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산화질소가 섬유주세포의 유착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

        배진성,김재우,Jin Seong Bae,Jae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4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ic oxide (NO) on the adhesion and migration of cultured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HTMC). Methods: For adhesion assay, primarily cultured HTMC were attached to culture dishes for 1 hr, cells were rinsed, and the remaining adherent cells were assessed with MTT assay. Degree of cellular migration was assessed under normal and stressed conditions using microchemoattraction chambers. Effect of NO on the adhesion and migration was assessed with or without co-exposure of S-nitroso-N-acetylpenicillamine (SNAP). Results: NO did not affect the degree of adhesion or migration of HTMC (p > 0.05). The degree of adhesion increased although the degree of migration decreased with 1% serum (p < 0.05). Degrees of migrations decreased after mechanical stress (p < 0.05). Conclusions: NO may not affect the adhesion or migration of HTMC.

      • KCI등재

        통화정책과 지역별 주택가격 사이의 장기 관계: 패널 공적분 기법에 의한 분석

        배진성 ( Jin Sung Bae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4 지역개발연구 Vol.46 No.1

        한국의 통화정책과 주택가격의 패널자료(Panel data)를 구축하여 두 변수 간 장기적 안정관계를 파악하였다. 패널자료는 시계열분석이나 횡단면 분석만으로 파악할 수 없는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분석방법은 5종의 다양한 패널 단위근 검정으로 분석 자료의 정상성 여부를 파악하였으며, 두 변수의 장기적 안정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종의 패널 공적분 검정을 실시하였다. LLC(2002), Breitung(2000), Hadri(2000), IPS(2003)와 Maddala & Wu(MW. 1999)의 5종의 패널 단위근 검정에서 전체기간, 외환위기 전후,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등 분석의 모든 기간에서 주택가격과 통화정책 자료에 패널 단위근이 존재하여 비정상성적인 자료임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Pedroni(2004), Kao(1999) 와Johansen-Fisher(1995)의 3종의 패널 공적분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외환위기 이전에는 주택가격과 통화정책 사이에 패널 공적분이 존재하여 장기적 안정관계임이 확인되었으나, 외환위기 이후 2012년 12월까지 두 변수 사이에 장기적 안정관계가 약화됨을 확인 하였다. 이는 2000년대 이후의 주택가격은 통화정책 보다 다른 요인들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I explore a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monetary policy and house prices in Korea. The uncollateralized call rates of Bank of Korea is the measure of the monetary policy and the house purchase price composite index of Kookmin Bank represents real house prices. I utilize monthly data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12 of two regions of Seoul and six biggest cities: Gangnam and Gangbuk of Seoul, Busan, Daegu, Incheon, Gwangju, Daejeon, and Ulsan. Using five different panel unit root tests by LLC (2002), Breitung (2000), Hadri (2000), IPS (2003) and Maddala & Wu (MW. 1999), I find a unit root in all variables for the entire period, pre- and post-currency crisis periods, and the perio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ased on this finding, I conduct three types of panel cointegration test: Pedroni (2004), Kao (1999) and Johansen-Fisher (1995). Test results show a long-term stable relationship between monetary policy and house prices before the currency crisis. I, however, fail to find strong evidence for a stable relationship after the currency crisi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monetary policies is rather irrelevant to house prices in the 2000s. However, panel cointegration is found in both Kao`s panel cointegration tests and Johansen-Fisher`s panel cointegration test even after the currency crisis. Taken all, it is hard to conclude that house prices are not related at all with monetary policies. Also, the cointegration relationship does not necessarily mean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why long-term relationships between monetary policy and house prices are weakened in the 2000s.

      • KCI등재

        일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Burnout)과의 관련성

        배진성(Jin-Sung Bae),윤석한(Seok-Han 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정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5개구의 5개 소방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58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9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소진 정도는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위험 소진 군」이 나타날 위험비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군에 비해 매우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연령, 근무경력, 교대근무여부,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 업무에 대한 만족도, 직업전환의사 및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소진 정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syndrome of firefighters. The research targets were 582 firefighters who worked at five fire stations in the D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st 2019 to September 30, 2019.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O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ylsis, the risk ratio of high levels of burn-o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ery high stress groups than that in the groups with low job stress.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burn-out were gender, age, the specific level of job career, shift work, the physical burden of work, the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 work, consideration for quitting the job and job str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job stress of firefighters is closely related to burn-out. This demand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that can properly control and curb the factors of job-stress.

      • KCI등재

        서민정책금융의 지원성과와 시사점: 햇살론을 중심으로

        배진성(Jin-Sung Bae),박주완(Joo-Wan Park),윤상용(Sang-Yong Yu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햇살론(sunshine loan)은 신용등급 또는 소득수준이 낮아 담보력이 미약한 서민계층에게 정책적 보증을 제공하여 이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 서민금융 상품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햇살론은 2015년 12월말 현재 약 96만여 명에게 약 7.78조 원(금융기관 대출기준 8.60조 원)을 보증공급하며 1인당 평균 약 900만 원의 대출을 지원하였으며, 특히 사업자 대상 햇살론의 경우 약 1조 9,103억 규모의 보증지원으로, 생산유발효과 3조 5,121억,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 4,860억 원, 취업유발효과 39,197명, 고용유발효과 22,952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대환자금도 연이율 20%이상 고금리채무에 시달리는 저신용·저소득자 15만 5천여 명에게 약 1조 2,645억 원의 보증을 제공하여 약 3,510억 원의 이자 경감효과를 지원하는 등 서민경제 안정화에 작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햇살론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부주도의 금융지원에 따른 국가재정에의 부담과 가계부채 확대문제에 관한 지적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은 사실이다. 정부는 이를 고려하여 명확한 정책목표에 따른 적정 보증공급 규모를 지속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단순한 금융지원 정책의 운용보다는 서민금융의 질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하여 저신용·저소득의 서민들이 경제적 자생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대책 마련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e Sunshine loan is a representative financial product to provide politically financial guarantee to the people who have low credit rating or low income levels. Actually, by the end of December 2015, the Sunshine Loan provided about 7.78 trillion won (about 8.60 trillion won for financial institution loans) to 960 thousand people. That is about 9 million won per person.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unshine Business, supporting KRW 1,190.3 billion financial guarantee, it is estimated that the economic effects were including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KRW 3,512 billion,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of KRW 1.486 trillion,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of 39,197 persons,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of 22,952 people. In addition, the repayment funds which provide about KRW 1.26 trillion guarantees for the people who are exposed to annual interest rate of 20% or more, resulted in interest reduction effect of about KRW 351 billion. However, despite the achievements of this sunshine, it is true that there is still a point of view about the burden on the national finances and the problem of expanding household debt. Thus,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look for the appropriate amount of guaranteed supply based on clear policy objectives,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qualifications for policy support to enable people to have economic self-sustenance by considering the qualitative growth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public finance rather than the simple financial support policy.

      • KCI등재

        柱狀片刃石斧의 變化와 劃期

        배진성(Jinsung Bae) 한국고고학회 2001 한국고고학보 Vol.44 No.-

        柱狀片刃石斧는 柱狀의 형태에 片刃을 가지는 무문토기시대의 석부로서 有段石斧와 有溝石斧도 넓은 의미에서 柱狀片刃石斧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有溝石斧는 일찍부터 주목되어 왔지만 주로 기원과 전파의 문제에 집중되었고 자체의 형식에 대한 연구는 미진했다. 西北地方과 西南部地方의 有段石斧는 독특한 地域型이라 할 수 있고, 有溝石斧로의 이행과정은 보이지 않는다. 이에 비해 前期의 柱狀片刃石斧는 中期로 오면서 점차 소형화되고 횡단면 梯形이 완성되는데, 여기에 溝가 첨가되면서 有溝石斧化되었다. 주상편인석부(유구석부)는 前期의 역삼동유형단계에 출현하며 中期에 가장 발달하고 후기의 원형점 토대토기단계까지 지속적인 형식변화를 거듭한다. 이후 유구석부가 쇠퇴·소멸하면서 철기에서는 鑄造 鐵斧와 鐵鑿이 가장 먼저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석기에서 철기로의 대체는 加工具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中期前半은 유구석부, 삼각형석도, 일단경식석촉 등에 의해 석기의 변화에서 劃期가 되는데, 석부류에서 주상편인석부(유구석부)의 발달에 의해 목제도구의 생산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른 목제농경구의 발달은 농경사회의 성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와 더불어 주거지 평면형태의 변화, 환호취락의 등장도 이 시기에 나타나는 점에서 有溝石斧出現期를 無文土器社會의 變革期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includes the division-shaped adze(有段石斧),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the grooved-adze(有溝石斧). The division-shaped adze(有段石斧) in north-western region is not directly concerned with growth of the grooved-adze(有溝石斧). The division-shaped adze is limited in near Dedong river and it had strong local characteristics. And it is difficult to concern with south-Chinese the division-shaped adze. The grooved-adze is korean characteristic adze. Because south-korean pillar-shaped adze was developed to the grooved-adze gradually changing small. The stage of growth of the grooved-adze was seen to serial change not only change of stone adzes but also stone knives, stone daggers, and stone arrowheads. The type of dwelling was distinguished with previous period. Provision of stone tools by growth of the grooved-adze was concerned with development wood tools than previous period. The development of stone adzes and wood tools were concerned with progess of social product-power with change of various stone tools. This conditions were connected to growth of agricultural society. In Conclusions The Middle Phase Plain Pottery Society that an new essential elements appear all together is mature agricultural society than The Early Phase Plain Pottery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압록강~청천강유역 무문토기 편년과 남한 : 조기~전기를 중심으로

        裵眞晟(Bae, Jinsung) 한국상고사학회 2009 한국상고사학보 Vol.64 No.-

        남한 무문토기의 연구에는 늘 북한의 영향이 언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전체를 포괄하는 편년 연구는 대단히 미진하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반도 내의 문제에 머무르지 않고 동북아시아 선사문화의 연구에서 남한이 소외될 우려조차 없지 않다. 이를 방지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남한 무문토기시대의 시작과 관련이 깊었던 한반도 서북지역의 무문토기 편년을 충실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고, 또 그 결과가 남한의 편년과는 어떻게 대비될 수 있는지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압록강하류역의 신암리 Ⅱ기는 분기의 가능성 및 그 시간폭을 넓게 고려할 필요가 있고, 신암리 Ⅱ와 Ⅲ 사이는 공백 없이 연속하는 시기로 판단된다. 압록강중류역은 심귀리와 공귀리유적의 유구와 유물에서 두 단계로 편년되며, 각각 신암리 Ⅱ 및 Ⅲ과 병행한다. 청천강유역은 당산상층, 세죽리 Ⅱ₁·구룡강 Ⅰ, 세죽리 Ⅱ₂·구룡강 Ⅱ의 순서로 상대편년 되며, 당산상층은 신암리3-1과 신암리 Ⅱ 사이에 해당하고 세죽리 Ⅱ₁·구룡강 Ⅰ은 신암리 Ⅱ와 병행한다. 이를 남한과 대비해 보면, 신암리 Ⅱ의 후반-新式-은 남한의 전기전반까지 내려올 수 있는데, 최근 남한에서 전기의 돌대문토기가 상당수 확인되는 점과도 모순되지 않는다. 또 청천강유역의 이중구연각목문토기에서 가락동식토기의 성립도 조기로 올려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남한 무문토기의 성립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서북지역 무문토기의 편년을 안정화시키면서 남한의 조기~전기와 잘 대비할 수 있다면, 이는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무문토기시대 편년의 한 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Although we research the mumun pottery which have always been told influence of the North Korea, chronology of the mumun pottery including the whole Korean Peninsula seems to be still unsatisfactory and incomplete. As a result of this, it would be not only the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inside but also the one of prehistoric culture research in Northeast Asia. In order to prevent and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oroughly the chronology of the Northwestern Mumun pottery of the Korean Peninsula closely related with the beginning of the South Korean Mumun Period. Moreover, its result should be scrutinized how it can be contrasted with the South Korean chronology. The Sinam-riⅡ Era at the downstream of Amnok River is required to consider divergence of dating and it seems that the era between the Sinam-riⅡ and Sinam-riⅢ is continuous without blank space. The midstream of Amnok River is dated as two levels judging from the features and artifacts of the Simgwi-ri and Gonggwi-ri sites and they keep pace with Sinam-riⅡ and Sinam-riⅢ each other. The Cheongchen River area is relatively dated as an order of Dangsan Upper Layer, Sejuk-riⅡ1 and GuryonggangⅠ, Sejuk-riⅡ2 and GuryonggangⅡ. Dangsan Upper Layer corresponds to the era between Sinam-riⅢ1 and Sinam-riⅡ. Furthermore, Sinam-riⅡ1 and Guryonggang Ⅰ run parallel with Sinam-riⅡ. Contrasting this with South Korea, the new style of Sinam-riⅡ can be dated as the first half of earlier South Korea era and this is not contradictory to lots of identifications of Doldaemun Pottery recently. Contrasting the northwest with the south in chronology, maybe a standard for chronology of the mumun pottery including the whol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柱狀片刃石斧의 再檢討

        Bae Jin sung(裵眞晟)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2 No.-

        柱狀片刃石斧는 無文土器時代前期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형식변화하는데, (선)송국리단계로 오면서 소형화되고 여기에 溝가 형성되어 有溝石斧가 완성되었으며, 유구석부의 출현과 이로 인한 석제공구세트의 완비는 목제농경구의 발달 및 농경사회의 성장과도 관련된다는 것이 기존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근래 전기의 주상편인석부 자료가 질적ㆍ양적으로 상당히 축적되어 재검토 한 결과,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前期後半에 한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 후반의 주상편인석부는 가장 주요한 속성인 後面의 형태를 통해 直(Ⅰ)→曲(Ⅱ)→段(Ⅲ)으로 분류 및 변화하는데, 이는 同시대의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빠른 형식변화를 거듭하면서 기능적으로 향상된 공구로 개량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유구석부와 용도 및 기능이 같은 주상편인석부는 전기 후반에 완성된 형태를 보이며 석기조성상에서도 일반화되고 있으므로, 석제공구세트가 완비되는 것은 후기가 아닌 전기 후반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일상의 필수품이기도 한 주상편인석부가 전기 후반이라는 특정시기에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신속하게 변화하는 현상은 전기 후반의 사회 변화에 대한 무문토기인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대규모 취락ㆍ동검ㆍ굴립주건물 등에서 전기 후반 무문토기사회의 발전적ㆍ역동적인 측면들이 부각되고 있으며, 분묘가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기존의 전기 후반을'中期'로 분리하여 조기ㆍ전기ㆍ중기ㆍ후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자는 의견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상편인석부의 등장 및 발달과 석제공구세트의 완비 역시 새롭게 분리된 시기의 특징으로 보기에 손색이 없으므로 본고는 新中期걩의 第二步이다.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was appeared in earlier of the Early Mumun Period. As time went on, length was diminished, and groove was made. As a result, the Grooved-adze(有溝石斧) was completed. It was noted that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by appearance of the Grooved-adze was closely related to development of wooden farming tools and growth of agrarian society. But recently the Pillar-shaped Adze of the Early Mumun Period has increased steadily, it is known that most are conformed to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e Pillar-shaped Adze was changing rapidly more than any other tools. This is common in stone tools composition. Therefore, we can argue that a set of stone tools were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ose in the backgrou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aracteristics of Mumun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Because during this time there were a lot of changes. Recently on a large-scale settlementㆍBronze Dagger and so on, we pay attention to an expansive aspect of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Grave construction is also begun in this time. With these features, it was claimed that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must be newly established to the Middle Mumun Perio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and appearance of the Pillar-shaped Adze as features of time division.

      • KCI등재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배진성(Jin-Seong Bae),최지현(Jee-Hyeo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 특성별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특히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의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 438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9년 8월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의 분포는 「정상군」이 78.8%, 「우울군」이 21.2%이었으며,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우울군」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수준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도 학업스트레스가 낮은군에 비해 높은 군에서 「우울군」이 나타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우관계,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주관적인 건강상태,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여자고등학생들의 우울수준은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 특성의 여려 변수들뿐만 아니라, 학업스트레스와도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nd family lif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the depression levels. The survey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438 students at D city in August, 2019.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the depression levels among the study subjects was 78.8 % for 「normal」 and 21.2 % for 「depression」, and the distribution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higher academic stress. The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level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ratio of 「depression」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higher academic stress than in groups with lower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chosen as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ship with school fellow,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est stress, study stress, and career stres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as related to academic stress and many other variables of school and family life characteristics.

      • KCI등재

        檢丹里類型의 成立

        裵眞晟(Bae, Jinsung)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8 No.-

        무문토기시대 중기의 울산지역에는 단독문양으로서의 孔例文·短斜線文·橫線文土器, 그리고 把手附深鉢形土器와 赤色磨硏壅形土器 등을 특징으로 하는 樣式化 된 土器郡, 이른바 ‘檢丹里式土器’가 유행했다. 여기에 석창·동북형석도·단면 타원형 혹은 방형의 토제어망추와 울산형주거지·방형의 소형석관묙와 같은 지역적 특징이 결합되는 고고학적 문화를 ‘檢丹里類型’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검단리 Ⅰ기는 이전의 흔암리식토기, 즉 前期의 문화에서는 이미 벗어났다. 따라서 검단리유적 편년의 영향으로 인해 전기말~중기전반이라는 과도기적 시기로 편년된 울산지역 유적들은 중기후반까지를 하한으로 고려해야 것이다. 호서·호남·서부경남·대구지역에 송국리유형문화가 확산될 때 울산지역은 검단리유형이라고 하는 지역문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지역문화는 무문토기시대 중기-검단리단계-에 울산~경주~포항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어 시기적·지역적 한정성이 강하며, 그러한 배경에는 동북지역과의 교류관계도 내포되어 있었다. Geomdan-ri Type Pottery that drew Single design is clearly different with Heunamri Type Pottery. Geomdan-ri Type Pottery are stylistic pottery fashioned on Ulsan region in Bronze age. Geomdan-ri Culture is assemblage of archaeological data Ulsan region. This is, What is called, country culture of middle period in Korea Bronze age. Range of Geomdan-ri Culture is limited to Ulsan~Gyeongju~Pohang area. That is to say, Geomdan-ri Culture is archaeological culture of limited area and restricted period. A part of Geomdan-ri Type Pottery is spreaded over Daegu region and interior of Gyeongbuk. In thinking background of Establishment of Geomdan-ri Culture, archaeological data of Northeast-area become a clue. This culture was roughly continued for 300 years until Cultur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