 위해 AI 시스템의 투명성 내지 설명가능성을 사회가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절차와 기준을 정립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끝으로, 최근에 제기되는 빅데이터의 편향성과 이로 인한 편견의 문제를 의식하고 여기서 생길 수 있는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정성의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 최근까지 인공지능에 대한 윤리인증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을 살펴보면, 책임성(Responsibility/Accountability), 투명성(Transparency), 최소편향성(Minimum Algorithmic Bias) 이 있지만, 이외에도 제어 가능성(Controllability), 안전성(Safety), 보안성(Security), 인권존중(Respect for Human Right), 공동선(Common Good)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이 AI 시민성의 중요한 내용으로 부가되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내용이 유럽의 신뢰 가능한 AI, 중국의 책임 있는 AI 뿐만 아니라 투명성과 더불어 논의되는 설명 가능한 AI 등에서도 강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권리와 책임이 AI 시민성 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 AI citizenship education, unlike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requires three competencies. First, the ability to manage systems and operations so that human dignity and autonomy are respected under AI systems is emphasized in future societies. Second, in order to prevent the harm that AI systems can cause to humans in advance, and afterwards to hold and realize the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production, management, and use of such AI systems, the ability to establish appropriate procedures and standards to systematically guarantee the transparency or explainability of AI systems is needed. Finally, the emphasis is on the ability of fairness to address the problems of bias and the inequality that can arise from the recent bias of big data. Factors that have been suggested as important criteria in ethics certification for AI until recently are Responsibility / Accoutability, Transparency and Minimum Algorithmic Bias. In addition, controllability, safety, security,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common good are emphasized in the ethical guidelines. This should be added as an important part of AI citizenship. As these issues are now emphasized in Europe's reliable AI, China's responsible AI as well as in explainable AI,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se factors should be included in AI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도덕교육의 서양윤리학적 접근

        변순용(BYUN SUNY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도덕교과의 교육목표는 지적인 영역에서의 도덕적인 사고력의 신장을, 정의적인 영역에서 는 도덕적인 감정(Gefuehl)이나 정서(Emotion)의 함양을, 행동적인 영역에서는 도덕적인 판단 과 정서에 근거한 의지의 실현 즉 행동화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 도덕교과의 내용영역에 해 당하는 윤리학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그런 것’들에 대해 논의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있 어서 그런 전제’들로부터 출발하는 것이기에,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그런 것’들을 추론하는 데 만족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행하는 행동의 근거와 결과에 대한 이성적인 숙고를 추구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윤리학은 내가 추구해야 할 최고선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 한 수많은 지성인들의 숙고의 결과이며, 이것은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매우 중요한 삶의 지침이 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내용들이 교과교육에서 논의되고 가르쳐져야 한다. 그래 서 이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행위의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이 론들로서 의무론, 가치론, 공리주의, 계약론, 담론윤리, 책임윤리, 덕윤리적 정당화에 대한 분 석을 하고, 이것이 갖는 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행위의 도덕적 정당화를 위해 의무론적 접근은 자율성과 보편성에 근거한 정언명법으로, 가치론적 접근은 행위 속에서 나 타나는 가치의 인식과 실현으로, 공리주의적 접근은 행위의 결과에서 나오는 개인적, 사회적 유용성에 따른 행복으로, 계약론적 접근은 사회정의의 실현을 위해 전제되는 계약의 존재로, 담론윤리적 접근은 이성적인 담론을 통한 합의에 근거한 규범의 도출과 준수로, 책임윤리적 접근은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책임의 인정으로, 덕윤리적 접근은 유덕한 행위자의 제시로 행위의 정당화를 위한 주요한 근거들을 주장하고 있다. The goal of moral education intellectually, is the expansion of the ability to think morally, in the area of emotionally, it is the cultivation of moral feelings and emotions, and in action, we must realize the importance of making moral decisions and having an emotional will and put this all into action. The contents of ethics as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discusses “Because in most cases this happens” or “Because in most premises this happens” make an inference as well as satisfy oneself that “Because in most cases this happens.” Although, the basis and the way we behave ourselves pursues our deliberate reason, there is also a limit to this. Ethics is the outcomes of intellectual deliberation of what we can pursue, what we must do, and how we must live life, as well as, an guide to how we must live in the society we are currently living in today. This things must be taught in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o,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guarantee reasonable moral behavior, we need to analyze what we can make the most of and use which are duty, value, utility, agreement, discoursive ethics, responsibility ethics, virtue ethics, and we need to reveal moral education which contain all these things. In order to justify moral behavior, we can approach categorical imperative with autonomy and universality. With value, we can approach it with the realization of values that appear inside our behavior and actions. With utilitarianism we can approach it with the outcome of our personal behavior. With the theory of social contracts we can approach agreement with the existence of the premise of agreement in order to realize what the social conditions are. With discoursive ethics we need to unify our personal arguments and observe the basis deduction rules. We can approach responsibility ethics by recognizing its unconditional and imperative responsibility. We can approach virtue ethics with the presentation of good person and justifying the importance of a good administered foundation.

      • KCI등재

        다문화 사회 및 글로벌 시대에 요구되는 도덕교육의 핵심덕목으로서의 관용에 대한 연구

        변순용(BYUN SUNY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관용은 도덕과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도덕적 덕이며, 관용적 태도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야 할 우리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태도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다문화 교육의 도덕적 덕목의 중심은 바로 관용이어야 한다. 관용은 싫어하고 거부하는 것에 대해 자발적으로 부정적 행위를 하지 않는 행위이며, 이것은 소극적인 의미에서는 반대나 간섭을 하지 않는 것을(소극적 관용), 적극적인 의미에서 본다면 관용되는 대상에 대해 권리를 인정해 주는 것(적극적 관용)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 권력의 위계 구조 하에서 행사되는 수직적 관용과, 상호주관적인 지평 하에서 행사되는 수평적 관용도 중요하다. 수직적 관용이 전통적인 의미의 관용이라면, 수평적 관용은 현대 사회에서 그리고 다문화 교육에서 요구되는 형태의 관용이라고 볼 수 있다. 관용교육에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사회의 보편적 가치에서 추출한 교육의 핵심가치들에 대한 관용과 이러한 핵심가치들에 반하는 것들에 대한 불관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관용 교육에서 우선 관용의 영역을 구분해야한다. 예컨대 정치적 관용, 문화적 관용, 종교적 관용 등의 허용정도는 다를 수 있고, 또 달라야 한다. 두 번째는 도덕적 악을 참아야하는 것은 관용이 아니며, 관용을 보장하기 위하여 불관용을 해야 하는 상황적 필연성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관용과 불관용의 경계설정의 문제가 관용의 본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작업이 된다. 결론적으로 관용은 힘과 도덕사이의 긴장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긴장관계에서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상호적 관용일 것이다. Tolera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rdinal virtues not only in the moral education, but also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Tolerance defines itself as ‘not-doing-negative-action’ against something hated and refused, and is divided into, at first, negative and positive toleration, secondly, vertical and horizontal toleration. In the education of Tolerance we should teach the tolerance of cardinal virtues based on socially approved and accepted virtues and the intolerance of actions against these virtues. There are two methods, which is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tolerance. Firstly, the areas of tolerance should be distinguished. We should distinguish one area from another area of tolerance. For example, the political tolerance is distinguished from the cultural tolerance or the religious tolerance. If and if only the difference of areas of tolerance is approved, the essence of tolerance could be sustained. Secondly, we should accept the situational necessity of intolerance. So we draw the line between tolerance and intolerance. Reason and natural law are recommended as the criterion of that line. In conclusion, the tolerance comes from the tensions between power and moral, and we should try to focus the reciprocal tolerance in this strained relation.

      • KCI등재
      • KCI등재

        데이터 윤리에서 인공지능 편향성 문제에 대한 연구

        변순용 ( Byun Sunyong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28 No.1

        최근 빅데이터와 기계학습, 인공지능과 관련되어 제기되는 윤리적인 이슈 중 하나가 바로 편향성(bias)의 문제이다. 실제로 편향성(bias)의 문제를 편견(prejudice, Vorurteil)이나 고정관념의 문제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자가 통계적, 기술적인 용어(technical term)라고 한다면 후자는 윤리적인 용어(ethical term)라고 할 수 있겠다. 데이터를 모으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항상 편향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데이터의 편향성을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자체의 편향성과 데이터 처리과정의 편향성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이와 별도로 이 두 가지 모두 데이터 공정성의 문제와 항상 갈등에 빠지게 되는 이유를 살펴본다. 특히 데이터 객관성과 공정성 역시 서로 상충될 소지가 충분히 있다. 데이터가 객관적이라는 것은 데이터가 지향하는 대상과 데이터의 일치를 전제로 하면서 이 데이터가 습득되는 과정에서 주관적인 개입이 배제되어야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근대적인 기계적 객관성이 보장된다 하더라도 공정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데이터의 객관성은 데이터 자체의 습득 과정에서 논의되겠지만, 데이터의 공정성은 데이터의 활용과정에서 더 문제가 제기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데이터윤리의 관점에서 빅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의 과정에서 모집단 편향성, 데이터 편향성, 데이터 객관성, 데이터 공정성의 의미가 분명하게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ethical issues raised in recent years regarding big data,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issue of bias. Indeed, the problem of bias is often confused with the problem of prejudice (Voruteil) or stereotypes. If the former is a statistical and technical term, the latter is an ethical term. In the process of gathering and processing data, bias is always raised. In this study, the bias of data is divided into the bias of the data itself and the bias of the data processing. In particular, data objectivity and fairness may be at odds with each other. Data objectivity presuppos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data subject and the data. This objectivity can be secured only when subjective intervention is excluded in the process of data acquisition. Nevertheless, even if this modern mechanical objectivity is guaranteed, problems arise that may not be fair. The objectivity of data will be discuss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data itself, but the fairness of data is more problematic in the use of data. Therefore, in terms of data ethics, the meaning of population bias, data bias, data objectivity, and data fairness should be clearly defin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using big data.

      • 지식 생산과 소비의 새 플랫폼으로서의 유튜브가 지닌 철학적 의미에 대하여

        변순용(Sunyong Byun) 한국인공지능윤리학회 2022 인공지능윤리연구 Vol.2 No.-

        인류는 알타미라 벽화에 그림을 그리면서 앎을 만들어내고 이를 전달하고자 했을 때부터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통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지식을 산출해오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필요한 앎을 어떻게 만들어내고 어떻게 소비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 사회의 앎의 특징을 밝혀볼 필요가 있다는 연구의 의도를 가지고 출발하였다. 그래서 우선 인문학적, 사회과학적, 정보학적 의미에서 앎의 의미를 살펴보았고, 현대 사회의 앎이 생산방식의 특징을 집단지성과 1인미디어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식생산과 지식소비의 대표적인 매체라고 할 수 있는 유튜브의 의미를 긍, 부정적 측면에서 윤리적인 검토를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식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플랫폼이 갖는 윤리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Humans have been producing a lot of knowledge through various media and methods from the time when they created and tried to convey knowledge by painting on the Altamira murals to the present day.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intent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 modern society through analysis of how we create and consume the knowledge we need in modern society. In this study, first, the meaning of knowing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informatics meanings was reviewed, and it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combin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one-person media, a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ion method of knowledge in modern society. And the meaning of YouTube, which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medium for knowledge production and knowledge consumption, was ethically reviewed from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rough this analysis, in this study, the ethical meaning of YouTube, which can be said to be a new platform for knowledg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as analyzed.

      • KCI등재

        인공적 도덕행위자(AMA) 개발을 위한 윤리적 원칙 개발

        최현철 ( Choi Hyun Cheol ) , 변순용 ( Byun Sunyong ) , 신현주 ( Shin Hyun Ju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스스로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로봇을 가리켜 `인공적 도덕 행위자(Artificial Moral Agent: AMA)`라고 부르는데, 현재 인공적 도덕 행위자를 위한 윤리를 마련하고자 하는 접근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우선 전통적인 공리주의나 의무론적 윤리이론에 기반을 둔 하향식(top-down) 접근, 콜버그나 튜링의 방식을 따르는 상향식(bottom-up) 접근, 그리고 이 두 접근을 융합하려는 혼합식(hybrid) 접근이 있다.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에 대한 하향식 접근은 어떤 구체적 윤리이론을 선택한 다음, 그 이론을 구현할 수 있는 계산적 알고리즘과 시스템 설계를 이끌어내는 방식이다. 이 때 선택된 구체적 윤리이론은 도덕적 직관이 불확실할 때의 사례들을 인공적 도덕 행위자가 제대로 분류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상향식 접근은 인공적인 도덕적 행위자가 다양한 기계-학습을 통해 도덕적인 추론을 배워나가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상향식 접근의 중요한 전제는 아동이 적절한 발달 단계를 거치면서 도덕성과 도덕 추론을 배워나가듯이, 인공적 도덕 행위자도 적절한 교육을 통해 그와 같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공리주의적 결과론에 바탕을 둔 의사결정의 모형과 규칙들을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 추론 규칙과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인공적 도덕 행위자를 위한 하향식 접근의 윤리를 구상해 보았다. 그런 후 이렇게 마련된 윤리를 10세 수준의 소셜 로봇 시나리오에 적용해 봄으로써, 도덕적 민감성을 갖춘 인공적 도덕 행위자 로봇 개발에 이 윤리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제안하였다. Robots with the ability to make moral judgments on its own is called "Artificial Moral Agent(AMA)", and there are generally three approaches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an ethics for the AMA. First, the top-down approach makes use of the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such as utilitarian or deontological theories. Second, the bottom-up approach follows the central ideas proposed by L. Kohlberg or A. M. Turing. Finally, the hybrid approach is an attempt to unite the top-down and the bottom-up approaches. The top-down approach for the AMA begins with selecting an appropriate ethical theory, followed by coming up with computational algorithms and systems which can be said to incorporate the given theory. The role of the ethical theory in this approach is to provide the AMA with rules to follow in morally complex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bottom-up approach focuses on developing various machine-learning methods for the AMA to learn ethical reasoning without giving it any available rules at hand. The basic idea for this approach is to regard the AMA as a human child who has the potential of obtaining moral reasoning as the child grows up according to proper developmental stages of morality. Among the three approaches mentioned above, this paper will adopt the first one to construct a top-down ethics for the AMA. To be precise, it will be a combination of utilitarian rules for decision-making and Kantian deontological rules for ethical reasoning. After this, the proposed top-down ethics for the AMA will be applied to case scenarios involving a health-care robot with the intelligence of a 10-years-old child so as to show the workings of the ethics.

      • KCI등재

        비만의 개인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박인보 ( Park Inbo ),변순용 ( Byun Suny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 No.S

        본 연구에서는 비만의 정의와 비만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해보고 비만에 대한 도덕적인 판단을 위해 비만의 유형을 몇 가지로 구분하여 개인의 책임 문제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비만에 대한 개인의 책임 논의는 비만 유형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개인의 선택과 무관한 비만 유형의 경우 개인에게 그 책임을 묻기 어려우며, 자기 절제 부족으로 인한 비만 유형의 경우에는 자기 파괴 방지의 측면에서 자기 절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편 비만은 개인의 건강과 행복의 측면에서 좋은 상태가 아니므로 각 개인에게 비만과 관련된 윤리적 성찰의 방향을 제공하여 자기 절제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는 개인의 행복한 삶을 위한 조건 중 하나인 건강이라는 ‘몸의 덕’의 함양, 개인이 속해 있는 공동체의 ‘사회적 손실’에 대한 고려, 그리고 ‘생태적 지속가능성’이라는 윤리적 성찰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통해 비만 관련 윤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Obesity is likely to lead to disease and cause huge social losses. There are also a growing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the negative view of obesity. As the problem of obesity has become so serious, it has become necessary to reflect on it ethically.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definition of obesity and the various causes of obesity, and separate the types of obesity into several categories for moral judgments on obesity. Discussions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obesity should depend on the type of obesity. It is difficult to hold individuals accountable for types of obesity that are unrelated to individual choice, and for types of obesity due to lack of self-control, self-control is required in terms of self-destructive prevention. Meanwhile, obesity is not in good condition in terms of personal health and well-being, so every individual should be provided with a direction for ethical reflection related to obesity. Here, we will present the direction for ethical reflection: the cultivation of "excellence in body condition" of health which is one of the conditions for an individual’s well-being, the consideration of "social losses" of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belong, and the reflection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on on obesity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