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출토 적색마연평저호의 검토

        배진성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39 No.-

        About 50 Bronze Age tombs have been identified in Busan. As the types of tombs are diverse and large groups of tombs have been identified, data conditions are better than before. Most of the tombs are stone coffins. Its biggest features are separate spa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ll and red burnished jars. It is particularly unusual that bottom of these red burnished jars are flat. These red burnished jars are not visible in other areas and are only found in Busan. These pottery are mainly distributed in Suyoung River within Busan. It is also distributed in Gangseo-gu area in the west, but not in Gijang area in the east. Red burnished jars, which shows this local characteristic, can be called Busan type red burnished jar in contrast to Haman type red burnished jar, which distributes to Gangseo-gu.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Busan's Bronze Age, views are growing that it can be seen as a transition belt because both Songguk-ri Culture and Geomdan-ri Culture are visible.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mix of dwellings of both cultures is a feature of Busan's the late Bronze Age. However, it is Busan type red burnished jars that represents the late Bronze Age in Busan. Its central area is determined by Suyeong River area, which is the center of distribution of red burnished jars, while both Songguk-ri type house and Ulsan type house are identifi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Busan in the late Bronze Age through transition belt, Busan type red burnished jar, and Suyoung River area. 현재 부산지역의 청동기시대 분묘는 약 50여기에 이를 정도로 많아졌고 종류도 다양하며, 대규모 분묘군도 확인되는 등 이전에 비해 자료적 여건이 나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관묘의 가장 큰 특징은 단벽 쪽에 부장칸을 설치하고 적색마연평저호 한 점을 부장한 점이다. 이 토기에는 마연과 목리가 보이며, 기형은 후기의 적색마연호에 일반적인 원저가 아닌 평저라는 점이 특이하다. 태토는 전형적인 적색마연토기에 비해 정선도가 떨어지며, 적색마연토기에 공렬문이 시문되는 점도 특이하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적색마연토기는 한반도 내에서 부산지역에서만 확인된다. 분포의 중심은 현재의 부산 도심에 해당하는 수영강 일대이며, 강서구 일대까지 분포범위를 넓혀 볼 수 있지만 동쪽의 기장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그리고 함안지역부터 강서구까지 분포하는 함안식적색마연호와 대비하는 의미에서 부산식적색마연호라는 형식명을 부여할 수 있다. 부산지역 청동기시대에 대해 주거지의 분포를 통해 송국리문화와 검단리문화가 공존하는 점이지대라는 견해가 있고, 이는 부인할 수 없는 특징이다. 그러나 타 문화의 주변부적인 특징보다는 부산만의 독자적인 특징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부산식적색마연호인 적색마연평저호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의 중심권역은 송국리형주거지와 울산식주거지가 모두 확인되는 동시에 적색마연평저호의 분포권에서도 중심부에 해당하는 수영강 일대로 판단된다. 특히 대규모 분묘군이라 할 수 있는 온천2동유적에서 고품질의 부산식적색마연호가 출토되는 점에서, 수영강 일대 중에서도 현재의 온천동은 청동기시대 후기 부산지역의 중심적인 취락지일 가능성이 높다. 기존의 점이지대론, (공렬문)적색마연평저호, 수영강 일대가 중심권역이라는 점을 통해 앞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의 부산지역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와 성격

        배진성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8 No.-

        부여 송국리유적에서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가 처음 알려진 이래 오랜 시간이 지났고, 발굴조사의 폭증 속에서 무문토기 자료는 엄청난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인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수량은 예상외로 많지 않고, 이에 대한 개별 연구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전형의 경우 기고와 동최대 경의 계측치 분포가 대단히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토기에 비해 어느 정도 규격화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는 대단히 한정된 시기 동안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세밀한 편 년보다는 계통 및 기능의 파악이 더 필요하다.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 범위는 자료가 증가한 현재에도 이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안정된 분포권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송국리형주거지 및 송국리식 토기 등은 분포 범위가 매우 넓은 반면,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는 송국리유형의 여러 요소 가운데 금강중 하류역에 한정되는 매우 좁은 분포권을 이루고 있다. 이것의 계통에 대해서는 평양 남경유적의 미송리형 토기에 주목하기도 하였지만, 파수와 횡집선문의 부재는 물론 금강유역에 대동강유역 무문토기의 영향이 거의 보이지 않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전기 후반의 보령 주교리 18호 출토 적색마연호에서 관창리 801호 출토 적색마연호를 거쳐 송국리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등장으로 보는 것이 형식적인 연결로서는 가장 무난하다. 금강유역의 유적에서는 주거지 외에도 저장수혈에서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가 출토되는 사례가 적지 않 다. 주거지의 경우에도 벽면에 접하여 설치된 저장수혈에서 출토되기도 하는 등 저장과 관련된 출토 정황 이 다수 확인된다. 또 금강중하류역을 벗어난 지역에서는 진안 농산유적에서만 전형에 가까운 플라스크형 적색마연호가 출토되었는데, 해당 유구는 수혈이었다. 적색마연호 자체가 의례와의 관련성이 강한 점을 고려할 때, 아직 확실한 근거는 부족하지만 이러한 수혈에서 출토되는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는 저장과 관련된 의례에 사용된 특수 용기일 가능성도 없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권은 특정 기물을 공통으로 하는 의례의 권역이면서, 어느 정도 규격화된 의례 용기의 사용이라는 공통의 규제가 작동하고 있었던 집단의 범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Flask-type pottery was known at first Songguk-ri Site in Buyeo. Despite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excavation and typical Flask-type Pottery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In addition, individual study for Flask-type Pottery is not being done well. It is possible that typical Flask-type Pottery has been standardized to some extent than the other pottery. It was used only for a very limited time.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function rather than its detailed relative date. In the current distribution range of Flask-type Pottery is not much difference with the previous. Songguk-ri type Dwelling and Songguk-ri type Pottery seems a very wide distribution range. On the other hand, Flask-type Pottery among the many elements of Songguk-ri Culture forms a very narrow distribution range limited to the Geum River basin. It has been recognized that Misong-ri type Pottery is associated with genealogy of Flask-type Pottery. But Flask-type Pottery is likely to emerge in the course of changes of red burnished potter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site of the Geum River basin, it is excavated dwelling as well as storage feature. Besides red burnished pottery itself is closely related with the ritual. Definitive evidence is still lacking. But it is estimated that Flask-type Pottery is special bowl associated with storage ritual. Then distribution range of Flask-type Pottery can be understood to represent a range of common ritual.

      • KCI등재

        전환기의 고고학에 대한 학사적 검토

        배진성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8 No.-

        Studies of the Transition Period have begun to progress with the growth of new data since the 1990s. Recently, data and research are increasing.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of the initial phase of an age is useful for understanding of the flow and personality in the age. In the Paleolithic-Neolithic Age transition, the Initial Phase Neolithic Age centering on Gosanri site has attracted attention. The Neolithic-Bronze Age transition represented by doldaemun pottery and the initial phase Bronze Age has emerged as a hot issue of prehistoric archeology since the late 1990s. There is criticism about this, but the discussion is continuing with the increase of data and complementary research. And period represented by pottery with round clay band rim and Korean type bronze dagger have been recognized as the Late Bronze Age and the Early Iron Age. On the other hand, the Songguk-ri culture late theory has caused a great power in recent years. In studies of the transition period, the viewpoint of social change due to the migration of residents has played a major role, bu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remaining of local factors and subjective acceptance of residents. And representative data of the transition period have been related to the Northeast Asian situation. As a result, research on wide-area space has been growing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the archaeological researches of neighboring countries are not applied to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f South Korea is a part that needs to be overcome in the future. It is also important to study the data on the Korean Peninsula, but it will be necessary to maintain a viewpoint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gion in Northeast Asia. 전환기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자료의 발견에 견인된 바 크고, 자료가 증가하면서 계속해서학계의 관심을 끄는 주제이다. 한 시대에 있어서 출발 시점의 양상을 분명히 파악하는 것은 그 시대全般의 흐름과 성격 파악에도 큰 도움이 된다. 구-신 전환에서는 제주 고산리유적을 중심으로 한 신석기시대 초창기가 주목을 끌었다. 고산리의섬유질 혼입토기와 아무르강유역 및 繩文 초창기와의 비교, 고산리유적의 단계구분 및 유입 동인의탐색 등 자료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검토되어 왔다. 돌대문토기와 조기로 대표되는신-청 전환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선사고고학에서 가장 주목받는 논점으로 부상하였고, 관련 연구들이 잇따르면서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조기의 설정에 대한 비판론도 한 축을 이루고 있으며, 관련 자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근래의 보완적 연구와 함께 논의의 열기도 이어지고있다. 앞으로는 미사리·남강 자료를 통한 조기의 인식틀을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연구가 요망된다. 원형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으로 대표되는 시기는 청동기시대 후기이면서 초기철기시대라는 통설적인 이해가 현재에도 유지되는 한편, 근래에는 송국리문화 후기설이 큰 파급력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 AMS연대를 통해 점토대토기문화의 상한을 올려보는 입장과 종래의 연대관을 견지하는 입장이 병존한다. 전환기 연구에는 주민이주에 의한 사회변화라는 관점에 더하여 앞으로는 재지적 요소의잔존 및 재지민의 주체적 수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시대를 막론하고 전환의 표지적 자료들은 동북아시아적 상황과 연동하고 있기 때문에, 광역적인 공간을 다룬 연구도급성장하여 왔다. 이에 비해 주변국의 동북아시아고고학 연구에 남한의 고고학적 성과에대한 활용이 미진한 점은 앞으로 극복해야 할 부분이 아닌가 한다. 한반도의 자료를 주축으로 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동북아시아라는 광역의 공간 속에 있는 한 지역으로서의 한반도라는 관점도 함께 견지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농업용 액체비료와 인공배지의 혼합 사용이 미세조류 성장과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배진성,이기세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하여 생산비용을 낮추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액체비료와 인공배지의 혼합 사용과 함께 질소원과 탄소원의 첨가가 미세조류 성장과 지질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미세조류는 녹조류인 Chlorella vulgaris와 Chlorella ellipsoidea 혼합배양을 사용하였으며, 배양 비교를 위하여 인공 배지인 BG11, 농가에서 제조한 액체비료 PAL1을 사용하였다. 인공배지인 BG11과 비교하여 액비 PAL-1을 사용할 때 세포의 성장속도를 10-15%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탄소원으로 glucose 첨가시 성장률이 증가하며 지질함량은 증가하여 최대점에 이른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傳記的 관점에서의 지석묘 상석

        배진성 부산고고학회 2024 고고광장 Vol.- No.33

        Dolmen capstones in the Bronze Age remained on the ground even in later times and existed in people's consciousness, forming their own biography as part of the landscape. During the Bronze Age, the so-called Altar dolmens were a symbolic megalith as a place of ritual. Even in ancient times, megaliths such as dolmen capstones were used as objects of faith. In the case of the Goryeo Dynasty, it can be seen from the literature records that dolmens were considered sacred objec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Joseon Dynasty, cases used for folk beliefs in various ruins have been confirmed, and it is still used as a place of faith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and is designated as a monument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dolmen capstones are archaeological materials with ritual continuity from prehistoric times to modern society. And many stories have been told in dolmen capstones since ancient times. Among them, ‘Mago Grandmother’ often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story of giants related to shrines, fortresses, and rocks as well as dolmens. Mago, who appears in ancient literature, was a young fairy admired by the intellectuals, and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she has changed her appearance to a female giant who is friendly to the common people. The appearance of a female god deeply penetrating the folk beliefs of the common people has continu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through dolmen capstones. In addition, dolmen capstones next to the ancestors' tombs were not just rocks, but were considered a sacred symbol protecting the family, so they should not be damaged or moved recklessly. As such, megaliths installed in the prehistoric times had a very deep relationship with the lives of later people. Dolmen capstones, the object and place of rituals, have continued to serve as social and personal medium of memory throughout various periods to the present. While rituals for megalithic monuments in the Bronze Age were collective events led by the ruling class, since the Middle Ages, they have often been held at the level of personal wishes along with village rituals. The tendency of weakening collectivity and strengthening individuality in the megalithic faith will continue beyond modern society to future society. 지석묘 상석은 청동기시대 이후에도 원래 모습 그대로 사람들의 의식 속에 존재하면서 경관의 일부를 이루어 그 나름의 傳記를 형성하여 왔다. 청동기시대에 매장주체부가 없는 이른바 제단지석묘는 의례의 장소로서 상징성이 강한 거석이었다. 고대에도 지석묘 상석과 같은 거석이 신앙의 대상물로 활용된 정황을 볼 수 있으며, 고려시대의 경우 사례는 적지만 문헌기록으로 보아 이후 시대의 민간신앙적인 성격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경우는 여러 유적에서 민간신앙에 활용된 사례가 확인되었고, 근·현대에는 전국 각지에서 신앙의 장소로 활용되며 지역의 기념물로 지정되기도 한다. 따라서 지석묘 상석은 선사시대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의례적 연속성을 띠고 있는 고고자료이다. 또 지석묘 상석에는 예로부터 임진왜란 때 일본인들이 조선의 地勢를 누르기 위해 가져다 놓은 것, 토지신에 제사 지내던 제단, 마고할머니의 집, 하늘에서 떨어진 것이라는 등의 여러 전설이 전해져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마고할머니’는 지석묘뿐만 아니라 사당·산성·바위에 얽힌 구비전승 거인설화의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고대의 문헌에 등장하는 ‘마고’는 지식인층이 동경하던 도교적 신선세계의 선녀였는데, 조선 후기 이래로는 서민층에게 친근한 여성거인으로 그 모습이 바뀌었다. 상석에 기원하는 내용도 장수·다산·출세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여서, 서민의 민간신앙에 깊숙이 파고든 여성신으로서의 모습이 지석묘 상석을 통해 조선 후기부터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중의 선산에 있는 지석묘 상석은 단순한 바윗돌이 아니라 가문을 지켜주는 신성한 상징물로 여겨져서 함부로 훼손하거나 이동시켜서는 안 되는 것이었다. 이처럼 선사시대의 유구가 후대 사람들에게 어떤 초자연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나아가 여러 가지 전설이 생성되면서 민간의 삶과 밀착되어 왔다. 의례의 대상물이자 장소인 지석묘 상석은 여러 시대를 관통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사회적·개인적 기억장치로서의 역할을 이어오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거석기념물에 대한 의례는 지배층이 주체가 된 집단적 차원의 행사였던 반면, 중·근세 이래로는 마을제사와 더불어 개인적 소망 차원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거석의례에 있어서의 집단성의 약화와 개인성의 강화라는 경향성은 현대사회를 넘어 미래사회에도 계속될 것이다.

      • KCI등재

        柱狀片刃石斧의 再檢討

        배진성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2 No.-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was appeared in earlier of the Early Mumun Period. As time went on, length was diminished, and groove was made. As a result, the Grooved-adze(有溝石斧) was completed. It was noted that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by appearance of the Grooved-adze was closely related to development of wooden farming tools and growth of agrarian society. But recently the Pillar-shaped Adze of the Early Mumun Period has increased steadily, it is known that most are conformed to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e Pillar-shaped Adze was changing rapidly more than any other tools. This is common in stone tools composition. Therefore, we can argue that a set of stone tools were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ose in the backgrou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aracteristics of Mumun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Because during this time there were a lot of changes. Recently on a large-scale settlement·Bronze Dagger and so on, we pay attention to an expansive aspect of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Grave construction is also begun in this time. With these features, it was claimed that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must be newly established to the Middle Mumun Perio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and appearance of the Pillar-shaped Adze as features of time division. 柱狀片刃石斧는 無文土器時代前期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형식변화하는데, (선)송국리단계로 오면서 소형화되고 여기에 溝가 형성되어 有溝石斧가 완성되었으며, 유구석부의 출현과 이로 인한 석제공구세트의 완비는 목제농경구의 발달 및 농경사회의 성장과도 관련된다는 것이 기존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근래 전기의 주상편인석부 자료가 질적·양적으로 상당히 축적되어 재검토 한 결과,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前期後半에 한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 후반의 주상편인석부는 가장 주요한 속성인 後面의 형태를 통해 直(Ⅰ)→曲(Ⅱ)→段(Ⅲ)으로 분류 및 변화하는데, 이는 同시대의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빠른 형식변화를 거듭하면서기능적으로 향상된 공구로 개량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유구석부와 용도 및 기능이 같은 주상편인석부는전기 후반에 완성된 형태를 보이며 석기조성상에서도 일반화되고 있으므로, 석제공구세트가 완비되는 것은 후기가 아닌 전기 후반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일상의 필수품이기도 한 주상편인석부가 전기 후반이라는 특정시기에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신속하게 변화하는 현상은 전기 후반의 사회 변화에 대한 무문토기인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대규모 취락·동검·굴립주건물 등에서 전기 후반 무문토기사회의 발전적·역동적인 측면들이 부각되고 있으며, 분묘가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기존의 전기 후반을‘中期’로 분리하여 조기·전기·중기·후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자는 의견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상편인석부의 등장 및 발달과 석제공구세트의 완비 역시 새롭게 분리된 시기의 특징으로 보기에 손색이 없으므로 본고는 新中期걩의 第二步이다.

      • KCI등재

        '벽석內' 적색마연호 공헌의 검토

        배진성 부산고고학회 2022 고고광장 Vol.- No.30

        This paper is about a unique custom that sacrifices the red burnished jar inside the wall of the tomb. In this regard, there was 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ritual and gamsil(龕室), which is also in line with this paper's perspective to relate to ideas of the afterlife. The location of the red burnished jar, which sacrificed inside the wall of the tomb, varies. However, it has stronger commonality than differentiation in that it is placed in an independent spac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such as sword, arrowhead, and jade. The location of the red burnished jar is mainly on the corner side, although there are also short wall or long wall. In this respect, it is presumed that the red burnished jar inside the wall was an object for the soul of the deceased. The period of tombs with these customs is mainly in the second half of Songguk-ri Culture. These cases are distributed only in a limited rang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in Gyeongnam,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Bronze Age. More specifically, the main distribution area is the line leading to Sancheong-Haman-(Masan)-Geojedo Island in Gyeongnam. In terms of human activities forming tangible and intangible lines, this line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spiritual culture or ideas of the afterlife that was shared only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period. 이 글은 벽석 사이에 적색마연호를 공헌하는 특이한 습속에 대한 검토이다. 유사한 양상에 대해 축조의례와 감실이라는 관점의 연구가 있었으며, 내세관념과의 관련성을 논하는 본고의 관점과도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벽석內' 적색마연호의 위치는 다양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완성품 한 점을 벽석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끼우듯이 놓은 점, 검·촉·옥 등의 다른 기물과는 구분되게 독립된 공간에 놓은 점 등에서 차별성보다는 공통성이 강하다. 단벽이나 장벽 쪽도 있지만 주로 모서리 쪽이 많아, '바닥면'이나 '개석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주로 모서리 쪽에 적색마연호를 공헌하는 경향성이 있다. 따라서 벽석 사이에 공헌한 적색마연호 역시 바닥면이나 개석부의 것과 마찬가지로 피장자의 영혼을 위한 기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습속이 있는 분묘의 시기는 주로 송국리문화의 후반기에 해당한다. 공간적으로는 청종기시대의 동북아시아 일대에서 유독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만, 그 중에서도 경남지역 내의 한정된 범위에서만 나타난다. 더 구체적으로는 경남지역 내에서도 산청-함안-(마산)-거제도로 이어지는 라인이 주요 분포권이다. 인간 활동은 유형·무형의 線 및 그것으로 연결되는 面을 이룬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라인은 특정 시기에 특정 지역에만 공유되고 있었던 정신문화 혹은 내세관념의 一面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망자의 壺, 영혼의 壺

        배진성 한국고고학회 2020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Vol.- No.44

        청동기시대 분묘에는 왜 주로 호형토기가 놓였을까? 왜 다른 시대처럼 여러 점이 아니라 단한 점의 호형토기일까? 예로부터 인간의 영혼은 육신과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사후에도 소멸되지 않는다고 믿어져 왔다. 이러한 관념은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을 것인데, 분묘 축조가 활발해지는 청동기시대라면 사후세계와 관련된 영혼에 대한 인식은 틀림없이 있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인식과 호형토기가 가진 신성한 측면에 기반하여 분묘에 단 한 점 완형으로 놓인 (적색)마연호를 ‘망자의 영혼을 담은 용기’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KCI등재

        도시지역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신체적 기능(ADL, IADL)과의 관련성

        배진성,최옥용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hysical function (ADL and IADL) among urban elderly. The study subjects were 368 older adults residing in a city.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in May 2022 by interview.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ly dependent on ADL level, but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IADL levels. ADL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support, but IADL level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risk ratio for dis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DL level, but that the need for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er IADL group (Q1) than in the very high IADL group (Q4).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lower IADL level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도시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신체적 기능(ADL, IADL)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한 지방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36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2년 5월에 조사대상 노인들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에 의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의 ADL 수준은 사회적 지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IADL수준은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상관관계에서도 ADL은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련성이없었으나 IADL은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능장애노인 군(impaired ADL group)이 나타날 위험비는 ADL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IADL에서는 사회적지지가 매우 높은 군(Q4)보다 낮은 군(Q1)에서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도시지역 노인들에 대한 IADL수준은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사회적 지지가 IADL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IADL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이나 친구 및 이웃 등과의 원활한 사회적 지지를 유지할수 있는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