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트레드밀 운동이 당뇨 흰쥐에서 태어난 새끼 쥐의 해마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백성수(SeungSooBaek),전태원(TaeWonJun),조한샘(HanSamCho),이희혁(HeeHyukLee),윤진환(JinHwanYun),신말순(MalSoonShin),김창주(ChangJu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5

        임신 중 당뇨는 태아의 육체적 발육 및 정신적 발육에 해로운 영향을 미쳐, 출산 후 뿐만 아니라 그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도 정서적 발달과 정신적 발달에 큰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당뇨가 유발된 어미쥐에서 태어난 새끼 쥐들에서 트레드밀 운동이 신경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Sprague-Dawley 계 흰쥐 임신 1주째에 streptozotocin(STZ)를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으며, 이들 쥐에서 태어난 생후 28일 째인 어린 쥐들에게 2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적용하였다. 본 실험 결과 임신 중 당뇨 유발은 새끼 쥐 해마에서 c-Fos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임신 중 당뇨로 인하여 새끼 쥐들의 신경발달학적 손상을 유발시켰으며, 새끼 쥐들의 트레드밀 운동은 c-Fos의 발현을 정상치까지 증가 시켰다. 본 실험을 통하여 트레드밀 운동은 당뇨에 의한 신경세포 활성의 억제를 치유하는데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iabetes mellitus during pregnancy exerts a detriment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 fetus and its central nervous syste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maternal diabetes on hippocampal c-Fos expression. In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ce of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on hippocampal c-Fos expression in the rat pups born from the maternal rats with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es was investigated. Pregnant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and the STZ-injection group. Rat p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with postnatal exercise group, the STZ-injection group, and the STZ-injection with postnatal exercise group. Treadmill exercise was started on the 28th day after birth for 2 weeks. The rat pups born from the maternal rats with diabetes showed decreased c-Fos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whereas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increased c-Fos expression in the rat pups born from the maternal rats with diabete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may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neurodevelopmental problems in children born from the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diabetes during pregnancy.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트레드밀 운동이 당뇨가 유발된 생쥐의 해마 치상회에서 신경세포생성과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백성수(SeungSooBaek),김홍(HongKim),김창주(ChangJu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5

        당뇨는 많은 후유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대사질환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당뇨가 유발된 생쥐에서 트레드밀 운동이 단기기억력과 해마 치상회에서 신경세포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tep-down avoidance 검사와 5-bromo-2'-deoxyuridine(BrdU) 면역조직화학법을 실시하였다. 실험 그룹은 정상군, 당뇨 통제군, 당뇨 운동군, 그리고 당뇨 인슐린 주입군으로 나누었다. 운동은 저강도로 하루 30분씩 4주간 실시하였으며, 운동시작 한 시간 전에 모든 생쥐에게 하루에 50 mg/kg의 BrdU를 4주간 복강에 투여하였다. 실험 결과, 당뇨 통제군은 정상군에 비해 신경세포생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당뇨 운동군과 당뇨 인슐인주입군에서 신경세포생성이 당뇨 통제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또한 단기기억력 측정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트레드밀 운동은 당뇨에 의한 신경세포생성의 억제를 치유하고, 단기 기억력을 회복시켜 줌으로써 뇌기능을 증진시켜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Diabetes mellitus is one of the most common metabolic disorders in human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short-term memory and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were investigated via step-down avoidance task and 5-bromo-2'-deoxyuridine(BrdU)-specific immunohistochemistry. Male IRC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four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streptozotocin(STZ)-injection group, STZ-injection with exercise treatment group, STZ-injection with insulin treatments group. Treadmill exercise was performed 30 min/day in low-intensity for 4 weeks. Single dose of 50 mg/kg BrdU per day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1 hr before start of exercise for 4 weeks. The mice in all of the groups were trained in a step-down avoidance task and retention time was measured on the 3 days after training session for the determination of short-term memory capability. In the present results, the STZ-injected mice showed decreased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wheras treadmill exercise and insulin treatment increased neurogenesis in the STZ-injected mice. The latency in the STZ-injection group was shorter than the control group. Treadmill exercise and insulin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atency of mice in the STZ-injection group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readmill exercise in the diabetes mellitus may enhance brain function via increasing neurogenesis.

      • KCI등재

        아마추어 복싱선수의 전략적 실천으로서 체중조절과 신체소외

        백성수(SeungSooBaek),한승백(SeungBackHan)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이 연구는 복싱선수의 체중조절을 신체자본을 도구로 활용하는 전략적 실천이란 관점에서 그 구체적인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수들의 체중조절이 일정한 수준을 넘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이유를 구조적 측면에서 밝히고 그 결과로 수반되는 선수의 신체소외현상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복싱 일반부 선수 6명과 복싱 지도자 6명을 심층면접 하였고, 고등부선수와 복싱지도자 각 15명에게는 개방형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별사례분석과 사례 간 상호관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싱선수들의 체중조절을 통해 드러나는 아비투스의 성향은 그것이 전략적으로 실천되는 경기력의 한 요인임을 설명해주었다. 둘째, 복싱선수의 과도한 체중조절은 진학 또는 경제적 보상을 승리라는 방식으로만 성취할 수 있는 구조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체중조절은 신체자본을 도구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것이 전략적으로 활용되면 될수록 선수의 신체는 필연적으로 소외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fic phases of boxers` weight control behavior in terms of a strategic practice which exploits bodily capital. Also, this research discovered structural reasons of boxers` excessive weight control practice, along with their bodily alienation resulted from it. For such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adult boxers and 6 boxing coaches, as well as a survey on 15 boxers and 15 coaches in high schools with open-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cross-case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ertain habitus of boxers revealed by this study showed that such weight control practice is regarded as one of success factors in their field. Second, boxers` excessive weight control practice is deeply related to the structure that only winners can have more opportunities to get into advanced schools and to gain economic reward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out if boxers keep using such excessive weight control practice, boxers cannot help but get alienated from their own body. That is because such weight control practice exploits bodily capital.

      • KCI등재

        복합트레이닝이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과 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장상우(SangWooJang),백성수(SeungSooBaek)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 복합트레이닝이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과 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로 활동하는 29명을 선정하여, 트레이닝집단 16명(남자 8명, 여자8명), 통제집단 13명(남자 7명, 여자 6명)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성 움직임 검사와 자세 안정성 측정은 트레이닝 전ㆍ후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복합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들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복합트레이닝 집단에서 기능성 움직임 검사의 총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남자선수의 복합트레이닝 집단에서 정적 자세 안정성은 좌ㆍ우 방향에서 향상되었고, 동적 자세 안정성에서는 전반적인 안정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선수의 복합트레이닝 집단에서 정적 자세 안정성은 전체 지수, 전ㆍ후 방향지수, 좌ㆍ우 방향지수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며, 동적 자세 안정성에서는 전ㆍ후 방향에서 증가한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의 복합트레이닝 중재는 기능성 움직임과 자세 안정성의 향상으로 스포츠부상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훈련 및 경기 중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 12-week combined training on the functional movement and a postural stability in the stunt cheerleaders. The subjects (n=29) were randomized to either a 12-week combined training intervention group (n=16) or a control group (n=13). The athletes in the combined training intervention were participated for about 10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I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scores of functional movement screen test increased in the combined training intervention group. The static posture stability medial/lateral direction index of the male training group, the dynamic postural st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overall directional index. The static posture stability overall, anterior/posterior, medial/lateral direction index of the female training group, the dynamic postural st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al index. Thus,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safety and reducing the rate of injuries, the athletic performance of stunt cheerleading might be enhanced via the combined training intervention.

      • KCI등재

        자연과학편 : 10주간의 0교시 체육활동 참여가 중학생의 신체활동 형태 변화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윤(HaeYoonJung),이민희(MinHeeLee),백성수(SeungSooBaek)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3

        청소년기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 발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0교시 체육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운동군40명과 정상적으로 정규체육수업을 실시한 통제군38명 학생들을 모집하여 각 군에서 임의로 10명을 선정하여 일주일동안 사전·사후 신체활동을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의 스트룹검사를 진행하였다. 신체활동량은 총칼로리소비량과 총보수량 및 운동강도를 측정하였고, 인지기능은 스트룹검사 1, 2로 두 가지 타입에서 정답률과 오답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체활동은 총칼로리소비량과 총보수량의 사전·사후 시기적 변화에서 운동군이 통제군 보다 0교시 체육을 참여함으로써 신체활동량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강도는 고강도, 중강도, 저강도의 강도에 따른 측정한 결과 고강도와 중강도에서 운동군의 사전·사후 시기적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지만, 저강도에서는 운동군과 통제군의 각 집단간 증가로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인지기능에서 스트룹검사1, 2에서 정답률과 오답률 결과 사전·사후 시기적 변화에서 운동군이 통제군 보다 0교시 체육을 참여함으로써 인지기능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0교시 체육은 중학생의 신체활동량의 증가를 유발하고,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0교시 수업시작 전 아침운동은 중학생의 체력향상과 수업태도 및 학업향상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gular exercise or physical education in the adolescence has been expected to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effects of 10-week early morning exercise o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40 students who had additionally taken early morning physical exercise, and 38 students of control group who had taken regular physical exercise. After that, ten students were selected from each groups to assess their before and after physical activity for seven days.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by total gross caloric value, total number of gaits, and exercise intensity.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wo types of stroop tes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exercise group is increased in the total calorie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quant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regards to exercise intensity,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high and moderate intensity of the daily physical activity, however, there is no effect in the low intensity of the daily physical activity. Also, students were classified as high, medium, and low intensity of daily physical activity. It was a significant effect of increasing cognitive function in the students of high and medium intensity of daily physical activity. However, In low-intensity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cognitive function, both stroop tests suggested students who had additional morning physical exercise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a control groups of students who had regular exercise. As a result, morning physical exercise induces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ositively effects on their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before beginning classes in middle school physical activity can lead to lifestyle changes for increased physical activity in everyday life, even academic improvement through increased concentration it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