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배유진 ( Yoo-jin Bae ) 산업진흥원 2018 산업진흥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 대한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 (P<.001, β =.569)을 미쳤으며,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 중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피지컬컴퓨팅 교육에 대한 인식 중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 대한 이해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소속 학교 지역에 따른 피지컬컴퓨팅 교육에 대한 이해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인식이 피지컬컴퓨팅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for softwar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ing in Seoul on the recognition for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for software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for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p<.001, β =.569), specifically the comprehension of software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comprehension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software education.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comprehension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between middle students at school in Seoul and outside of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or academic implications effective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for software education on the recognition for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관련 활동에 대한 조사

        양찬호 ( Chan Ho Yang ),배유진 ( Yu Jin Bae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김희백 ( Heui Baik Kim ),유준희 ( June Hee Yoo ),이경우 ( Kyung Woo Yi ),계영희 ( Young Hee Kye ),노태희 ( Tea Hee Noh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3 초등과학교육 Vol.32 No.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cience-related activities in everyday lif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We also analyzed the differences by student`s gender and interest in scienc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f what activ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daily experiences and how they perceived the connections of the activities with science. The questionnaire that was asked to rate the degrees of science-relatedness,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of 35 activities was administered to fifth grader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y perceived various everyday activities in their home and community as well as school were related to science. They generally preferred and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Boys perceived some activities, such as building things with magnets, Legos, or other toy and tools, more closely related to science, and the degrees of their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these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rl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who were more interested in science not only perceived more activities related to science but also preferred and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mor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교과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임철일 ( Cheol-il Lim ),지현경 ( Hyun-kyung Chee ),박주현 ( Ju-hyeon Park ),이웅기 ( Ung-gi Lee ),배유진 ( Yoo-jin Ba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예비교사 대상의 소프트웨어-교과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반응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국내ㆍ외의 예비교사 대상 소프트웨어 교육 및 소프트웨어-교과융합 교육의 현황에 대해 검토한 후,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방법론(RPISD)을 사용하였다. 초기 프로토타입을 도출하기 위해, 2018년 하반기와 2019년 상반기에 운영된 소프트웨어-교과융합 워크숍에서 얻은 시사점과 문헌 분석, 의뢰인, 교수자 그리고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초기 프로토타입은 이후 세 번에 걸친 의뢰인, 전문가 및 학습자 검토를 통해 수정된 후 최종 교육 프로그램 개발로 이루어졌다. 블록 코딩과 텍스트 코딩의 두 개 모듈로 구성된 최종 프로그램을 2019년도 하반기 S대학교 사범대학 예비교사 대상 워크숍에 적용하고, 실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반응을 검토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 결과 예비교사들은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래밍 역량이 향상되었고, 추후 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실행할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으며,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들이 팀을 이루어 더욱 완성도 있는 소프트웨어-교과융합 산출물을 만들 수 있었다는 의견을 주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 대상 소프트웨어-교과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소프트웨어 교육역량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설계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라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1) develop a converged software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and (2) apply it to the actual field in order to analyze learners’ responses. Based on these responses, we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made improvements on the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is study utilized the method of Rapid Prototyp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RPISD).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current research and trends in converging software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s. In order to develop the initial prototype, we analyzed and reflected the data of the workshops for converging software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implemented in the Fall semester of 2018 and the Spring semester of 2019,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and examined the needs of the main client, professo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expertㆍlearner validation and usability testing, we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ed course and revised the prototype. The final prototype, consisting of two modules of block coding and text coding, was applied to the workshop for the pre-service teachers in a higher education setting. During the progra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program. The result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made improvements in their programming skills through the workshop and that it would be helpful when conducting classes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Additionally, it was helpful for them to conduct converging projects by forming a team of pre-service teachers from various majors.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design guidelines to develop the program for improv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capabilities for converging software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 Dibucaine-selective electrodes based on debenzo-18-crown-6-ether/dibucaine complex as the ionophore

        Bae,Yoo-Jin,Kim,Sung-Jin,Hur,Moon-Hye,Hur,Cheoi-Hoi,Ahn,Moon-Kyu 慶星大學校 1996 論文集 Vol.17 No.4

        Dibucaine 선택성 전극을 이중 액체막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내막은 tetrabutylammonium bromide로 구성되면 외막은 dibenzo-18-crown-6-ether/dibucaine complex와 가소제로서 NPOE 그리고 matrix 로서 PVC를 사용하였다. 이 외막이 NaTpB 30mg 함유할 때 이 이중막 전극은 25±1℃에서 dibucaine의 10?²~10??M 농도 범위에서 직선성을 보였으며 그 Nernstian slope와 검출한계 농도는 각각 54.2mV/dec, 10??M이었다. 본 연구에서 안정성, 감을 시간, NaTpB의 영향, 선택성 그리고 막 조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