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진을 직접 경험한 여고생의 지진방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백진주(Back, Ji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urrent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arthquake preventi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he female students of high school in Ulsan who had experienced earthquakes in terms of awareness of guideline for an earthquake, the source of information, the method and satisfaction of earthquake prevention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earthquake prevention education. Based on the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from 83 people, the frequency and varianc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Some questions were subjected to independent sample t-tests based o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70 female students in Anseong who did not directly experience earthquakes. As a results, the sources of information on guideline for an earthquake were in the order of Internet, TV, and school. The answers about the contents of earthquake education and training were in the order of watched video, mock training and school edu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school education does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earthquake disaster education. For the question about the satisfaction of earthquake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5 – point scale, the average score was 2.79. The anxiety level of the earthquake based on the 10 - point scale, the average score was 6.47 poi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mparison with the students of Anseong about both. The answers to questions about what you want to know about earthquakes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safety of the building, the place and location of evacuation, and how to contact when the earthquake happen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tudy and the result of the students of Ansu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terest of building safety is particularly high. Through this research, we suggested that not only additional studies revealing the factors affecting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anxiety but also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method that fully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교방재교육의 점검 및 지진방재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진을 직접 경험한 울산지역 여고생을 대상 으로 지진 행동요령의 숙지정도와 정보출처, 학습자가 경험한 지진방재교육의 방법과 만족도, 지진방재교육에의 요구로 구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83명으로부터 회수한 질문지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 및 분산의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일부 문항에 대해 지진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안성지역 여고생 70명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기술 통계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진 행동요령의 정보출 처는 인터넷, TV, 학교교육 순으로 선택되었고 경험한 지진교육 및 훈련의 내용은 영상물 시청, 모의훈련 참여, 학교교육 순으로 많았다. 이를 통해 현재 학교교육이 지진방재교육에서 중점적 역할을 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지진 교육 및 훈련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2.79점, 지진에 대한 불안감 정도는 10 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6.47점으로 두 항목에 대해 안성지역 학습자와 비교하여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진에 대해 알고 싶은 내용은 건물의 안전도, 대피장소와 위치, 지진 발생 시 연락방법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연구 및 안성 지역 학습자와 비교했을 때 건물의 안전도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있다. 이에 학습자의 만족도 및 불안감의 영향요인을 밝히는 추가적 연구와 학습자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된 방재교육방법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 Plasma renin activity 검사의 검체 보관 방법이 방사면역 측정법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진주,송란,유선희,이선호,Choe, Jin-joo,Back, Song-ran,Yoo, Seon-hee,Lee, Sun-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21 핵의학 기술 Vol.25 No.1

        PRA 검사는 치료 가능한 고혈압 질환 중 하나인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의 선별 진단에 이용되는 검사 중 하나이다. 혈장의 레닌은 체외에서 변형이 쉬운 물질이며 온도 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체의 보관온도와 해동온도에 차이를 두어 각각의 결과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PRA 검사의 정확한 결과 보고를 위한 치침의 마련과 재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원에 의뢰된 PRA 검체 43건에 대하여 냉동보관 혈장 분리 자검체와 냉장보관 EDTA tube의 혈장을 재검사 실시하였다. 본검사를 기준으로 회귀분석과 bland-altman plot, 백분율을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동온도에 따른 결과 비교를 위하여 PRA 검체 13건에 대하여 각각 실온해동과 냉장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마친 뒤, 다시 얼리고 2차 실온해동과 냉장해동을 실시하여 본검사를 기준으로 결과를 회귀분석하였다. 혈장 분리된 자검체 재검사를 시행한 결과는 y = 1.2048x + 1.046(R=0.8501, n=43)이며, 냉장보관 EDTA tube의 혈장으로 재검사한 결과는 y = 1.0594x + 0.1365 (R=0.9966, n=41)였다. Bland-altman plot에서 본실험과 차이에 대한 평균이 EDTA tube 혈장 재검사한 결과가 0.24, 냉동보관 자검체 재검사한 결과가 1.4로 냉장 보관 EDTA tube의 혈장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해동온도에 차이를 두고 비교실험 한 결과, 1차 실온해동한 결과보다 2차 실온해동한 결과의 평균 백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하게, 1차 냉장해동 결과보다 2차 냉장해동 결과의 평균 백분율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PRA 검체의 보관 방법과 해동 온도에 따른 결과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냉장 보관된 원검체 EDTA tube 혈장의 재검사 결과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해동 시 온도에 상관없이 혈장분리 자검체의 반복적인 얼림과 녹임이 PRA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RA의 재검사 시에는 냉장 보관 중인 원검체 EDTA tube에서 혈장을 다시 채취하여 검사하는 것이 검사 결과의 오차를 줄이고 재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lasma renin activity (PRA) test is important for the diagnosis of primary aldosteronism. PRA is an easily deformed substance in vitro and affected by temperature changes. Laboratory of ASAN medical center has consistently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and re-experimental result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RA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sample storage status. Materials and Methods The measurement of PRA was performed by using the radioimmunoassay.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43 PRA re-test samples were tested with different sample storage condition. The first group was re-examined by freezing the plasma-separated samples at -18℃, and the second group was re-examined with refrigerated EDTA sample. Also, additional tests were conducted on 13 PRA samples to verify the effect on thawing temperature differences in plasma-separated samples. The sam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nd stored frozen at -18℃, respectively, and thawing samples in room temperature and those in refrigerator were were conducted. Each result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initial experimental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re-examination after frozen storing plasma separation samples showed a lower correlation than the results of re-examination with EDTA plasma samples in refrigerator. When calculating the percentage based on the initial test results, the average percentage of each was 404.9% and 133.8%.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so R=0.8501 and R=0.9966, respectively, showing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plasma in the refrigerated sample EDTA tube. In comparison experiments with differences in thawing temperature, average percentage of the results of initial test and room temperature thawing was 94.3% and the average percentage of the results of refrigerated thawing was 88.0%. After again freezing the sample, the average percentage of the second room temperature thawing result is 107.5%, and the second refrigerated thawing group is 112.7%.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e from first thawing. Conclus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retesting according to differences in sample storage methods in PRA tests showed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retesting of the refrigerated EDTA plasma. And repeated freezing and melting of plasma separation samples, regardless of temperature during defrosting, has been shown to affect results. Therefore, retest of PRA should re-collect plasma from original EDTA plasma to increase reproduc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