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와 산후우울의 관계: 배우자지지, 결혼만족도의 매개 효과

        배연욱(Yeon Wook Bae),유금란(Kum Lan Y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기결정성이론 중 하나인 기본심리욕구가 배우자 지지와 결혼 만족을 매개로 산후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출산 후 1년 이내의 자녀를 양육하는 산모 3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모형과 측정모형은 모두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변인간 경로를 설정한 가설모형과 비교했을 때, 배우자 지지에서 산후 우울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경쟁모형이 적합도에서 차이가 없으면서 비교적 간명해 이를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최종 모형에서의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은 산후 우울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은 배우자 지지와 결혼 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결혼 만족은 배우자 지지와 산후 우울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산후 우울과 관련한 상담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상태와 배우자와의 관계, 결혼 만족 정도를 우선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among Self-Determination Theory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A sample of 313 mothers who raises her child within a year of giving birth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it to the data. Meanwhile, when compared with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the path between all variables is established, the competitive model excluding the path from spousal support to postpartum depression has no difference in fitness, and was relatively simple and adopted as the final model. In the final model, the link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ostpartum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comple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ould be helpful to identify the statu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pouse support,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counseling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 상담자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 자기성찰 및 수퍼비전을 중심으로

        배연욱,조성호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09 학생생활상담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자기성찰과 수퍼비전 경험을 중심으로 상담자의 발달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자의 발달 영역을 크게 인간적 영역과 기술적 영역의 두 가지로 나누고, 자기성찰 노력이 상담자의 인간적인 발달에, 그리고 수퍼비전 경험이 기술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자 122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경력 수준 질문지, 상담자 성숙도 검사 질문지, 상담자 발달 수준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상담자의 연령을 공변인으로 삼아 상담자의 경력수준과 자기성찰 경험, 그리고 상담자의 경력수준과 수퍼비전 경험에 따라 상담자의 인간적 발달 수준 및 기술적 발달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두 번의 2x2 공변량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성찰 경험이 많고 적음에 따른 인간적 발달의 정도에는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퍼비전 경험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도 기술적 발달의 정도는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상담경력이 적은 상담자 뿐만 아니라 상담경력이 많은 상담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상담자의 기술적 발달은 상담자의 경력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