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사업 토지보상금 지급방식에 관한 연구 - 대토보상과 대토보상 리츠를 중심으로 -

        방희경 ( Bang¸ Hee-kyung ),장교식 ( Jang¸ Kyo-sik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일감부동산법학 Vol.- No.23

        국가나 지자체와 같은 공공기관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시행하는 공공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개인 등(토지소유자 또는 관계인)이 입은 손실에 대하여 토지보상법 제61조는 당해 사업의 시행자가 보상하게 되어 있다. 손실보상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금으로 지급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어 보상금의 지급 방법으로 현금 보상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토지보상금이 지급되면 인근 지역으로 재투자되어 지가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택지개발이 가능한 지역의 지가 상승으로 토지보상금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자 정부는 채권보상, 대토보상과 같은 현금 대체 지급방식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해 왔다. 하지만 채권보상은 일정 기간 현금화하기 어렵고 수익률도 높은 편이 아니어서 피수용자들이 선호하지 않아 채권으로 지급된 비율이 높지 않다. 또한, 부재지주에 대해서는 채권으로 보상하게 되어 있어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가 수용될 때 현금 대신 공공사업이 진행된 후 개발된 토지로 보상을 받는 대토보상 방식도 있지만, 이 방식 역시 현금 보상 시점에서 공공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4∼5년 정도 기다려야 하고 지가 상승 시에는 현금으로 보상받은 금액을 다른 부동산에 재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공공사업의 개발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대토보상 리츠를 3기 신도시 사업에 적극 도입해서 토지보상금 조달의 부담도 덜고 현금 보상시 발행하는 추가적인 주변 부동산 상승도 방지하고 자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사업의 토지보상금 지급현황을 살펴보고 보상 방식에 따른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Article 61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requires the implementer of the project to compensate for losses incurred by individuals (landowners or related person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projects by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In principle, compensation for losses should be paid in cash, except as otherwise expressly provided for in other laws. When land compensation is paid, the government has tried to revitalize cash alternative payment methods such as bond compensation and land compensation, as the side effects of reinvestment into nearby areas and rising land prices are issued. However, bond compensation is difficult to cash i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yield is not high, so the ratio paid in bonds is not high because the inmates do not prefer it. Also, there is a problem with equity as absentee shareholders are supposed to be compensated with bonds. Some land compensation methods are compensated with land developed after public projects are carried out instead of cash, but this method was not activated because it is more advantageous to reinvest cash compensation in other real estate when land prices rise. In response, the government is actively introducing alternative land compensation REITs, which can even earn development profits from public projects, to reduce the burden of raising land compensation and prevent further increases in surrounding real estate.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and compensation payments in public projects and explore problems and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method.

      • KCI등재

        사립대학 총장선임제도 변동과정에서의 권력행사에 대한 사례연구

        방희경(Bang, Hee-Kyung),김혜숙(Bang, Hee-K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대학인 A대학의 17대, 18대 총장선임방식의 변동과정에서 나타난 권력행사를 분석함으로써 총장선임제도의 잦은 변동의 원인을 권력행사 측면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A대학의 총장선출 관련 연구보고서, 교수회보, 정관, 신문기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법인 이사회와 교수회 간의 갈등과 영향력의 행사를 Lukes(2005)가 제시한 3개 차원의 권력행사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7대, 18대 총장선임과정에서 법인 이사회는 법적 권한을 기반으로, 교수회는 교수집단의 대의기구라는 권위를 기반으로 비슷한 수준의 권력행사를 하는 가운데 갈등이 발생하였고 두 주체는 자신의 선호를 성취하기 위해 공식적인 발표, 서신, 성명서 제시 등의 가시적인 방법으로 권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회가 제안한 총장선출 방안과 법인 이사회가 규정한 내규에 의해 상대방의 선호와 이슈를 제한하는 권력행사도 발생하였다. 권력행사 분석을 통해 A대학의 총장선출지침의 변동원인은 법인 이사회와 교수회간 균등한 수준의 권력행사, 총장 결정방식에 대한 서로간의 인식 차이, 총장선임방식의 제도화 부재 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절충형의 안정화되지 못한 제도를 가진 사립대학 총장선임의 변동원인을 권력행사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사례로서 비슷한 혼란을 겪는 우리나라 사립대학 총장선임제도의 합리적 안정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hanges and the causes of the change in the selection of the 17th to 18th presidents of A private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method of literature study was used. The conflict and the exercises of influence between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faculty senate ar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ree-dimensional power view suggested by Lukes(2005).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nflict arising in the process of selection of the 17th to 18th president, the board of directors is based on the legal authority for the selection of the university president, and the faculty senate is the representative body of the faculty group. Power was exercised in a visible way, such as presenting a statement. In addition, there were power events to limit the preferences and issues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ower exercises, the causes of changes for selecting presidents of A University were found. Exercises of power were almost equal between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faculty.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the selection of the presidential selection method and the lack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residential selection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change of presidential selection system at the private university by considering the causes of changes for selecting presidents of private university.

      • KCI등재

        외국의 학교장 직무표준 : 미국,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규(Kim, Jong Gyu),김혜숙(Hye-Sook Kim),방희경(Hee-Kyung Ba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최근 학교자율화 정책의 강화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단위학교 학교장의 전문성과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대안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 학교장 직무표준을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로 미국의 PSEL 2015와 호주의 APSP 2019를 선정하여 각 학교장 직무표준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양국 직무표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직무표준 개발 관련 시사점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1996년 이래 2차 개정을 거쳐 45개 주에서 활용되고 있는 미국은 설정된 10개의 학교장 직무표준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호주의 경우는 리더십 맥락 속에서 리더십 요건과 전문적 실천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높은 수준의 학습-교수-학교교육과 인재상 구현을 기대하는 종합적 특징을 보여준다. 미국과 호주의 직무표준은 학교장의 자질과 능력, 직무표준의 목적, 학교장 임용·선발·양성·평가의 전 과정에서 유용한 기준으로 활용되는 점, 구체적 행동지침을 제공하는 점 등 많은 유사점이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학교장의 전문성 향상과 객관적 임용 및 평가기준 제공 등을 위해 한국의 학교 상황을 고려한 직무표준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외국 사례를 통해 볼 때 학교장 직무표준의 개발과 활용은 학교장의 전문성과 리더십, 학교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필요하며 매우 유용하다는 점이다. 국가별로 직무표준의 구조나 구성방식은 상이할 수 있으나 학교장의 전문성과 리더십 향상을 위한 기준 및 실질적 지침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In recent years, the needs for policy alternatives to reinforce the expertise and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re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s two foreign country’s cases that has already developed and is effectively using professional standards for principals. PSEL 2015 in the United States and APSP 2019 in Australia are select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princip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tandards for principals in Korea. In the United States,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principals have focused on student achievement and development. In the case of Australia, leadership requirements and professional practices appear within the leadership context, which show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that are expected to achieve a high level of learning-professional-school education and talent. Professional standards in the US and Australia had many similarities, including the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of principals, the purpose of the professional standards, being used as useful standards in the entire process of hiring, selection, training, and evaluation of principals, and providing specific guidelines for action.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 standards for principal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chool situation in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principals and provide objective standards for appointment and evalu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professional standards is necessary and very useful for enhancing the principal s professionalism and leadershi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as seen through two foreign cases.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professional standards may differ by country, professional standards functions as practical guideline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and leadership of the principal.

      • KCI등재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을 위한 전공탐색 :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사례를 바탕으로

        홍혜경(Hong, Hye Kyung),나정은(Nah, Jeong Eun),방희경(Bang, Hee Kyung),한봉환(Han, Bong Hwan) 한국교양교육학회 2008 교양교육연구 Vol.2 No.2

        From the academic year of 2009, a good many Korean Universities introduced the Open major Division. Based on 10 years experience of teaching and advising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Yonsei University, we believe that developing and applying a suitable major exploration program should be the key factor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Open major Division. Yonsei University s major exploration curriculum, program, and advising system were introduced as a guideline to the major exploration process. The freshman survey and the first-year experience assessment in Yonsei University revealed that the freshmen long for a high quality education, professional lecture sessions, advice on choosing majors and career developing, and so on. Universities introducing the Open major Division should establish the major exploration process to meet the students expec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